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비 잇단 고배 속 대학서 교수직 코스 ‘아웃’…강등 감수한 ‘외길’ 집념
▶ 헝가리서 ‘종잣돈’ 곰 인형 뱃속에 넣고 미국 이민…암 진단 등도 극복
‘외국여성’ 냉대받기도, 공동수상 와이스먼 든든한 우군…2013년 바이오엔테크行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받은 커리코 교수[로이터=사진제공]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구자인 '백신의 어머니' 커털린 커리코(68) 헝가리 세게드대학 교수가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헝가리 출신으로, 미국 대학에서 사실상 쫓겨날 위기까지 감수하면서도 mRNA 개발에 매달린 끝에 코로나19의 싸움에서 인류에 큰 기여를 한 그의 집념에 찬 인생 역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AFP통신은 2일 커리코 박사에 대해 "mRNA 백신의 길을 닦은 과학 이단아(매버릭·maverick)"이라고 촌평하며 미 대학 측이 한때 그의 연구를 '막다른 길'로 치부하면서 교수직도 잃어야 했다고 전했다.
AFP 통신과 미국 기술 전문매체 와이어드, 뉴욕타임스(NYT),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커리코 박사는 1955년 헝가리 동부의 시골 마을에서 수도와 TV, 냉장고도 없는 가난한 푸줏간집의 딸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회사 경리였다. 그는 과학자를 만난 적이 없었지만,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는 과학을 잘했으며 8학년 때 생물학 분야에서 전국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가 평생의 화두인 mRNA에 처음 매혹된 것은 고국 헝가리에 있는 세게드대 학부생 시절인 1976년이었다.
대학원 때인 1978년 그는 RNA를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임신 중에 박사 논문을 썼다.
이후 1984년 유전자증폭(PCR) 기법의 개발을 필두로 미국에서 mRNA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커지자 커리코 교수는 mRNA 연구를 위해 미국에 가야겠다고 결심했다.
커리코 교수가 일했던 연구실의 예산이 끊긴 것이 계기가 됐다.
1985년 미국 템플대에서 연구직 일자리를 얻은 그는 남편과 두 살 난 딸, 그리고 암시장에서 자신들의 차를 판 '종잣돈' 900파운드(약 148만원)를 배 속에 집어넣은 곰 인형 한 개를 들고 미 필라델피아로 이민하는 도전을 감행했다.
당시 공산국가였던 헝가리는 100달러까지만 국외 반출을 허용했기 때문에 직접 '집도'해 곰 인형에 돈을 숨겼다.
그는 현재도 이 인형을 딸이 어렸을 때 사용한 방에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이후 mRNA가 동물실험 결과 체내에 들어가면 면역계의 염증 반응을 일으켜 동물이 즉사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미국 내 mRNA 연구 열기도 얼어붙었고, mRNA 연구에 매달리던 그의 입지도 위태로워졌다.
미국 의대에서는 통상 연구를 위해 연방정부 등 외부에서 연구 보조금을 타와야 하지만, mRNA 분야가 가라앉으면서 그는 mRNA 연구비 조달을 위한 보조금 지원서를 내는 족족 떨어졌다.
이에 1995년 무렵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측은 mRNA가 비실용적이고 그가 시간 낭비하고 있다고 판단, '최후통첩'을 내렸다.
그는 교수로 선임되는 코스를 밟고 있었지만, mRNA를 계속 연구하려면 교수직을 포기하고 하위 연구직으로 강등되는 것을 감수하라는 것이었다.
그는 2020년 12월 AFP와 가진 인터뷰에서 "나는 승진 예정이었지만, 그들(학교)은 바로 나를 강등시켰고 내가 학교에서 나가게 되리라고 예상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영주권이 아직 없어서 비자를 갱신하려면 일자리가 필요한 상태였으며, 같은 펜실베이니아대를 다니던 딸의 비싼 학비도 교직원 할인 없이는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게다가 같은 주에 암 진단을 받는 최악의 불운까지 그에게 닥쳤다.
그는 암 수술을 받으면서 자신의 진로를 고심한 끝에 강등의 수모를 받아들여 박봉으로 근근이 살아가는 하위 연구직으로 버티면서 mRNA 연구를 놓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는 당시 "난 그저 연구실의 연구 테이블이 여기 있고 더 나은 실험을 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고 AFP에 말했다.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그는 실험실을 떠돌았으며 대개는 연간 6만 달러(약 8천151만원) 이상을 받지 못했다.
한번은 커리코 교수의 남편이 그의 시간당 임금을 계산한 결과 1달러 정도였다고 NYT는 전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자인 그의 남편은 커리코 교수가 주말이나 저녁에 연구실에 갈 때 "일하러 가는 게 아니라 즐기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한다.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홈페이지와 와이어드 등에 따르면 이렇게 어렵게 버티던 그에게 1997년 같은 대학으로 옮긴 드루 와이스먼 교수와의 만남은 전환점이 됐다.
당시 이미 저명한 연구자였던 와이스먼 교수는 외부 연구비를 조달할 수 있었다.
