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트버지니아는 내 남편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파거스버그라는 오하이오주와 강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인구 삼만 명의 작은 도시에서 그는 이차대전 직후 태어났다.
정작 내가 그곳을 처음 가보게 된 것은 미국에 산지 수십 년 후 시어머니가 요양원에 들어가서도 한참 후였다. 시어머니가 파킨슨병에 걸리시자 네 명의 자녀들이 요양원이라는 마지막 선택을 했던 것이다.
우리가 그곳에 도착했을 때 시어머니는 휠체어를 타시고 식당에 계셨다. 마침 점심시간이어서 모든 노인들이 식사를 막 시작하던 중이었다. 삼년 동안 못 본 시어머니는 깜짝 놀랄 만큼 여위어서 나를 경악하게 했다. 얼마 전만 하더라도 약간 뚱뚱하다고 느낄 만큼 배도 나오고 했었는데 그 살이 모두 빠지고 오히려 앙상한 느낌이었다. 식사는 햄버거와 약간의 야채였는데 내가 햄버거 번을 만져보니 빵은 이미 굳어 있었고 온기도 없었다. 나는 왈칵 슬픔을 느꼈다.
이런 것이 늙는다는 것인가! 이제는 늙어서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시설에서 주는 대로 싫던 좋던 먹어야 한다는 현실이 나를 또 한 번 슬프게 했다. 우리 시어머니는 음식이 까다롭지는 않았지만 따뜻한 빵, 따뜻한 커피, 따뜻한 갓 만든 흰밥을 좋아하셨다. 내가 밥을 해드리면 거기다 버터를 조금 넣어 간장을 섞어서 맛있게 드시곤 했다. 시어머니가 캘리포니아에 마지막 오셨던 것이 벌써 몇 년 전이었다. 시어머니는 이미 구십을 바라보고 계셨다. 처음엔 나를 몰라보시더니 한 참후 반색을 하시면서 넌 참 제니를 많이 닮았구나! 하시는 것이었다. 제니는 내 미국 이름이다.
온전히 알아보는 사람은 자신의 아들인 남편과 우리 막내 쟌이었다. 쟌의 손을 꼭 쥐고 행여 놓칠세라 안간힘 하는 모습이 더 애처로워 보였다. 시어머니는 웨스트버지니아가 고향인데 그녀의 남편, 즉 우리 시아버님이 뉴저지에서 대공황때 직업을 찾아 이곳에 내려오면서 서로 만나 결혼을 했다고 한다. 시아버님은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시고 한때는 두 여동생과 함께 고아원에서 지낸 적이 있을 만큼 어릴 때부터 고생을 했던 분이다.
우리가 시누이가 살던 샌프란시스코에 안착한 것을 누구보다 기뻐하시던 두 분이다. 처음 우리가 마리나에 방 한 개짜리 아파트를 얻어 살 때 두 분이 함께 오셔서 며칠을 지낸 적이 있는데, 체스넛 스트리트와 롬바드, 유니온 스트리트등 그 동네들의 피자집과 식당들, 정육간이며 심지어는 마리나 해변가에 있던 세이프웨이 까지 모두 너무 좋아하셨다. 그때는 몰랐지만 그 조그만 도시를 가보고야 이해가 되었다. 그분들은 일생에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고 서부의 이 멋진 도시인 샌프란시스코에 오셨으며 자신들의 아들과 딸이 이런 근사한 도시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가슴이 뿌듯했던 것이다.
남편은 어릴 때, 일 년에 한번 휴가를 가는 곳이 늘 뉴욕이었는데 기차를 타고 하루 종일 가서 삼촌들을 만나고, 어느 때는 아버지와 함께 뉴욕 양키 스타디움에서 야구를 관람했던 것이 가장 그때의 하이라이트였다고 한다. 공장의 노동자였던 시아버지가 일 년을 벌어서 모은 돈으로 여섯 식구가 기차를 타고 휴가를 가던 모습이 어쩐지 애잔하게 상상이 된다. 그런 빠듯한 살림에서 아이들을 다 대학 교육을 시켰던 것은 시어머니의 공로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이들이 다 자라 화이트칼라가 된 것을 시어머니는 두고두고 자랑스러워 하셨다. 더구나 두 자식이 미국 아니 전 세계에서도 유명한 샌프란시스코에 사시는 것을 그렇게 기뻐하셨다.
우리가 한 오년을 텍사스에 살 때, 추수 감사절이나 크리스마스 휴가철이면 남편은 여기저기서 많은 선물들을 받곤 했다. 이를테면 맛있는 햄이나 과일, 고급 과자 등이었다. 그때 우리 집을 방문 중이던 시부모님들은 그런 선물을 볼 때마다 또 그렇게 기뻐하시곤 했다. 아마 자신들이 받지 못했던 대우를 아들이 받는다는 대리만족 같은 것이었을 게다.
몇 년 후 우리가 다시 캘리포니아에 돌아와서 크고 화려한 집을 사게 됐을때, 그리고 내가 황금색 볼보차를 가지게 됐을 때도 시어머니는 또 그렇게 행복해 하셨다. 이제 또 내 아이들이 다 커서 그들 나름대로 집도 장만하고 잘 살아가는 것을 보니 그때의 우리 시어머니의 심정이 이해가 되곤 한다.
삼 년 전 시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우리 부부는 딸아이와 막내 부부와 함께 다시 장례차 웨스트버지니아에 갔다. 장지는 이미 십여 년 전에 돌아가신 시아버지 묘지 옆에 마련해 둔 터였다. 누구도 서럽게 우는 사람은 없었다. 장례식후 자식들은 자신들이 어릴 때 살았고 일생동안 어머니가 지키셨던 그 조그만 집을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조그만 거실과 조그만 부엌, 조그만 방들까지 정말 그 협소한 곳에서 한때는 여섯 식구가 살았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다. 이제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므로 해서 한세대는 가버렸다.
나는 문득 한때 유행했던 죤 덴버가 부른 ‘테이크 미 홈 컨트리 로드’라는 노래가 생각났다. 천국과 같은 웨스트버지니아 불루릿지 산과 쉐난도우 강이 흐르는곳, 그 시골길 그 집으로 나를 데려다주오. 내가 속해있는 그곳이라는 가사를 음미해 보면서 고향이라는 그 따뜻한 이름을 다시 한번 상기해 보았다.
(시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