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 향이 그윽하다. 가을창가에 앉아 유리 찻잔에서 서서히 꽃을 피우는 국화차를 들며 뒤뜰을 바라본다. 이미 수확을 끝내어 텅 빈 텃밭에 꽃을 보려고 남겨둔 들깨 나무만 두 열로 서서 계절을 지키고 있다. 하늘은 실핏줄이 보일 듯 맑은데 모든 것이 야위어가는 기운은 어쩔 수 없이 마음을 쓸쓸하게 한다. 늦봄에 오 시인의 밭에서 가져 온 부추가 아직 더위가 한창일 때 놀랍게도 하얀 꽃을 피워 올렸다. 그늘 진 밭에서 한 올 한 올 올라오는 연한 부추를 차마 먹지 못하고 바라만 보다 어느 아침에 보니 그 가느다란 몸 끝에 위태롭게 꽃을 피었다. 오, 그 애잔한 의지라니……. 작은 꽃잎은 눈물을 머금은 듯 맑아 한동안 가슴이 저렸다. 식물 중 잎을 먹는 것은 계절이 지나야 꽃을 피우는 것을 집에서 식물을 키우며 뒤늦게 알게 되었다. 봄에 잎을 먹는 신선초는 한 여름 내내 내 가슴 높이까지 키를 키우더니 여름이 채 가기 전에 노란 등을 가지 끝마다 올려놓았다. 이제 저 들깨 나무도 꽃을 피우면 제 할 일을 다 마쳤다는 듯 씨를 맺을 것이다. 고추나무, 호박과 같이 꽃을 먼저 피우고 그 꽃이 지며 열매를 맺는 식물이 있는가 하면 이렇게 잎을 식물로 주는 것은 시들기 전에 그 기운을 모아 꽃을 피우고 씨로 제 자신을 남기는 자연의 이치가 새삼 경이롭다. 없어지는듯 하지만 그것은 다음 생명을 위한 소멸인 것이다.
여름 무더위를 막기 위해 닫아 두었던 유리 창문 셔틀을 활짝 열고 창가에 둥근 테이블을 갖다 두었다. 이제 이 자리에서 저물어가는 계절을 읽으며 쓰리라. 봄, 여름 계절이 흐르는 동안 식물은 아름답게 꽃을 피우고 여문 열매를 맺는데 무엇 하나 내 놓을 것이 없는 빈 손은 부끄럽기만 하다. 글도 마찬가지다. 글을 쓴다면서 제대로 쓴 글 하나 없이 어느새 가을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분주하였던 날들을 뒤로 하고 이제는 상념에 젖기를 바라고, 그 고요함이 몸에 배여 안정된 생각들이 글로 쓰여지기를 바라며 가을을 읽는다. 뒷집의 아름드리 도토리나무에서 떨어지는 도토리를 쫓아 어린 칩멍크들이 쪼르르 달려가는 곳으로 시선을 함께 달리기도 하다가 새집에 가득 넣은 먹이를 찾아 온갖 새들이 들고 나는 하늘 한 편에 피어나는 뭉게구름을 보며 잠시 숨을 고르기도 한다. 부지런한 새들은 이미 오후 네 시가 되면 저녁을 먹는 듯 온갖 새가 날아 와 기울어가는 가을 햇살아래 모이를 쪼는 것을 보다 새가 모이를 쫀다는 한국어의 묘미에 사로잡힌다. 가만히 보니 주둥이로 새집의 모이를 톡톡 건드려 반은 바닥에 떨어뜨리고 반은 입에 넣으니 단순히 모이를 먹는 것이 아닌 듯 하다. 네 마리만 앉을 수 있게 만들어진 새집이어서 미처 거기에 앉지 못하는 새들과 모이를 나누기 위하여 떨어뜨리는 것일까? 그들의 세계가 궁금해진다. 어느새 새들의 저녁이 끝난 듯하다. 더 이상 새가 날아오지 않아 마음 놓고 뒤뜰로 나갔다. 조금씩 가을빛을 끝에 머금기 시작한 잎들을 보며 산천을 장악하던 한여름의 시퍼런 초록, 그 위세 당당했던 모습이 생각났다. 여름 햇살은 난폭하였고 세상을 다 점령할 듯 날로 왕성해지는 검푸른 숲은 두려웠다. 사람도 그렇다. 자신의 주장이 강한 사람을 보면 차 한잔 함께 마시기가 주저되고 눈빛이 여린 사람을 만나면 마음의 빗장이 저절로 열리게 된다. 가지에 걸터앉은 바람이 나무를 흔든다. 알이 꽉 찬 도토리를 더 이상 붙들고 있을 수 없다는 듯 후드득 후드득 도토리 떨어지는 소리가 뒤뜰 여기저기를 울리는 것을 들으며 장성하여 떠난 아들을 생각한다. 그래 크면 부모를 떠나야지, 식물도 저렇게 보내는데... 도토리 떨어지는 소리 가운데 흑장미 한 송이가 계절을 잊은 듯 피어 있다. 저 흑장미도 가을을 타는 걸까. 겹겹의 붉은 꽃잎으로 화려하게 핀 장미이건만 시월의 장미는 알 수 없는 서러운 기운을 뿜고 있다. 그 시선을 피해 아래를 보니 과꽃이 서로 어깨동무를 하고 방그레 웃고 있다. “그래, 가을은 역시 과꽃이야.”과꽃은 우리네 둥근 밥상 같은 꽃이다. 둥근 나무 밥상은 나에게 늘 유년의 그리움을 불러 일으키고 그곳에는 엄마의 따뜻한 목소리가 언제나 함께 있어 시도 때도 없이 눈시울을 붉게 만든다.
일어서며 무심코 왼편을 보니 담장 밑에 국화가 시야에 들어선다. 국화는 서리가 내리기 전 맑고 차가운 날씨에 펴야 향이 가장 좋은데……. 어느새 피기 시작하는 국화를 안타까워하며 마시던 국화차를 들여다 본다. 아직도 향이 은근하다. 아마도 이 국화는 시들기 바로 전인 겨울 초입에 꽃의 마지막 기운이 모인 것을 따서 말린 것이리라. 가을은 모든 것이 영면(永眠) 하는 겨울의 문턱에서 더 빛을 발하고 꽃은 지기 전이 가장 향기로우니 이순(耳順)이 가까운 나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지 그리고 살아야 하는지 이 가을에 문득 다시 돌아보게 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