의학 저널을 복사하기 위해 같은 복사기를 놓고 다투면서 그와 친해진 와이스먼 교수는 그와 평생의 mRNA 연구 파트너가 돼 연구비 문제를 풀어줬다.
커리코 교수는 "나는 mRNA로 뭐든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와이스먼 교수가 자신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만들고 싶다고 말하자 커리코 교수는 "난 그것을 할 수 있다"고 답한 것이 인연의 시작이었다.
커리코 교수는 2020년 와이어드와 인터뷰에서 당시 "내 월급은 같이 일하던 기술자보다 낮았지만, 드루(와이스먼 교수)는 나를 지지해줬다"며 "그것이 내게 낙관주의를 심어줬고 내가 (그 연구를) 계속할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커리코 교수의 호언장담에도 그의 연구는 정체됐다. 실험 장비를 통해서는 자신이 선택한 대로 단백질을 만들도록 하는 mRNA를 만들 수 있었지만, 쥐 등 생명체에서는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커리코 교수는 "나는 슬펐다"면서 "내가 어떻게 그걸 놓쳤을까"하고 당시 반문했다고 한다.
나중에 이는 면역 반응에 따른 염증으로 드러났고 커리코 교수는 '왜 내가 만든 mRNA를 생명체는 다르게 인식할까'라는 또 다른 수수께끼에 부딪혔다.
커리코 교수와 와이스먼 교수는 결국 '운반 RNA(tRNA)'와의 비교군 실험을 통해 그 이유가 '슈도우리딘'이라는 염기와 관련돼 있다는 것을 발견해 냈다.
자연 상태의 mRNA에 있는 슈도우리딘이 있을 경우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들은 2005년 연구를 발표했으며 특허 출원도 했다. 또 상용화를 위해 RNARx라는 회사도 설립했으며 mRNA의 빈혈 치료 연구로 국립보건원으로부터 소규모 보조금도 받았다.
이들의 연구 지원 요청은 대부분 거부됐고 주요 과학 저널 역시 연구물 출판을 거부했다. 연구 결과가 학술지 면역력(Immunity)에 공개된 뒤에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당시에도 이미 시대를 앞선 연구였기 때문이다.
와이스먼 교수는 "우리는 제약회사와 바이오테크 회사, 벤처캐피털리스트와 많은 얘기를 했지만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다"면서 "우리는 소리쳤지만 아무도 들으려고 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결과적으로 독일의 바이오엔테크, 미국의 모더나 2곳이 연구에 관심을 보였다.
커리코 교수는 2013년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측에서 교수진 직위 회복을 재차 거부하자 mRNA 백신을 개발하던 바이오엔테크의 스카우트 제안을 받아들였다.
커리코 교수는 당시 "그들은 회의를 열고 내가 교수진 수준이 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내게 말했다"며 "내가 (바이오엔테크로) 떠난다고 말하자 그들은 '바이오엔테크는 웹사이트도 없는 곳'이라며 비웃었다"고 와이어드에 털어놨다.
그는 또한 남성이 지배적인 미국 과학계에서 외국인 여성으로 때로 저평가받는 경험을 겪기도 했다.
커리코 교수는 강의 후에 사람들이 와서 "당신 상급자가 누구냐"고 물은 적도 있었다며 "그들은 (외국인) 억양이 있는 저 여자 뒤에는 더 똑똑하거나 한 누군가가 있을 거라고 항상 생각했다"고 말했다.
결국 이런 집념의 연구가 20여년 이어진 끝에 그와 와이스먼 교수는 코로나19 mRNA 백신의 핵심 기술 개발자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됐다.
그는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에 딸에게 '오늘 뉴스를 보라'면서 뉴스를 직접 알렸다.
한번은 "내일 일어나자마자 구글에서 바이오엔테크를 검색하라"고 말하기도 했다.
2020년 11월 7일 바이오앤테크와 파트너사인 화이자의 연구 결과를 통해 mRNA가 코로나19에 강력한 면역력을 제공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커리코 교수는 남편에게 "효과가 있다"면서 "그럴 줄 알았다"고 말했다.
그는 축하하는 차원에서 초콜릿 땅콩 한 상자를 먹었다고 한다.
커리코 교수와 와이스먼 교수는 같은 해 12월 18일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다.
언론 공개로 진행된 이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박수를 치자 눈물을 흘렸다.
커리코 박사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는 지금은 세상을 뜨고 없는 어머니가 한결같이 보내준 응원의 힘이 버팀목이 됐다.
커리코 박사는 이날 노벨상 수상 소식 후 스웨덴 라디오와 한 인터뷰에서 "내가 교수도 아니던 10년 전에도 어머니는 노벨상 발표 소식에 귀를 기울였다"며 "어머니는 항상 방송을 들으면서 '어쩌면 네 이름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당시 나는 연구비를 받지 못했고 팀도 없었기 때문에 웃어넘기기만 했다"며 "그때는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고 강등돼서 교수도 아니었다. 그래서 어머니의 말씀에 '말도 안 된다'고 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커리코 박사의 딸 수전 프랜시아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미국 조정 대표팀으로 출전, 두 차례 금메달을 딴 유명 조정선수이기도 하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