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온 일을 향해 뒷걸음질 치지 말라고들 하지만, 오늘도 나는 연어의 회귀(回歸)의 습성처럼, 추억의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내 마음의 쪽배를 띄운다.
여든 셋이란 긴 세월을 흘러 내려온 그 강줄기의 구비구비에서 나는 바위를 감싸고 소용돌이 친 흐름도 있었고, 어떤 때는 미끄럼틀를 타고 내려오듯 한, 순탄하게 미끄러져 흘러 내려온 한 때도 있었던 것같다.
오늘 나는 내 인생의 종막 무대에 서서 뒤돌아 볼 때, 내가 걸어온 아동극 60년의 시발 점이 어쩌면 내 나이 8살 적인 초등학교 2학년 때에 잘못(?) 낀 첫 단추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그 날 거제도 장목심상 소학교(지금의 초등학교)의 학예회 날, 교실 두 칸 사이의 칸막이를 헐고 만들어진 간이극장 무대에 섰던 나와, 학부형 대표로 찬조 출연한 아버지는 우뢰 같은 박수를 받았다.
나는 야마노 오사루상(산 속의 원숭이)이란 동극의 주인공인 원숭이 역할을 익살스럽게 해냈고, 아버지는 그 분의 십팔번인 ‘장타령’을 거지 분장까지 하고 멋지게 해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의 추억의 뱃질은 이어 진다.
내가 통영중학 3학년 때, 그러니까 8.15 해방과 함께 내 고장 통영에서의 유일한 연극무대 극장인 봉래극장에서 나는 해방과 함께 밀려 온 수많은 극단의 연극을 보았다. 그 중에서도 인상적이고 나를 그 세계로 끌어 들인 한 연극이 있었다면, 6.25 때 월북하여 이북의 문화부 장관 자리까지 오른 유명 연극배우 ‘황철’이 출연한 ‘태백산맥’이다.
그 연극에서 혁명가로 출연한 황철의 신기(神技)에 가까운 연기는, 70년이 지난 지금까지 내 뇌리에 찍혀 있다. 그리고 눈물의 여왕 ‘전옥’이 출연한 ‘눈 내리는 밤’ 에서의 그녀의 눈물 연기를 보면서 나도 함께 울었다. 그리고 어느 악극단의 ‘홍도야 우지 마라’ 에 출연한 이름 모를 미남, 미녀 남매의 비정한 현실을 그린, 눈물의 연기도 잊을 수가 없다.
그 후 나는 그들이 연기한 바로 그 극장에서, 중학 4학년 때 나의 국어 선생이었던, 시인 김춘수 선생의 연출로 유치진 선생의 ‘조국’ 에 출연 했고, 대학입시를 코 앞에 둔 중학6학년 때는 ‘마의태자’ 를, 그리고 6.25 피난시절에는 중학시절의 국어 선생이었던 박재성 선생의 작품 ‘산비둘기’에 출연 하기도 했다.
한편 황철이 연기한 그런 스타일의 연극인 김진수 선생의 작품 ‘반역자’에 이어, 큰 적자로 우리 집 재산을 축낸 중국작가 조우의 ‘내우’가 내 고향 통영에서의 나의 마지막 공연이 되었었다. 그리고 나는 본격적인 연극수업을 위해 서울로 발길을 옮겼던 것이다.
그 때부터 반세기가 훌쩍 흐른 지금, 그들과 내가 연기 했던 그 봉래극장은 헐리고 없어졌지만 그 극장 발코니에 올라서서 손님을 끌기 위해 불러 제끼던 악사들의 구슬픈 나팔 소리와, 내가 아버지의 바램과는 달리, 서울도 아닌 지방 도시인 통영에서 사내 자식이 4번이나 무용발표회를 열고, 또 연극에 미쳐 돌아가고 있을 때의 어느날 밤, 술에 취해 곤드래가 되어 밤 늦게 집에 돌아오셔서 화살맞은 늙은 사슴의 신음소리 같은 말투로 “이놈아, 애비 얼굴에 똥칠 작작하고, 내 눈 앞에서 꺼져라!” 라고 뇌이시던 슬픈 대사를 나는 지금껏 내 머리 속에서 지워 버릴 수가 없다.
아버지의 그러한 울부짖음은 그 날 밤 친구와의 술자리에서 “기수(아버지의 이름)야, 너의 큰놈 사람되기는 다 틀렸으니, 아예 딴따라 광대패로 내보내는 게 좋을꺼다!” 라는 비냥거림을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버지는 나를 놓치고 싶지 않아, 여학교 선생질이란 말뚝에 묶어 두어 보았지만, 나는 끝내 그 밧줄을 끊고 서울로 도망쳐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50여년이 지난 지금, 나는 그 분의 의사와는 다른 방향으로 달려온 나의 남다른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 내 고향 통영이 세워 주려는 나의 기념관 건립을 위한 나의 자료를 정리하면서 발견한 우리집 가보(家宝) 제1호 같이 느껴지는 한 권의 책자에 눈길이 머문다.
그 책자란 다름 아닌, 1953년 그러니까 내 나이 23살 때, 전국학생극극본현상 모집에 응모하여 입선한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 뮤지칼 ‘토끼전’의 원본인 것이다. 현상 모집에 응모한 작품은 절대로 돌려주는 법이 없는데, 어찌된 연유에서 인지는 몰라도 지금 그 원본이 내 손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원본이 내 손으로 되돌아 온 것이 어쩌면, 앞으로 세워질지도 모르는 내 기념관 전시장의 첫 자리에 놓여지기를 바랬던, 어떤 예시 같은게 아닐까 하는 추상적인 생각을 해 보기도 한다. 하지만 그 원본에 대한 나의 관심과 애착의 본질적인 초점은 바로, 나의 연극행위를 그렇게도 말렸던 아버지께서 그 작품의 제본(製本)을 손수하셨다는 사실에 있는 것이다.
그 옛날 장목 초등학교에서의 학예회 때에 아버지와 내가 그 날의 주인공이었던 사실을 떠올리며, 아버지의 몸 속에 짙게 잠재되어 있던 예능적인 끼가, 자식인 내 몸 속으로 옮겨져 왔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리고 그 날의 학예회에서, 과연 나의 진로에 대한 첫 단추가 잘못 끼워졌던 것일까 하는 자문과 함께, 저 세상에 계시는 아버지께서 지금의 나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계실까 하는 궁금증도 가슴에 담아 본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