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자유당과 그 후 군사정권 때 정적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상대를 빨갱이로 몰아 옥살이를 시키거나 심지어 사형까지 시켰었다. 해방 직후에는 작가와 예술가 사이에서도 사상을 둘러싸고 상호 충돌과 배신과 고발이 횡행했었다.
빨갱이 때려잡기는 비단 한국뿐 아니라 2차 대전 후 냉전시대였던 1940년대 후반에서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 미국에서도 기승을 떨었었다. 당시 미 연방하원에서는 비미국적 행위 조사위를 구성해 공산당에 가입했거나 공산주의를 옹호하는 사람들을 색출해 냈었는데 조사위의 주목표는 진보파의 아성인 할리웃이었다.
조사위는 영화계 좌경세력을 뿌리 뽑겠다는 명분 아래 할리웃의 영화사 사장에서부터 로버트 테일러와 게리 쿠퍼 및 로널드 레이건 등 빅 스타들과 감독과 각본가들을 대량으로 워싱턴으로 소환, 이들과 공산당과의 관련 여부를 따졌었다.
이 때 많은 사람들이 동료를 배신하거나 자신의 좌파적 정치 성향을 속죄하고 나서야 영화 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다. 당시 공산당과 관련된 동료들의 이름을 불고 살아남은 영화인들 중에 가장 유명한 사람이 지난 2003년 94세로 타계한 감독 엘리아 카잔(‘워터프론트’ ‘초원의 빛’)이다. 그 밖에 각본가 클리포드 오데츠(성공의 달콤한 냄새)와 배우 스털링 헤이든(자니 기타)과 로이드 브리지스(배우 제프 브리지스의 아버지) 등도 고발자들. 이들은 동료들의 이름을 불지 않으면 블랙리스트에 올라 일을 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배신자의 오명을 감수했었다.
그러나 이런 ‘마녀 사냥’의 살벌한 분위기 속에서도 자신들의 정치 신념에 관해 묵비권을 행사, 옥살이를 했던 10명의 할리웃 인사들이 있었다. ‘할리웃 텐’으로 불리는 이들은 묵비권을 행사 했다가 1948년 의회 모독죄로 유죄판결을 받고 최고 1년까지 옥살이를 했었다.
이들 중에는 유명 감독 에드워드 드미트릭(‘젊은 사자들’ ‘부러진 창’)과 후에 ‘스파르타커스’(21~23일 이집션 극장서 상영되는 트럼보 영화 4편 중 포함)의 각본을 쓴 달톤 트럼보가 포함돼 있다. 그런데 드미트릭은 유죄판결 얼마 후 변심, 동료들의 이름을 까발리고 일찍 출감해 영화 활동을 계속했다.
당시 조사위가 발표한 빨갱이들은 300여명에 달했었다. 이런 ‘마녀 사냥’으로 블랙리스트에 오른 사람들은 그 뒤로 수십 년간 일자리를 못 구해 자살한 사람들도 있고 일부는 유럽으로 도주해 창작활동을 했다.
블랙리스트에 올랐던 사람들 중 그래도 밥벌이를 할 수 있었던 사람들은 각본가들. 이들은 가명으로 글을 썼는데 ‘용감한 사람’(1956)으로 오스카 각본상을 받은 로버트 리치는 다름 아닌 달톤 트럼보였다.
비미국적 행위 조사는 사실 2차 대전 후 미국인들의 공산주의와 핵에 대한 공포와 우려를 등에 업은 일종의 정치적 놀음이었다. 블랙리스트 사건은 수많은 창조적인 사람들의 삶을 파괴한 할리웃 역사의 치욕적인 한 부분으로 할리웃은 아직도 당시에 입은 상처와 고통에서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당시 할리웃의 지성인들의 고뇌를 그린 영화로 로버트 드 니로가 나온 ‘의심만으로 유죄’(1991)가 있다.
‘마녀 사냥’을 피해 유럽으로 도주한 사람들 중 유명한 감독이 줄스 댓신(2008년 96세로 아테네서 사망)이다. 댓신은 1940년대 후반 미국 보통사람들의 삶을 로케이션 촬영을 통해 사실적으로 그리면서 각광을 받기 시작했으나 드미트릭이 조사위에서 대신을 공산주의자라고 고발, 영국으로 도주했다. 대신은 영국과 프랑스에서의 짧은 감독생활에 이어 그리스에 정착, 활동했는데 그의 두 번째 아내는 후에 그리스 문화상을 지낸 배우 멜리나 메르쿠리이다.
아메리칸 시네마테크는 15~17일 댓신의 대표작 6편을 에어로(Aero)극장(1328 Montana Ave. 샌타모니카 310-634-4868)에서 매일 2편씩 동시 상영한다.
쪻15일 ▲‘벌거벗은 도시’(The Naked City·1948·사진)-뉴욕을 무대로 한 살인사건. ▲‘일요일은 참으세요’(Never on Sunday·1960)-메르쿠리가 즐거운 창녀로 나온다. 쪻16일 ▲‘리피피’(Rififi·1955)-프랑스 4인조 보석털이들의 한탕. ▲‘톱카피’(Topkapi·1964)-콘스탄티노플 박물관 내 에메랄드 절취사건. 쪻17일 ▲‘밤과 도시’(Night and the City·1950)-런던의 서푼짜리 미국인 범죄자의 필름 느와르. ▲‘도둑들의 하이웨이’(Thieves’ Highway·1949)-아버지의 복수를 시도하는 2차 대전 베테런.
박흥진 편집위원/ hjpark@koreatimes.com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