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금리의 역습’ 오나-세계 부채 6년 새 50조달러 늘어 미 금리 오르면 신흥국‘파산 위기’
▶ 미국 우량기업도 ‘부메랑’ 뭉칫돈‘안전한 미국’으로 몰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저금리의 역습’이 시작될 것이라는 경고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지속돼온 초저금리의 여파로 눈덩이처럼 불어난 신흥국 가계·기업부채가 새로운 위기의 뇌관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미 기업의 부채 규모기 2배로 늘어난 가운데 연준의 금리인상 때는 주가·채권시장이 충격을 받을 것이라는 비관론도 나온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올 1분기 현재 전 세계 부채는 240조달러로 2009년 이후 50조달러 늘었다고 밝혔다. 18개 신흥국의 부채 규모는 같은 기간 28조달러나 급증하면서 거의 2배인 58조6,000억달러로 치솟았다. 이들 신흥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무 비율도 150%에서 195%로 올랐다. 미국·유럽 등의 양적완화로 풀린 돈이 홍수처럼 밀려갔기 때문이다.
특히 신흥국의 가계·기업부채는 위험수위에 달한 상태다. 전 세계 가계의 빚은 44조달러로 2007년 이후 7조7,000억달러 늘었으며 신흥국이 6조2,000억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성인 1인당 부채는 3,000달러였다. 한국은 무려 3만달러로 신흥국 가운데 성인 빚이 가장 많은 나라라는 불명예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한국 등 일부 신흥국의 경우 금리인상 때 주택가격 하락과 가계파산 위험에 직면할 것으로 IIF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중국은 주택담보 대출 비율이 높아 집값이 떨어지면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며 “말레이시아 주택부문도 경기둔화, 금리인상, 집값 하락 등이 동시에 발생하는 퍼펙트스톰에 취약하다”고 경고했다.
또 연준 통화정책이 정상화되면 ‘부채의 늪’에 빠진 신흥국 기업이 도산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신흥국 비금융기업 채무는 23조7,000억달러로 GDP의 89%에 이르면서 금융위기 이전의 선진국 비금융기업 부채 비율을 넘어섰다. 지난 5년간 증가한 부채는 13조달러로 이전 10년간 증가분의 5배에 달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럽·일본 등의 양적완화 지속에도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자금 조달) 상황이 바뀌고 있다”며 “일촉즉발인 신흥시장의 신용경색 위기가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 노력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까다로워진 대출심사 때문에 빚을 얻기도 어려워진 가운데 달러화 강세로 외채상환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
‘저금리의 부메랑’을 맞을 위기에 처하기는 미 우량기업도 예외는 아니다. 골드만 삭스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기업의 올 9월 부채규모는 3조5,000억달러로 금융위기 이전의 2배로 늘었다. 이들 기업은 올 들어서만도 8,000억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이 때문에 조달금리는 2009년 6% 정도에서 최근 4%로 하락했지만 부채 총액이 늘면서 이자 부담은 40%나 급증했다. 세전·이자지급 전 이익(EBITA) 대비 순부채 비율도 1.8배로 10년래 최고치에 달했다.
더구나 연준이 기준금리까지 올리면 달러 강세로 기업 실적이 둔화되고 회사채 투자 열기도 꺾이면서 시장금리 상승에 재무 건전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新) 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 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연준의 금리인상은 시장 동요와 성장 약화를 초래하면서 증시에도 해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월가 경제 칼럼니스트인 어윈 켈너도 마켓워치 기명 칼럼에서 “미 증시가 하강국면에 진입했다고 단언할 상황은 아니지만 6년간 이어진 오랜 파티는 이제 끝났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투자자금은 미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4일 기준 글로벌 상장지수 펀드(ETF) 중 미국 ETF에만 한 주간 71억1,200만달러가량이 몰렸다. 이처럼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방향을 선회하는 것은 최근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투자처를 찾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금리인상이 현실화되면 대부분 국가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환율 하락 등으로 영향을 더 크게 받는 신흥국보다는 미국이 덜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을 때 신흥국 ETF는 지난달부터 이어온 자금 유입이 중단됐다. 아시아 신흥국 ETF에는 지난 4일 기준으로 주간 자금 유출액이 6억6,700만달러였고 동유럽과 중동·아프리카 등 신흥국에서도 5,000만달러가 빠져나갔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