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관심 때문에 많이 찾아보는 노년문제를 다룬 책들에 거의 빠짐없이 등장하는 이름이 있다. 노년의 ‘긍정효과’ 연구로 유명한 스탠포드 대학 심리학자 로라 카스텐슨이다. 카스텐슨은 거의 200명에 달하는 사람들의 정서적 경험을 몇 년에 걸쳐 추적했다. 결과는 일반의 예상을 깨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불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인 감정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다른 연구에서 카스텐슨 교수팀은 젊은 사람들과 나이 든 사람들에게 즐겁고 행복한 사진(강아지, 웃는 아기, 해 저무는 사막 풍경)부터 언짢거나 슬픈 사진(뱀, 병원에 입원한 노부부)들을 보여주었다. 얼마 후 조사해보니 젊은 사람들은 부정적 사진을 더 많이 기억한 반면 나이 든 사람들은 긍정적인 사진을 2배나 더 많이 기억했다.
나이가 들수록 갖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보다는 가진 것에 대한 소중함을 더 많이 느끼게 된다. 젊었을 때는 쾌락적이면서 찰나적인 행복을 추구하지만 나이가 들면 다른 종류의 행복을 추구하게 된다. 삶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절감할수록 삶의 초점은 ‘지금 여기’로 옮겨오기 때문이다. 카스텐슨의 연구에 따르면 행복감이 가장 큰 시기는 60대 후반에서 70대 초반 사이다.
카스텐슨의 결론은 10여 년 전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이 발표해 화제가 됐던 연령별 행복도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2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보니 젊었을 때 행복도가 최고점을 찍은 후 계속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U자형을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점은 23세와 69세였다. 최저점으로 떨어지는 시기는 55세 전후였다. 중년들이 처한 상황을 떠올린다면 왜 그런지 쉬 이해가 갈 것이다.
팬데믹 기간 중 실시된 미국인들의 심리연구 결과도 일반의 예측을 깨는 것이었다. 팬데믹은 나이든 사람들에게 한층 더 위협적이고 치명적인 상황이다. 이런 스트레스 속에서도 나이든 사람들은 젊은 사람들보다 훨씬 더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 건의 연구에서 예외 없이 같은 결론이 나왔다.
이전 세대 노인들보다 수명이 늘어나고 건강상태가 좋아진 게 노인들의 정서 상태와 무관하지 않겠지만 이들이 느끼는 긍정적 감정의 보다 근본적인 원천은 다른 데 있다. 관점의 변화가 그것이다. 나이를 먹으면서 삶의 동기와 목표가 조금씩 달라지는 것이다. 게다가 다른 이들의 시선으로부터도 훨씬 자유로워진다.
물론 23세 때의 행복감과 69세 때의 그것은 결이 다르다. 젊었을 때의 행복감이 다가올 것에 대한 기대감과 성취에서 오는 짜릿함이라면 69세의 행복감은 현재에 만족하는 잔잔한 감정이다. 파안대소와 은은한 미소의 차이 같다고 할 수 있다. 아마 행복한 순간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도 도파민과 옥시토신으로 조금 다를 것이다.
고대 그리스어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는 흔히 ‘행복’으로 번역된다. 정확한 뜻은 좋은 일이나 덕 있는 일을 함으로써 얻게 되는 정신적 만족을 뜻한다. 그런데 카스텐슨은 뇌를 더 행복하게 하기 위해 에우다이모니아나 인생의 목적 따위를 별도로 추구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그저 몇 십 년을 더 살기만하면 된다”는 것이다.
건강하게 늙어간다면 노년의 행복 걱정은 별로 하지 않아도 된다니 이것이야말로 복음이 아닐 수 없다. 나이가 들어도, 아니 나이를 먹어갈수록 정서적으로 만족스럽고 안정적인 경험을 더 많이 하게 된다는 사실은 적지 않은 위로가 된다. 노화와 함께 불행감이 계속 커져만 간다면 삶은 지옥이 되고 말 것이다,
다행히 조물주는 노화에 발맞춰 부정적 감정에 반응하는 편도체의 기능을 둔화시켜줌으로서 우리가 긍정적 감정에 보다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다. 여기에 삶의 우여곡절과 역경을 통해 얻은 지혜가 더해지면 노년은 비로소 축복의 시간이 된다.
그런 축복의 인식은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을 더욱 소중히 여기고 감사하는 태도로 나타난다. 이것이야말로 세월이 우리에게 선사해주는 소중한 선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이런 놀라운 사실은 팬데믹을 거치면서 다시 한 번 확인되고 있다.
yoonscho@koreatimes.com
<
조윤성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잘 몰랐던 유익한 글을 잘 봤습니다. 어제 바빠서 못 읽었고, 오늘이라도 읽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더욱이나, 미래의 불확실성과 지구의 종말이 가까왔다는 생각때문에 행복감이 굉장히 낮을 것이라 추측됩니다. 더욱 현실적으로는, 일자리가 부족하죠. AI가 생존을 위협하죠. 비싼 렌트비 때문에 희망이 보이지 않죠....등등...
갖자 자기는 자기가 만들고 가꾸고 조정해가면서 매일을살아가는것 남탓하며 남을 괴롭히는자가 있는가하면 같이 어우러져 노래도 춤도 대화도 웃음도 음식도 즐거움도 나눌려는사람들이 있지요 그 모든건 각자의선택 아닌가 합니다, 오늘도 이웃이 나를 웃게도 즐겁게도 성공으로도 행복하게도 만들수있다는걸알아 가는말을곱게 한다면 오는 말도 곱고 향끗하며 먹음직스런 즐거움 행복으로 돌아온다는걸 알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