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희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당뇨병은 고령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질병이지만 최근 20, 30대 젊은이들이 이 질환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고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당뇨병은 고혈압, 치매, 파킨슨병, 뇌혈관 질환 등과 함께 5대 노인성 질환이다. 이들 질환이 주로 고령층에게 발생하기에 붙은 이름이다. 그런데 최근‘65세 미만 만성 대사성 질환 진료 현황’에 따르면 2021년 노인성 질환 환자가 610만 명으로 2018년보다 10.5% 증가했다. 특히 2021년 20대 당뇨병 환자는 3만8,000여 명으로 2018년보다 41.5% 늘었다(건강보험관리공단). 문제는 환자가 나이가 어려 인지도가 낮으며,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인인 이상지질혈증이 동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최성희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를 만났다. 최 교수는“최근 20, 30대에게 당뇨병 및 이상지질혈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 질환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 잘 관리하지 않는다”며“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꾸준히 치료받기 위해 질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홍보,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젊은 당뇨병’이 많아지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10년간 20, 30대 젊은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젊은 당뇨병 환자 중 70% 이상에서 비만군으로 분류됐는데, 이는 2006년(50%)보다 20%포인트 높다. 문제는 체질량지수(BMI)가 30㎏/㎡((2차 고도 비만)를 넘는 20, 30대 비만형 당뇨병 환자가 20% 이상이라는 점이다. 이처럼 최근 20, 30대에서 당뇨병이 급증한 이유는 2030세대에서 고도 비만 환자를 포함한 비만 인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는 서구화된 식습관, 고칼로리 배달 음식 증가 및 운동량 감소 등 환경적 요인도 크게 기여한다. 전 세계적으로도 20, 30대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당뇨병학회는 당뇨병 선별 검사 기준을 45세 이상에서 35세로 낮췄으며, 당뇨병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ㆍ심혈관계 질환 등 당뇨병 위험 질환이 있으면 나이와 관련 없이 당뇨병 선별 검사를 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젊은 나이에 당뇨병에 걸리면 어떤 문제가 있나.
20, 30대 당뇨병 환자의 70~80%는 이상지질혈증도 갖고 있다. 이상지질혈증이란 ‘나쁜’ LDL 콜레스테롤이 높거나 ‘좋은’ HDL 콜레스테롤이 낮거나 고중성지방혈증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심근경색ㆍ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핵심 인자로 알려져 있다. 즉, 20, 30대 비만형 당뇨병 환자가 늘고 있는 것은 이상지질혈증이나 고혈압 동반율이 높고, 혈당 수치도 높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위험 인자에 장기간 노출돼 있기에 심혈관계 질환 발생 및 사망 확률이 매우 높다. 보통 당뇨병으로 진단되기 전에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서 당뇨병 전(前)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당뇨병 환자보다 2배 정도 많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건강검진 등을 통해 조기에 당뇨병 관련 질환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은 만성질환으로 알려져 있는데, 어떻게 치료하나.
당뇨병은 만성질환이기에 무엇보다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국가건강검진에서 혈당 수치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공복 혈당(2회 이상 100㎎/dL 이상일 때)이 높거나 당화혈색소(HbA1c)가 5.7% 이상이라면 당뇨병 전 단계 또는 조기 당뇨병일 수도 있으니 당뇨병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다. 이미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는 단순당을 낮춘 식사와 함께 하루 40분 이상 주 3~4회 유산소운동을 하는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아울러 공복 및 식후에 혈당을 자주 측정해 당뇨병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혈당 수치가 높으면 병원을 찾아 약물이나 인슐린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밖에 당뇨병 약물에 대한 인식 개선도 필요하다. 저혈당 등 당뇨병 약물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으로 약 복용을 꺼려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환자가 있다. 이는 치료 시기를 놓쳐 여러 당뇨병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문의와 충분히 협의하면 부작용 없이 여러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기에 전문의 지시를 따르고 필요하다면 약을 복용해야 한다.
-당뇨병ㆍ이상지질혈증을 치료ㆍ관리하려면 어떤 정책 지원이 필요한가.
20, 30대 당뇨병 환자 중 70% 이상이 이상지질혈증도 갖고 있다. 그러나 정작 본인들은 이 질환에 걸린지도 모르는 이가 많고, 진단받아도 약물 치료를 제대로 받는 이가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이는 일반 건강검진 결과에서 이상지질혈증을 ‘일반 질환’으로 분류해, 질환 경각심을 낮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질병에 대한 낮은 인식과 관리로 인해 국내 사망 원인 2위인 심혈관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