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사들이 쓰는 단위 중 ‘꼬집’이라는 말이 있다.
한동안 백종원을 비롯한 여러 쉐프의 요리 동영상을 즐겨보았다. 그때 알게 된 말이다. 꼬집이라는 말을 고집스럽게 놓지 않는 분들이 있었는데, 어느 날부턴가 그 낯설고 생경한 말이 마음 밭을 맴돌기 시작했다. 나도 음식을 할 때마다 ‘설탕 반 꼬집, 소금 한 꼬집’ 하며 소리 내어 쓰다 보니 어느새 정이 들었다. 습관처럼 해왔던 내 행동에 새로운 이름을 명명 받은 기분이랄까, 재밌고 새로웠다.
꼬집은 손가락으로 꼬집듯 식재료를 집은 양을 말한다. “한 꼬집은 엄지와 검지로 꼬집듯 집어 올린 양이다.”라고 말하는 이도 있고, “아니다. 그건 반 꼬집이고 엄지와 검지, 중지를 이용해 꼬집듯 잡은 양이 한 꼬집이다.”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누구의 어떤 말이 맞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어차피 사람마다 손 크기가 모두 달라서 정량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이 없으니 가타부타 따지고 고집부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영어에도 꼬집에 해당하는 말이 있다. “A pinch of~”이다. 핀치는 엄지와 검지로 조금 집어 올린 양이다. 보통은 계량컵이나 숟가락을 사용하고 음식을 만들다 조금 부족하여 추가할 때 손가락으로 집어넣는다. 그건 동서양이 같은 모양이다. 꼬집의 매력은 ‘적당히’가 아닐까 싶다. 그러니 자기 방식대로 적당량을 집어 음식만 잘 만들면 될 일이다.
꼬집이란 말은 몰랐지만, 엄지와 검지로 양념을 집어 간을 맞추는 일은 오래전부터 해 온 일이다. 뚜껑에 구멍이 숭숭 나 있는 소금 통은 당최 소금이 나오는지 안 나오는지도 잘 모르겠고, 한꺼번에 훅 쏟아져나와 음식이 소태가 되기도 해서 차라리 두 손가락으로 집어 골고루 솔솔 뿌리는 게 편했다. 계란프라이가 그랬고, 김을 잴 때도 그랬다. 내 손만큼 내 적당량을 아는 도구는 없었다. 볶은 통깨도 굳이 절구에 빻아 깨소금을 만들어 쓰지 않아도 두세 꼬집 정도는 손가락으로 비벼서 부숴가며 쓰는 게 편했다. 살림을 오래 하다 보니 손이 저울이고 눈이 계랑 컵이어서 계량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어지간하면 간이 맞았다.
밥을 하다가 ‘결혼 초부터 지금까지 부엌에서 보냈던 시간을 합산하면 총 몇 시간이나 될까?’ 하는 생각이 뜬금없이 들었다. 시금치 삶는 법을 몰라서 처음부터 물에 넣고 푹푹 삶았던 새댁이 무로 열 가지 넘는 음식을 할 줄 아는 고수가 되었으니 짧은 시간은 아닐 것이다. 음식 만드는 게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무엇보다도 내가 만든 걸 맛있게 먹어주는 이들이 있어서 실력이 빨리 늘었던 것 같다. 부엌 안에서 이룬 업적은 많은데 부엌 밖에서 이룬 게 별로 없다. 아직도 음식 만드는 게 싫진 않은데, 이번 생에 내 꿈을 이루고 갈 순 있을까 하는 생각에 이르면 단전에서부터 부아가 끓어오른다. 그럴 때마다 내가 부엌에만 안 들어갔으면 나라도 구했을 거라고 너스레를 떨곤 한다. 어쩜 그런 말을 얼굴색도 안 변하고 그렇게 잘하는지 내가 생각해도 참 민망하다. 그래도 한때 박장금이란 소리를 들었으니 그걸로 위안 삼아야 할 것 같다.
음식을 하다 보면 더도 덜도 아닌 딱 소금 한 꼬집으로 간이 해결될 때가 있다. 물론 사람마다 양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손가락 끝으로 조금 집을 수도 있고 덥석 집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 그 양을 아는 건 자기 자신이다. 오랜 경험은 필요한 양을 정확히 잡게 만든다. 노하우 역시 실패가 쌓여 축적된 결과치여서 마찬가지다. 망쳐보고 실패해봐야 얼만큼을 넣어야 할지 감이 오는 것이다. 음식을 잘한다는 건 결국 간을 잘 맞추어 가는 일이다. 아무리 보기 좋은 음식도 간이 맞지 않으면 손이 안 가는 법이다.
꼬집은 국어사전에 없는 말이다. 하지만 언젠가는 표준어로 등록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이 많이 쓰기도 하고 예쁜 말이기도 하니까. 꼬집과 비슷한 말로 자밤이라는 말이 있으나 옛 소설에 등장했을 뿐 실생활에선 거의 쓰지 않는다. 그러나 날개가 나래, 냄새가 내음, 돌담이 흙담, 목물이 등물로 함께 쓸 수 있게 된 사례처럼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하는 말이 표준어로 추가되곤 하니 주시하며 기다려볼 참이다.
문학을 한다는 사람이 사전에도 없는 말을 굳이 쓴 이유는 꼬집이 주는 역할과 느낌이 좋아서였을 것이다. 대수롭지 않은 사적인 이야기에 뭔가 한 꼬집 넣어 간이 맞는 글을 쓰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글도 간이 맞아야 맛있다. 그 한 꼬집이 사랑일지, 감성일지, 자책일지, 칭찬일지, 독설일지, 아니면 희망일지 아직은 나 자신도 알지 못한다. 다만 내 언어의 꼬집들이 독자가 공감하게 될 신의 한 수가 되어주길 바랄 뿐이다. 아무쪼록 내 언어의 꼬집들이 뭔가를 꼬집어 뜯는 게 아니라 한 꼬집 넣음으로 모자라거나 넘치지 않게, 고집스럽지 않게, 그리고 훈훈하고 잘 어우러지도록 버무려주는 역할을 해 주었으면 좋겠다.
<
박인애 시인·수필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제목 선택과 글이 참신합니다
전 전말입니다 누가 뭐란다고 알아주든 몰라준다고 좀 서운이야 할지언정 나를 나무라는걸로 끝을내고 난 나대로 모든일을 밀고나가는 버릇이있답니다 물론 다른이들은 나보고 고집불통이라 한다지만 그러면 어떤가요 내가언제 당신을 괴롭힌일이 있든가요 나는 내길을 너는 네길을가면 그만인겅 왜 왜 사람들은 남의일에 그리도 말들이 많은지 증말 증말 모를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