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갓 잡은 청어를 숯불에 구워 먹는 맛을 아는가? 기름이 잘잘 흐르는 껍질 속에 도톰한 살점, 담백하고 고소한 맛이 입에 살살 녹는다. 볼록한 뱃속의 알 또한 톡톡 입안에서 터지는 그 감촉이 별미이다. 등뼈로 부터 가지쳐 내려 오는 잔뼈가 많지만 조심하면 한꺼번에 떨어져서 어렵지 않다.
청어는 찬바다에 무리지어 살다가 산란기가 되면 해안으로 올라온다. 그 개체수가 너무나 많아서 원양어선에서는 청소기로 흡입해서 잡았다고 할 정도이다. 19세기말까지도 부산 해안에 청어떼가 몰려들면 배를 대지 못 했다고 한다. 조선에서는 비유어(肥儒魚/선비를 살찌우는 물고기)라고 불렀고 임진왜란때에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병사들을 동원해 청어를 수십만 마리를 잡아 말려서 과메기로 만들어 군사와 피난민들의 단백질원으로 사용하셨다고 한다.
하멜의 고향 네덜란드에도 청어가 많이 잡혔다. “동북쪽으로는 넓은 바다가 있다. 그곳에서 매년 네덜란드나 다른 나라의 작살이 꽂혀 있는 고래가 꽤 발견된다. 12월에서 3월까지는 청어가 많이 잡힌다. 12월과 1월에 잡히는 청어는 우리가 네덜란드의 북해에서 잡는 것과 같은 종류이며, 2월과 3월에 잡히는 청어는 네덜란드의 튀김용 청어처럼 크기가 작은 종류이다.” 조선에 억류되어 사는 동안 고향 네덜란드에서 온 청어를 조선에서 보면서 사무치는 고향생각을 했을 것으로 짐작이된다.
청어로 인해 자본주의가 탄생했다고 하면 경제학자들은 무어라고 말할까? 네덜란드는 청어잡이가 국가산업이었다. 하멜이 표류할 무렵에는 네덜란드 인구의 3분의 1이 청어와 관계된 산업에 종사했다고 한다. 청어가 네덜란드 북해에서 가장 많이 잡히기도 했지만 청어 저장기술을 발달시킨 덕분이다. 청어로 부국이 된 네덜란드 정부는 동양무역로를 개척하고자 큰 규모의 배를 주조하기 위한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다.
정부는 동인도회사를 만들고 이를 위하여 선주들에게 투자하게 했다. 최초 60명의 선주가 최소 1만길더(금 100kg)씩 투자했다. 모여진 금이 645만 길더(금 64톤)였다. 한국은행의 2009년 금 보유양이 14.3톤인 것을 비교하면 엄청난 양의 금이다. 투자자들에게는 동인도회사의 이름으로 그 투자액에 상당한 권리증서를 만들어 주었는데 이들이 최초의 주주들이고 이로서 최초의 주식회사가 만들어 졌다.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설립된 후 7년후 암스테르담에 세계 최초의 증권거래소가 생겼다. 이로써 자본주의가 탄생하게 되었다.
자본주의는 국가의 GDP를 올려주었고 인구 증가와 함께 인터넷 보급으로 세계는 더 가까워지게 되었다. 소비를 하지 않으면 경제성장은 없다. 소비를 부추기기 위해서는 물건 값이 싸야 한다. 물건의 값이 싸려면 그물건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을 외부화해야 한다.
원재료의 채취 - 생산 - 소비 - 폐기의 일방적인 컨베이어벨트를 가능한 한 빨리 돌려야 한다. 원재료 채취에서 매립지까지의 한 방향의 컨베이어벨트는 지구의 자원을 쓰레기로 만들어 지구의 땅과 바다를 쓰레기장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독성 화학물질과 플라스틱, 온난화기체는 지구의 하늘과 땅과 바다로 쏟아진다. 생산자도 소비자도 지구에 쏟아지는 유해 영향의 값을 치르지 않는다.
자본주의의에 대한 자성과 변형의 움직임이 전부터 있어 왔지만 경제문제로 부각된 것은 2019년 파이낸셜 타임즈의 1면 ‘자본주의 리셋을 위한 시간’이라는 헤드라인을 볼 수 있다. 그리고 2020년 팬데믹이 닥친 연초 세계경제포럼은 ‘위대한 리셋’을 주제로 본격적인 토의를 했다. 결의 사항으로 세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1) 공정한 경제 성장을 위한 정부의 역할, 2) 지구적인 공동목표인 지속가능성에의 투자, 그리고 3) 4차산업혁명의 기술을 환경, 건강, 사회적 문제에 있어서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데 이용하는 것이다. 정부가 조세, 규제, 재정 정책을 통하여 경제 성장이 환경과 함께 공정하게 이루어지도록 부유세의 조절,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 등을 이끌어 낼 것을 촉구하고 있다.
지구의 바다에 풍부한 청어로 부국이 된 네덜란드의 최초의 주식회사 동인도회사로 시작된 자본주의의 결과는 청어를 포함한 해양 동물을 멸종의 위협에 놓이게 했다. 리셋되는 새로운 자본주의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기관총이 아니라 자연을 복구하고, 물건들이 폐기된 후에도 다시 지구의 자원으로 재생산할 수 있는 순환의 사이클을 만들어 낼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래서 싱싱한 청어떼들이 다시 지구의 바다를 가득 메우고, 산호초가 화려하게 파도에 일렁이는, 하멜이 표류했던 300여년 전의 바다로 복구시킬 수도 있을 것이란 희망을 가져본다.
<
김은영 / 기후 전문가, DC>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