세계화 경제 속에 명쾌하게 정의되는 경제체제를 갖고 있는 나라는 소수에 불과하다. 영미의 자유시장 경제 모델, 덴마크의 플렉시큐리티 모델, 네덜란드의 폴더모델, 독일의 사회시장경제 모델 등이 이에 속한다. 한때 독일은 ‘유럽의 병자’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세계 금융위기와 유로화 위기 속에서 독일의 ‘사회 시장경제’는 안정적이고 우수한 모델로서 재조명되기 시작하고 있다.
사회적 균형을 추구하며 재분배를 목적으로 한 이 경제체제는 자유주의적 특징보다는 오히려 사회민주적이고 케인즈주의 경제학적 특징을 더 많이 지니고 있다. 독일의 이러한 자본주의의 형태는 영미권의 주주’ 자본주의 또는 ‘자유주의’ 자본주의와 대응된 개념으로 간주된다. 영미식 자유시장경제는 현재로서는 그 한계가 이미 임계점에 도달한 것처럼 보인다. 영국은 이미 1차대전 후 쇠퇴했고 현재는 미국이 1929년 대공황과 2007-2008년 금융위기로 실험을 받고 있는 중이다.
미국은 풍부한 인적자산과 혁신적인 기술이 원동력이 되어 계속해서 세계경제를 주도해 나갈 것이다. 미국은 1776년 독립국가로 선포한 후 지금까지 줄곧 순탄한 길을 걸어왔다. 실패를 모르는 승승장구한 자긍심으로 팍스 아메리카나 세계패권 지위를 지켜내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정치와 경제의 정책과 시스템에서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점이 분명히 있다. 자유지상주의 이념과 자유방임주의 이념만 고집하다 썩어가고 있는 사회 주변을 돌아보지 않고 계속 방치한다면 결국은 로마제국과 대영제국처럼 역사 뒤편으로 쇠퇴할 수밖에 없다.
이에 비해 독일은 20세기 1·2차 세계대전을 통해 반세기 짧은 기간동안 그 어느 나라도 경험하지 못한 참담하고 불행한 역사적 큰 굴곡을 겪어왔다. 그리고 뼈를 깎는 고통의 심정으로 역사적 단죄와 청산으로, 과거로부터 시행착오 과정을 거듭하면서 좋은 정책과 시스템을 사회 전반에 결쳐 구축하였다.
독일 내 기업 300만 개 중 대기업은 1%도 되지 않는다. 99%는 500명 이하의 근로자를 거느린 중소기업이다. 자본과 기술을 중심으로 노사가 같이 경영에 참가하여 투명성과 공정성을 바탕으로 한 ‘공동의사 결정제도’ 기업문화는 주주 자본주의 한계를 극복한 좋은 사례이다. 이 뿐만 아니라, 사회·정치적 합의에 의한 적절한 이윤분배 문화, 그리고 인간의 가장 기본권인 최저생활, 교육, 의료를 보장하는 복지문화가 좋은 사례이다. 경제성장의 펜더멘털이 미국과 아직은 경쟁이나 비교가 될 수 없다는 객관적인 통계가 있지만 좋은 정책과 시스템은 성장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함으로써 오히려 국민의 실질적인 삶의 행복을 더 충족시켜줄 확률이 미국보다 높다.
과거 케인즈 시대가 자본주의 황금기였다면 현재 하이에크 시대는 자본주의 위기이다. 1991년 사회주의 계획경제는 붕괴되었고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자유시장경제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첫번째 자본주의 개혁은 마르크스로부터 출발했다. 노동자에 대한 동정, 자본가에 대한 분노, 증오의 결과는 대 참패였다. 두번째는 수정자본주의자 케인즈 였다. 영국의 경제학자였지만 하버드 경제학자들과의 인맥을 통해 루스벨트를 설득시켜 미국경제의 부흥을 만들어 낸 가장 위대한 거시경제학자였다. 세번째는 하이에크를 추종한 시카코 경제학파 유대계 밀턴 프리드만이다. 그는 레이건을 설득해 성장을 도구로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을 추구했지만 불평등 구조를 확대해 놓은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그 다음 네번째는 누구일까? 제프리 삭스·폴 크루그먼·토마 피게티가 현재로서는 처방약의 후보군에 속하지만 케인즈처럼 세계 경제학자와 정치가에게 영향력을 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시장경제에 따른 자유경쟁을 지향하면서, 사회적 질서의 형성 및 유지에 있어서는 시장의 사적인 힘이 아닌 국가의 공적인 힘이 공동의 선을 위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는 독일의 철학자인 발터 오이켄이 최초로 주창한 ‘사회시장경제’가 그 대안이란 게 세계 석학들의 정평이다. 케인즈는 자본주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좋은 수준의 고용율과 더 평등한 사회가 되어야 된다고 제시하고 눈을 감았다. 불안전한 고용으로 인한 실업, 빈부격차로 인한 불평등, 성장위주 탐욕으로 인한 도덕적 해이로 가득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그리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현대사회의 경제정책은 개인들의 삶을 지배하고 행복과 불행의 결과를 결정한다. 한국이나 미국에 있어서 불평등은 공적인 힘이 사적인 힘에 굴복하면서 생긴 문제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
이형국 정치철학자, VA>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