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BB+ 회사채도 투매
▶ 신용스프레드 2010년 그리스 위기 수준 치솟아, 회사채 유통시장 경색에 신규 발행도 개점휴업
A급 금리까지 상승땐 회사채 발행 사실상 스톱
대한항공·두산인프라코어 등 BBB 등급 회사채 금리가 치솟은 것(채권값 하락)은 불안감이 커진 투자자들이 낮은 등급의 채권을 내다 판 결과다.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큰 ‘BBB+’ 등급 이하 회사채가 먼저 시장의 외면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 더욱이 국고채 3년물과 BBB- 회사채의 신용스프레드는 빠르게 그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이달 초 6.73%이던 신용스프레드는 23일에는 7.04%까지 확대했다. 남유럽재정위기가 서서히 위험성을 드러내던 지난 2010년 12월의 7.1%(28일) 이후 가장 높다.
시장에서는 ‘신용 리스크’의 도미노 전이 현상이 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BBB급에 이어 A급 이상 회사채 금리까지 연이어 상승할 경우 정상기업들도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져 자금난을 맞게 되는 탓이다. 투자은행(IB)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용스프레드는 금융시장 재앙의 전조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그냥 넘길 수 없는 지표”라면서 “거의 10년 만에 신용스프레드의 격차가 가장 크다는 것은 위기의 강도가 상당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벼랑 끝 BBB 회사채 시장…“매수세도 없다”
당장 BBB 등급 회사채 시장이 휘청이고 있다. 이날 풀무원 회사채는 월초 대비 16bp(1bp=0.01%) 상승한 5.811%에 거래를 마쳤다. 대한항공은 같은 기간 3.527%에서 3.721%로 약 20bp 급등했으며 AJ네트웍스도 지난주 이틀 연속 21bp 올라 3.719%에 거래됐다. 최근 극단적인 현금 선호 현상으로 국고채 금리마저 오르는 가운데 비우량 회사채 중심으로 금리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IB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이달 중순부터 회사채 수급이 꼬이면서 매도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며 “기관들이 우량 회사채 위주로 비중 조절을 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최근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선 기관들의 ‘패닉셀’도 채권 가격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고채와 달리 신용채권은 종목 수 대비 거래가 적기 때문에 체결된 시장가격을 당일 평가가격에 모두 반영하지 않는다.
회사채 유통시장이 경색되면서 신규 발행 시장도 사실상 문을 닫았다. 통상 3월은 국내 기업 주주총회 일정에 따라 회사채 발행 수요가 많지 않지만 물밑에서는 4월 발행을 준비하는 기업들의 사전 움직임이 바빠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근 하나은행 및 포스코그룹 계열사 포스파워의 수요 예측 실패 등에 따라 유통시장이 크게 휘청이면서 대기업 상당수가 ‘눈치 보기’에 돌입했다. 이번 주의 경우 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 예측이 단 한 건도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초 수요 예측을 진행하는 기업은 롯데푸드·동원시스템즈 등에 불과한 상황이며, 차환이 필요한 우량 대기업들도 수요 예측 결과에 부담을 느껴 사모 발행으로 돌아서는 추세다. 실제로 20일 2년 만에 회사채 발행에 나선 신세계(AA)가 공모 대신 사모를 택해 예상 밖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신용등급 ‘쓰나미’ 오나…“신용평가 일시중단” 극약 처방 주장도
시장에서는 4월 이후 신용등급 연쇄 강등이 올 수 있다고 보고 신용평가기관들의 행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4~6월은 통상 신용평가사들의 정기 평가가 이뤄지는 기간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신평사들이 연초부터 재무 부담이 큰 기업들 위주로 발 빠르게 신용등급을 내렸지만 4월 이후에는 더 많은 기업이 강등 대상에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이마트·OCI·현대로템 등이 이미 신용등급 조정을 마친 기업들이다.
정상기업들도 실적 악화는 수순이다. 미국·유럽·인도 공장이 차례로 문을 닫은 현대·기아차의 경우 비상경영을 선언하고 본사 직원들의 재택근무를 중단하기로 했다. 대한항공 등 항공업은 매출 부진의 직격탄을 맞았고 우량기업으로 평가되는 신라호텔 등 숙박업도 1·4분기 실적이 곤두박질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평가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단기 마무리될 가능성은 이제 상당히 낮아진 상황이어서 이번 사태가 6개월 이상 장기화된다는 전제하에 신용등급을 평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신용등급 강등은 한계 기업에는 사형선고와도 같다. 등급이 떨어질 경우 자금조달 자체가 막히거나 막대한 조달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산업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때로는 극단적인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외부적 요인에 의한 특별한 상황인 만큼, 신평사들이 기업에 대한 신용평가를 한시적으로 중단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실제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국가신용등급을 낮추자 당시 미 재무장관은 S&P 사장을 경질했다. 사실상의 무력을 행사한 것인데, 무디스 등 여타 신용평가기관이 미국에 고개를 숙이면서 추가 신용등급 강등을 막기도 했다.
<
서일범·김민경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