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우리 사회에 ‘기러기 아빠’ 혹은 ‘기러기 가족’이란 말이 생겨났다. 기러기 이야기가 나오면 요즘은 독수리와 펭귄 이야기도 뒤따른다.
독수리 아빠는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있어 가족이 있는 곳으로 자주 날아갈 수 있지만 기러기 아빠는 1년에 한번 정도 철따라 가족과 상봉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태생부터 날지 못하는 펭귄 아빠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 가족을 만나 보기는커녕 매달 생활비와 아이들 교육비를 보내기에도 벅찬 가장(家長)을 의미한다.
그런데 미국에 있다 보면 생각보다 독수리 아빠를 찾아보기 힘들다. 세계경제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아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도 독수리 아빠가 스스로 기러기 아빠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내용인 즉 독수리는 언제든지 가족이 있는 곳으로 날아갈 수 있고 또 그런 그를 처음에는 가족들이 반기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덜 반갑게 여긴다고 한다. 정착 초기에는 가족들이 타국의 낮선 환경에 적응하느라 바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그들 나름대로의 일정한 생활 패턴이 생기는데 이 무렵 시도 때도 없이 날아드는 독수리 아빠로 인해 생활리듬이 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 특히 주부 입장에서 남편이 오면 아무래도 식사준비 등 신경 써야 할 게 많아지기 때문에 차츰 남편은 뒷수발을 해야 하는 손님과 같은 존재로 치부되기 십상인데, 그 이후 독수리 아빠는 가족이 있는 곳으로의 날갯짓을 조금씩 줄인다고 한다.
톰 워샴(Tom Worsham)의 ‘기러기 이야기’를 읽어보면, 기러기는 추운 겨울을 나기위해 "ㅅ"자 대열을 그리며 남쪽으로 4만㎞의 기나 긴 여행을 한다고 한다. 맨 앞에 날아가는 리더 기러기의 날갯짓은 기류에 양력(揚力)을 만들어 뒤따르는 기러기가 혼자 날 때보다 71% 정도 더 멀리 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행 도중 리더 기러기가 지치면 대열 안으로 들어가 쉬게 되고 또한 그런 그를 대신해 다음 기러기가 선두에 나와 날기 시작한다. 흥미로운 것은 기나긴 여행 동안 기러기들은 끊임없이 ‘끼럭∼끼럭~’하며 울음소리를 내는데 이는 앞에서 거센 바람을 가르며 힘겹게 날아가는 리더에게 보내는 ‘응원의 소리’라고 한다.
만약 아프거나 지쳐 무리를 이탈하는 기러기가 생기면 함께 날던 다른 두 마리 기러기도 대열에서 빠져나와 그를 보호하며 돕는다. 지친 기러기가 원기를 회복해 다시 날 수 있을 때까지 혹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함께 시간을 보내다 뒤이어 날아가는 또 다른 기러기 무리에 합류하는 것이다.
남극에 사는 펭귄도 기러기처럼 항상 무리를 지어 움직인다. 무리에서 이탈할 경우 추위에 얼어 죽기 때문이다. 수개월 동안 밤이 계속되고 혹독한 눈보라가 몰아치는 남극의 겨울, 펭귄은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서로 무리를 지어 몸을 맞댄 채 서서 체온을 유지한다. 특히 강한 눈보라가 정면으로 불어올 때 맨 앞에 서있는 펭귄들은 온몸으로 거센 눈보라를 막아선 채 한참을 견디고는 무리의 맨 뒤로 간다. 그러면 다음 펭귄들이 또다시 눈보라를 막고는 뒤로 돌아가 무리에 합류하고... 이렇게 반복하며 남극의 추위를 견뎌내는 것이다.
한국에 있다 보면 주위에 기러기 아빠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다. 사실 한국에서 직장생활하며 받는 월급으로 외국에 있는 가족에게 매달 정해진 생활비와 교육비를 보내는 것은 생각보다 만만치 않다. 또한 수 년 동안 가족과 떨어져 혼자 생활하는 기러기들의 고충은 이루 말로 다하기 어려운데 어떤 기러기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머리가 빠지는 원형탈모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그래서 한국의 기러기 아빠들은 우스갯소리로 아무리 기러기 생활이 힘들어도 절대 ‘털 빠진 펭귄’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고들 한다.
외국에서 생활하는 기러기 가족들도 마찬가지다. 특히 낮선 타국 땅에서 엄마 혼자 아이들 뒷바라지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외국인들은 이러한 한국 특유의 기러기 생활을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우리나라 부모들은 더 나은 교육환경과 자식들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스스로 눈물겨운 희생을 감내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주위에는 10년 경력의 베테랑 기러기도 종종 볼 수 있다. 이런 기러기 가족들을 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기나긴 여행 동안 기러기들이 “끼럭∼끼럭~”하며 서로에게 격려의 소리를 보내는 것처럼 우리나라 기러기 아빠와 엄마들도, 비록 가족이 멀리 떨어져있어 힘들겠지만, 서로가 서로를 격려하면서 사랑과 응원의 목소리를 보냈으면 하는 마음이다.
(한국외대 교수/ UC버클리 객원교수)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