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5시로 예정된 ‘예술의 향기’ 주관의 강연장으로 달려가고 있었다. 내 가슴은 연신 두근거리고 있었다. 그건 후배들이 부탁한 강연을 망칠까봐 하는 염려 때문에서 였다. 그러나 그날의 내 강연은, 뜻 밖에도 기립박수 속에 그 막을 내려 주었다. 그 박수소리는 나의 또 다른 밝은 새벽을 알리는 닭의 울음 소리 같았다.
내 강연이 끝나던 날 밤, 나와 예술의 향기 회원들과의 회식 자리에서 나의 이번 통영 방문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나와는 15년이 넘는 교류가 있는, 이 모임의 회원이자 한산신문의 기자인 김영화씨가 그들 모임에서 나의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면 어떻겠느냐고 넌지시 물어 왔다. 나는 얼떨결에 “고맙다”라고 짤막하게 대답하고는 헤어졌다.
그 다음날 예술의 향기 멤버들과 내가 통영의 밤바다가 저 아래로 내려다 보이는 커다란 회관식 식당에서 다시 만났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들은 나의 기념관을 빠른 시일 안에 건립하여, 운영하다가 내 사후에 통영시에 넘기겠다는 ‘양해각서’를 미리 마련해 왔던 것이다. 그래서 우리들간의 양해각서 서명이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끝났다.
양해각서 서명이 끝난 후 이 모임의 회장이자, 통영시의회 의원이기도 한, 이지연 회장의 내 기념관 건립에 대한 그의 의욕적인 소신 발표에 이어, 그들의 후의(厚意)에 대한 나의 고마움을 전달하는 답변이 이어졌다. 그런데 이 자리에서 그 모임의 부회장이자 통영시의 위촉으로 통영을 빛낸 문화ㆍ예술인에 관한 책자 발간을 맡고 있는, 박우권씨의 나의 기념관 건립에 대한 밝은 전망에 대한 그의 소견을 피력했다.
그가 말한 밝은 전망이란, ‘주 평 선생이 지니고 있는 자료는 다른 분들과는 달리 문학ㆍ연극ㆍ무용ㆍ그리고 동극에 관한 음반과 사진 등,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자료가 많기 때문에 기념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입체적이고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과, 평생을 두고 어린이들의 정서교육과 아동극 개척에 힘써 온 점을 미루어,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여행 코스로 알맞다’는 내용이었다.
박 부회장의 말을 들으면서 나는 내가 지금껏 아동극 외길 60년을 걸어온 게 결과적으로 보람을 찾게 된 것임과 동시에, 외롭지 않은 길이였구나 하는 생각이 저 아래의 파도 같이 내 가슴에서 나울이 되어 일렁거리고 있었다.
그 다음날, 그러니까 내가 미국으로 되돌아 가기 이틀 전, 나는 예술의 향기 회원의 안내로, 내 고향 통영의 관광 명소의 하나인 케이블 카를 타 보기 위해 발길을 옮겼다. 2007년 개장 이후 4백만명이 다녀갔다는 소문대로, 평일인데도 각 지방의 사투리를 쓰는 관광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8인승 케이블 카 박스 44대가, 쉴새 없이 하늘 강을 떠 가고 있었다. 베니치아(베니스)운하를 노저어 가는 콘도라처럼 은하수 바다를 떠가는 듯 한, 하늘 배에서 내려다 본 내 고향 마을과, 조개 껍질을 엎어 놓은 듯한 한려수도의 섬들이, 마치 동화 속의 그림 같이 아름다웠다.
그러면서 만일에 내 기념관이 세워지면, 박우권씨의 말과 같이 수학여행 온 초등학생들이, 오늘의 이 늙은이 같이, 아름다운 자연 속에 녹아 드는 동심을 가슴에 담아 볼 것이라고 생각 했다. 한편으로는 내 기념관에도 들려, 내가 그들을 위해 걸어 온 발자취를 음미(吟味) 할 것이라는 생각도 함께 가슴에 품어 보기도 했다.
샌프란시스코로 돌아갈 날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자, 잠 안 오는 밤이 이어졌다. 그건 어떤 불안감에서가 아니라, 기대 이상의 환대와 보람을 안고가는, 설레임과 기쁨에서 오는 잠 못 이룸이었다.
늦은 밤, 나는 바닷쪽 베란다 문을 살며시 열고 밖으로 나갔다. 우연의 일치라고 나 할까, 내가 묵고 있는 ‘한산호텔’은 내가 풋내기 연정에 빠져 둘이서 손잡고 걷던 그 바닷가에 세워져 있었다. 바다 저쪽, 내 중학시절 오카야마무라(일제시대에 일본 오카야마현에서 집단으로 이주해 와 살던 농장 마을)라고 불렀던 그 광산촌이 없어지고, 그 자리에 세워진 커다란 조선소의 밤을 밝히는 불빛이 바닷물에 반사되어 일렁거리고 있었다.
그리고 저 멀리 한산섬 쪽에서 통영 항구로 들어오는, 양 쪽 강 기슭 물여울에 세워진 나지막 한 등대에서는 옛날과 다름 없이, 파랑 빨강 불빛을 교대로 반짝거리며 서 있었다. 그런데 그 옛날 이 등대 사이로, 부산에서 온 여객선이 통영항에 손님을 내리고 또 태우고는, 내가 바라 보고 서 있는 이 바다를 지나, 여수로 삼천포로 가는 밤 여객선이 ‘부-웅’ 하고 지나가던 그 뱃고동 소리는 시대 변천에 밀려 이제는 들을 수가 없었다.
한편 낮에 내가 케이블카를 타고 내려오던 길에, 통영 민속박물관에 들렸을 때, 그 민속박물관의 김일룡 관장이 들려준 조용필이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 에 대한 놀랍고도, 숨겨진 뒷이야기 한토막이 다시 머리 속에 떠 올랐다. 그 숨겨진 이야기란, 공전의 힛트를 친 그 노래의 오리지날이 지난날 내 고향 통영의 가수 김해일씨가 부른 “돌아와요 충무항”(충무는 통영의 옛 이름)이란 사실이다. 그래서 조용필이 통영의 원작자에게 1억5천만원의 로얄티를 배상했다는 사실도 알려 주었다.
늦은 밤까지 나는 호텔 베란다 난간에 기대서서, 나흘의 체류가 아쉬운 듯 내 고향 5월의 밤 바다를 바라보면서, ‘돌아와요 충무항’의 오리지날 가사 / 꽃피는 미륵산에 / 봄이 왔건만 / 님 떠난 충무항은 / 갈매기만 슬피우네 / (후략) 로, 나지막하게 노래 부르고 서 있었다. 언젠가는 다시 올 그 날을 생각하면서 말이다 . (끝)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