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으로서의 방학보다 선생이 되어서 맞는 방학이 훨씬 더 좋은 것 같다. 책도 많이 읽고, 음악도 많이 듣고, 연습도 많이 하고, 친구들도 많이 만나고, 여행도 많이 다니고, 영화도 많이 빌려다 보고, 한국 쇼 프로그램과 드라마도 빌려다 보면서 방학을 보내고 있다.
한국 비디오를 보면서 가장 감동을 받은 프로그램 중 하나는, 일요일 저녁 쇼프로그램의 한 코너였는데, 입양을 기다리는 아기들을 미혼의 여성 연예인이 1~2주 돌보아주는 내용이었다.
특별히 뽑혀서 나온 듯, 아기들은 하나 같이 인형처럼 예뻤다. 그리고 육아의 경험이 전무한 미혼의 여성 스타들이 화장도 안 한 맨 얼굴로 TV에 등장해서, 아이를 돌보며 힘들어하고,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아이와 정이 드는 것을 보는 것도 매우 감동적이었다.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매번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었는데, 버려진 아이의 운명이 안타깝기도 했고, 낯선 땅으로 입양되어 가는 아이가 걱정되기도 했고, 날 키워준 사람이 내 생모라는 사실에 새삼 감사하기도 했고, 그 밖에 나도 알 수 없는 여러 가지 복잡한 감정들이 북받쳐 올랐기 때문이다.
고등학생일 때, 콩쿠르에 이겨서 부상으로 유럽과 미국의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청소년 오케스트라와 미시간주 일대를 돌며 순회공연을 한 적이 있었다. 지휘자가 독일인이었고, 동양인은 피아니스트이자 솔리스트인 나 하나였다.
레이크 히긴스 근처의 한 부촌에 도착해서 각자 배정된 호스트 패밀리 집으로 갔을 때, 내가 배정 받은 호스트 패밀리는 매우 여유로워 보이는 백인 노부부였다. 그들은 나를 반갑게 맞으며, 혹시 내가 한국인이냐고 물었다. 그렇다고 했더니 뛸 듯이 기뻐하며, 이웃의 한 가정이 나를 너무 만나고 싶어한다며 전화를 한 통 한 후 나를 데리고 집 근처의 호숫가로 나갔다.
맞은 편에서는 두돌 정도 되어 보이는 동양 여자아이를 안은 백인 부부가 걸어오고 있었다. 그 아이는 한국에서 입양된 지 얼마 안 되었고, 이름은 ‘수잔’이며, 아이를 입양한 젊은 부부는 둘 다 의사인데 아이를 가질 수 없어서 입양을 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아이가 아직 한국에 대한 기억이 어렴풋이 남아있는 상태라, 같은 한국사람을 만나게 해주고 싶은데 그 동네에는 동양 사람이 없어서 내가 온다는 소식을 듣고 기다렸다고 했다.
내가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 어색하게 웃음 지으며 서 있는 사이, 아빠가 안고 있던 아이를 내려놓자 놀랍게도 아이는 나를 향해 열심히 뒤뚱뒤뚱 걸어오며 ‘수잔, 수잔…’을 외치면서 손가락으로 날 가리키는 것이었다. 다른 생각을 할 새가 없이 내게 온 아이를 안아 올렸다. 아이는 내 품에 안겨서도 계속 날 가리키며 ‘수잔, 수잔…’이라고 말하는 것을 그치지 않았는데, 아마도 자신과 비슷하게 생긴 사람을 만났기 때문에, 나도 ‘수잔’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아이의 부모는 내게 한국말을 좀 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나는 ‘수잔, 몇 살이야? 아이, 예쁘다. 밥 많이 먹었어?’ 따위의 말을 건넸지만 아이는 내 말을 하나도 알아듣지 못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이제 밥을 먹을 시간이라며 엄마가 안고 갈 때 내 쪽을 돌아보며 악을 쓰고 울던 기억이 아직 생생하다. 그 어린 나이에도 아이는 낯선 사람들 틈에서 비슷하게 생긴 나를 만나서 뛸 듯이 반가웠나 보다. 너무 좋은 부모님을 만나서 잘 살고 있을 테지만, 그 아이가 앞으로 안고 살아갈 아픔이 느껴지는 듯 해서 오랫동안 잊을 수 없었다.
아이를 갖지 못해서 힘들어하는 부부들이 한국 내에도 꽤 많을 텐데, 유난히 내 핏줄을 선호하는 한인들의 정서상 많은 아이들이 해외로 입양되어 지는 것 같다. 특히 아들의 아들의 아들로 이어지는 호주제 때문에, 그나마 시집가면 남의 집안 호적에 입적되는 딸을 입양하는 것을 선호한다니, 더욱 가슴이 아팠다.
나를 키워주신 부모님이 나의 생부, 생모이고, 한 어머니와 한 아버지를 가진 입장이라는 게 사실은 얼마나 감사해야 할 일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렇지만, 생부, 생모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정만을 ‘정상적’인 가정으로 인정하고, 나를 키워준 부모가 생부, 생모가 아닐 경우, 이를 비정상적인 가정으로 치부해 버리는 사회적 편견은 하루 빨리 없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가정이 어떻게 핏줄로만 이루어질 수 있겠는가. 생판 남이던 남녀가 만나서 가정을 이루듯이, 버려진 아이를 입양하는 것 또한 기쁨이고 운명이며, 정상과 비정상의 잣대로 나누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생각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