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진 국제개발금융 투자담당
올해 3월 부터 퍼지기 시작한 코로나-19로 인해 어느 순간 부터 우리는 외출할 때 핸드폰 다음으로 챙기는 것이 마스크가 되어 버렸다.
이제는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아파트의 엘리베이터부터 탈 수 없게 되었으며, 버스나 지하철은 물론, 입장 할 수 없는 까페나 상점들이 수두룩하다.
마스크 없이는 못 들어간다는 빨간 글씨보다 더 무서운 것은 사람들의 눈총이다 보니 혹시라도 마스크를 안 쓰고 집 밖으로 나갔다간 준비물 안 챙겨간 초등학생 마냥 허겁지겁 집으로 뛰어 들어가는 것이 이제는 어른이고 아이고 어색한 모습이 아니다.
전국민에게 이런 캠페인이 통하고 ‘discipline’이 통하는 나라는 정말 몇 안 될 것이고 그 중 하나가 우리 나라 라는 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얼마 전 신문을 보니 영국에서 “마스크를 꼭 쓰고 코로나-19의 전파를 막자”라는 것에 대해 ‘Anti-mask Protest’ 시위를 벌였다고 한다.
그 이유는 내 몸은 내가 알아서 하는데 왜 참견이냐는 것이고, 더욱 나아가 남에게 전파를 시키지 않기 위한 노력은 안 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비하면 타인의 대한 배려가 잘 지켜지고 있다 보니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확진수도 적고 코로나-19를 나름 대처를 잘 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요즘 이런 현상으로 가장 안타까운 것은 길거리에서 보기 힘들어진 마스크에 가려진 사람들의 웃음이다.
점점 추워 지는 날씨와 다가오는 계절이 더 춥게 느껴진다.
나 또한 지나가는 아가들과 아이들을 보고도 웃음을 지어줄 수 없는 것도 유감이다.
몇 년전 어느 방송에서 아기들을 데리고 실험을 하는 것을 본적이 있다.
한 쪽에는 엄마가 있고 반대 쪽에는 돌 정도 된 아기가 있고 그 사이에는 낭떠러지 (시각 벼랑)가 있었다.
그리고 그 낭떠러지는 유리로 덮여 있었다.
첫번째 실험은 엄마가 반대편에 있는 아기에게 무표정으로 쳐다보며 와보라 하는 것이었고 두번째 실험은 엄마가 웃으며 아기에게 와보라고 하는 것 이었다.
첫번째 실험에서 다반수의 아기들은 엄마에게 기어가다 낭떠러지를 쳐다보고 주춤하며 더이상 기어오지 않았다.
그러나 두번째 실험에서의 반응은 대단했다.
백발백중 아기들은 낭떠러지를 보며 무서워 주춤하면서도 서로 기어 오는 속도만 틀릴 뿐 엄마를 향해 기어 왔다.
그 정도로 웃음의 힘은 대단했다.
그걸 본 후 나는 기회가 될때 마다 눈이 마주치는 아기들에게는 웃어 주기 시작했다.
이 실험의 결론은 어른들의 감정이나 태도가 아이들에게 대물림된다고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나라도 웃어주면 아기들이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어 사회가 조금이나마 밝아 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 펼치는 내 개인적인 공익 캠페인이었다.
요즘은 아기들을 보며 마스크로 가려진 입으로 웃음을 지을 수 없어 가끔 눈웃음을 지어 보이지만 예전 만큼 효과가 없는 듯하다.
그래서 얼굴을 가까이 대면 아기 엄마들이 황급히 아기들이나 아이들의 얼굴을 획 돌려버리거나 손을 끌어 당겨버린다.
마스크가 바이러스를 차단해 줘 고맙긴 하지만 우리의 웃음을 앗아가는 것 같아 뭔가 씁쓸하고 아쉽다.
마스크가 일상이 된 시기가 얼른 지나가 아기들에게도 우리의 웃는 모습을 맘껏 보여줄 수 있고, 타인과 길에서 살짝 부딪혀도 웃음으로 만회할 수 있고, 예전처럼 외국인들과 인사를 나눌때에도 양쪽 볼에 거리낌 없이 입 맞추며 인사 할 수 있는 때가 오기를 바란다.
이런 별난 시기를 보내는 아이들은 마스크가 코로나 바이러스 같은 위험한 병을 예방해 주지만 마스크를 벗으니 오히려 행복 바이러스가 전파 되는 시기가 온 다는 것을 깨닫는 기회가 되었음 좋겠다는 상당히 진부한 감상에 잠깐 젖어보았다.
<
이재진 국제개발금융 투자담당>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