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삶은 만남의 연속이다. 살아가면서 만나는 사람마다 인연을 맺을 수는 없다. 한 번 만나면 다시는 만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이런저런 이유에서 계속 인연을 이어간다. 불가에서는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 한다. 그게 좋거나 나쁘거나 상관없이. 얼마 전에 아주 짧은 만남에서 새로운 걸 배웠다. 사람 마음이란 자기가 억지로 통제할 수 없다는 것도 알았다.
친구를 만나서 등산하기 위해서 탔던 전철에서 만남이었다. 일요일 아침이었지만 객차 안이 제법 붐비며 경로석에도 빈자리가 없었다. 운동하러 가는 사람이 편안히 앉아서 가는 것이 사치처럼 생각이 들어 그냥 경로석 앞에서 서서 가기로 했다. 바로 앞좌석에 작은 체구에 빵모자를 쓰고 목줄로 손전화를 건 노인이 내 눈길을 끌었다. 왼손에는 한 뼘쯤 되는 막대기를 들고 앉아 있는데 검은 안경을 썼기 때문에 그의 시선이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었다. 내가 탔던 역에서 한 역을 더 지나자 그는 오른손으로 전화기를 더듬어 만졌다. 그의 오른손은 엄지만 성하고 다른 손가락은 아예 손바닥에까지 잘려져 나가서 없다. 하나 남은 엄지로 전화 뚜껑을 열고 자판 위에 더듬더듬 번호를 누르더니 전철 안에 있는 사람이 다 들릴 정도로 큰 소리로 말했다.
“여보세요. 나는 시각장애인인데 선릉역에서 내리면 도움이 필요합니다. 4-4 객차에서 내릴 겁니다. 분당선을 타야합니다. 꼭 부탁합니다.”
자기는 장애인이기 때문에 내리는 역에서 환승하니 자기를 도와줄 사람이 필요하다고 도움을 청하는 전화였다. 나도 그 사람이 장애인인지 몰랐지만 갑자기 주위에 있던 사람들의 시선이 모두 바쁘게 움직였다. 선릉역이 다음이라는 차내 안내 방송이 나오자 그는 막대기를 두 무릎 사이에 잡고 입으로 위쪽을 쭉 뽑아 올렸다. 그는 1미터가 넘는 맹인용 지팡이에 의지하여 일어나려고 움직였다. 나는 뒤로 한 걸음 물러나 그에게 설 자리를 만들어 주었다. 나도 분당선으로 갈아타고 같은 방향으로 가기 때문에 도와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동정심을 넘어 사람으로서 도리가 아닌가 해서.
“선생님, 저도 같은 방향으로 가니 제가 돕겠습니다. 저를 잡고 따라오십시오.” 내가 그의 팔을 잡고 일으켜 세웠다. 힘겹게 일어서는 그의 옷에서 코를 자극하는 역겨운 냄새가 내 비위를 건드렸다. 내가 잡은 그의 팔에는 살이 거의 없는 장작개비와 다름이 없었다. 내 눈에 갑자기 서리가 내리기 시작했다.
“고맙습니다. 제가 도움을 청했으니까 도우미가 올 겁니다.”
전철이 멈추자 그의 왼손을 잡고 문을 나섰다. 그렇지만 밖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썰물처럼 빠져나간 승강장에 달랑 우리 둘만 남았다.
“선생님, 도우미가 아직 오지 않았습니다. 같은 방향이니 저와 같이 가시죠.”
표정을 읽을 수 없지만 고마워하는 눈치가 입가에 번졌다. 평지를 걸을 때는 문제가 없지만 계단 앞에 서니 무척 조심스럽다. 물론 시각장애인도 자기 혼자 걸을 수 있겠지만 아무래도 도와줄 사람이 있으면 편하게 갈 수 있다. 이런 일을 해본 적이 없어 무척 신경이 쓰였다. 계단 하나씩 그를 부축하여 올라가다가 보니 나도 힘이 들었다. 결혼할 신부를 데리고 예식장에 들어가는 기분으로 차분하게 걸었다. 우리를 지나치는 사람마다 힐끔힐끔 쳐다본다. 시각장애인을 보는 건 처음이 아니겠지만 등산 배낭을 메고 장애인과 같이 가는 건 못 보던 풍경이었을까.
한참 동안 걸어서 갈아타야 할 승강장에 도착하니 기다리는 사람이 많다. 그는 4-4 문으로 가자고 해서 승객 사이를 비집고 바닥에 써 붙인 숫자를 따라서 갔다. 왜 하필이면 남들이 좋아하지 않는 4를 두 번이나 쓰는 전 철문을 이용하느냐고 물었다. 자기는 배운 것도 많지 않고 그냥 외우기 좋고 대체로 4번째 차량이 승강장의 가운데쯤이기 때문에 타고 내리는데 익숙해져서 그렇다고 답했다. 분당선의 전철로 갈아타고 같이 나란히 앉았다. 내 눈길이 그의 오른손으로 자꾸 갔다. 그는 외손자의 생일이라서 딸네를 간다며 딸이 역에서 기다린다고 했다.
“좋은 산행을 하십시오. 오늘 정말 고마웠습니다.”
그를 부축하여 객차에서 내려 딸에게 인계하고 얼른 돌아서는데 그는 나를 향해 고맙다고 허리까지 굽혔다. 그녀는 나를 힐끗 쳐다보면서도 말 한마디도 없었다.
“아버지, 왜 이렇게 후줄근하게 와? 생일잔치에 가야하는데. 내 꼭지가 돈다니까.”
찻간으로 들어와 멀어져가는 그들의 뒷모습을 차창을 통해서 보는데 내 가슴에서는 알지 못할 연민의 불씨가 지펴지는 것 같이 느꼈다.
오후에 등산을 마치고 친구와 같이 서울로 가는 전철을 다시 탔는데 이 역에서 우리가 탄 전철의 문이 바로 4-4이었다. 친구는 내가 바닥을 보면서 어떤 문을 찾는 인상을 주었기 때문인지 왜 거기에서 타느냐고 물었다. 그냥이라는 간단한 답만 했다. 아침에 장애인이 내렸던 역에 도착하자마자 나는 창밖으로 시선을 주면서 누군가를 열심히 찾았다. 그 장애인이 있을 턱이 없다. 친구는 내가 만날 사람이 있느냐고 물었지만 대꾸도 없이 멍하니 앉아 있었다. 출입문이 닫히고 전철은 승강장을 빠르게 빠져나가 깊은 굴로 빨려 들어갔다. 사람의 마음이란 알 수 없다. 그새 정이 들었나보다. 마음속에 지워지지 않는 짧은 만남이었다.
<
이재훈 워싱턴 문인회>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