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란 이름의 글쟁이가 글쓰는 펜대를 놓지 못하는 이유는 단 몇 사람일망정 그의 글을 즐겨 읽어주는 애독자가 있기 때문인지 모른다. 내 글이 나오는 날이면 그날 아침으로 어김없이 걸려오는 문우(글벗) L형의 전화, “오늘 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라는 찬사는 나에게 밝은 하루를 열어 준다. 그리고 내 수필이 나온 그날 아니면 그 다음날로 “형님의 글에는 언제나 나이를 초월한 동심이 바탕에 깔려 있어 정말 좋습니다”라는, 나와 함께 오피니온 란에 글을 발표하고 있는 K 글벗의 평가 또한 나를 기쁘게 해 준다.
뿐만 아니라 역시 나와 같은 지면에 글을 싣고 있는 또 다른 문우 K형, 화가인 그의 부인의 내 글에 대한 소감까지 곁들여 전해주는 그의 자상함은 나로 하여금 글 쓰는 재미를 느끼게 한다. 그리고 시조시인인 C형의 전화나 신문에 글로써 내 글에 대한 찬사는 나에게 또한 글 쓰는 보람의 날개를 달아 준다. 어쩌면 나는 이러한 후배 문우들의 ‘찬사란 장단’에 맞춰, 나이 값 못하고 철딱서니 없이 춤추는 어린아이 같은지 모른다.
한편 태평양 넘어 그 땅, 서울로 광주로 경주로 그리고 내 고향 통영으로, Email로 보내지는 내 글에 대한 반응이 메아리 되어 되돌아오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2005년 한국문인협회 주관의 <주평동극상> 제1회 수상자이자, 베스트셀러 동화작가이기도 한 이현! 내가 친딸처럼 여기고 있는 현이가 9년에 걸쳐 내 수필을 읽어오면서 보내오는 숱한 편지 중에서도 지난달에 보내온 편지, “선생님은 어떻게 그렇게 글을 재미있게 쓰세요? 선생님의 글을 읽고 있으면, 재미있는 영화 한 편을 보는 것 같아요”라는 편지는, 이 지역 문우들의 반응과 함께 내 글 쓰는 맛을 더해 주는 양념 같은건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러한 칭찬이 내가 글을 쓰는 이유이자, 원동력이라고 말하고 싶다.
한편으로는 30년이 넘는 역사와, 지방신문으로서는 꽤 많은 부수를 찍고 있는, 내 고향 통영에서 발행되는 <한산신문>, 이 신문을 받아보고 있는 전국에 흩어져 살고 있는 통영인(사람)들이 이 신문에 5년 전부터 전재(옮겨실음)하고 있는 내 수필을 읽고는 전화로 편지로 그리고 내가 한국방문 때 내게 내 글을 읽고 있으면 떠나온 고향을 생각케 한다는 그들의 말에서 고향이 지척인 그들이나, 멀리 떠나와 사는 나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향수는 마찬가지란 생각이 든다. 한편 지금은 70 고개를 넘어선 할머니가 되어 있을, 내가 가르친 그 가시나들이 한산신문을 통해 내 글을 읽는다면 60년 전 내가 교편생활을 그만 두고 교문을 나설 때 2층 교실 창가에 매달려 “선생님 잘 가이소!”라고 하던, 그 팃기 없던 소녀시절을 다시 떠올렸을까? 하는, 상상의 날개를 펴본다.
나는 수필 전문작가가 아니면서도 많은 편수의 수필을 써 왔다. 그러면서도 나는 수필가라고 말해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나는 모든 걸 버리고 아동극 극본을 써 온, 아동극 전문작가일 뿐이다!오늘도 내가 글 쓰는 방에 앉아, 여느 때처럼 음악을 낮게 깔아놓고, 새로운 동극 <넝쿨꽃과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구상하고 있는데 ‘따르릉’하고 부엌 쪽 거실의 전화벨이 울린다.
시도 때도 없이 걸려오는 그놈의 솔리스팅 벨(광고전화)이겠지 하고 관심을 두지 않고 있는데, 부엌에서 저녁상 차릴 준비를 하고 있던 마누라가 수화기를 들어 올린 듯, 벨소리가 딱 멎는다. 이어 “보소, 한국에서 전화 왔소”라는 집사람의 제법 큰 소리가 내 글방까지 들려온다.
또 한 사람의 내 친구가 갔다는 부음이면 어쩌나 하는 방정맞은 생각으로 침실로 가서 수화기를 들고 보니 내 귀에 귀설은 중년 남자의 목소리다. 교육부 위촉의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편찬위원회>의 심의위원이라고 밝힌 그가 나에게 전해준 사연은 위원회에서 내 동극 <숲 속의 대장간>을 금년 9월학기부터 배울, 4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에 그리고 <행복한 왕자>를 내년 3월의 6학년 1학기 교과서에 수록키로 심의 결정했으니 동의해 달라는, 그야말로 작가에게는 까치소리 같은 희소식이었다.
1967년, 내가 제4차 일본순회공연을 마치고 돌아온 지 며칠 후 문교부 편수국에서 걸려온 한 통의 전화! 그 전화로 내 동극작품 4편이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한꺼번에 실리게 되었었다. 그리하여 이 네 편의 내 동극은 장장 28년에 걸쳐 실려 오다가, 1995년 제5차 교과서 개편 때 사라졌었다. 그로부터 19년이 지난 오늘, 다시 내 작품 두 편이 교과서에 실리게 됨으로써 나는 다시 교과서 수록작가가 된 셈이다. 작가라면 그 누구나 자기 작품 한 편쯤이 교과서 수록되기를 희망하는 마당에 나에게 주어진 이러한 혜택은 내가 아동극 극본 쓰기 외길을 걸어온데 대한 보상인지 모른다.
이번에 다시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는 내 작품을 교실에서 학예회에서 배우게 될 또 다른 수천만의 어린이들이 극적인 수업, 재미있는 수업을 받음으로써 그들 가슴에 동심이란 꿈을 키울 것이다. 그렇게 되면 나는 산자락에다 묘목을 심어 놓고 백 년을 기다리는 동화 속의 행복한 산지기 할아버지처럼 나도 어린이의 가슴에다 오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천수답(논) 같은 <동심의 샘>을 파 주는 행복한 글쟁이(작가)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들 어린이들은 나를 고마운 할아버지라고 불러 주겠지! jjkc0531@gmail.com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