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이 시작되어 짐을 싸들고 돌아온 아이들은 딱 사흘동안만 반가웠다. 세 끼니 먹거리를 대는 일이며 올빼미처럼 밤에 활동하는 아이들하고 지내는 일은 만만치가 않았다. 여닫는 문소리에 나의 단잠은 토막나기 일쑤였으며 그럴 때마다 놈들을 기다리던 심정과는 다르게 돌아갈 날을 슬며시 손가락에 꼽아보기도 했다.
긴 방학이 끝나고 딸아이가 먼저 기숙사로 돌아갈 짐을 챙기기 시작했다. 한 해 동안 나름대로 살림을 해본 아이는 가방 싸는 솜씨가 꽤 늘어 있었다. 물 먹은 붕어모양으로 이것저것 챙겨 넣어 가방 옆구리가 불룩불룩해져 갔다.
딸아이의 모자란 물품 구입을 위해 쇼핑에 나섰다. 팔짱을 끼고 다니며 아직 방향을 잡지 못하는 부전공 과목이며 펼치고 싶은 꿈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 일은 즐거웠다. 철부지로만 여겨지던 아이가 좀 성장해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백화점은 어느새 가을 물건 일색으로 바뀌어 있었고 아이는 작년에 사준 부츠도 있는데 목이 긴 부츠들이 병정들처럼 서있는 진열대 앞에서 걸음을 멈췄다. 철 좀 들었나 싶어 대견했던 마음을 흔들며 요것조것 신어보는 아이를 지켜보았다. 지켜보다 보니 처음 마음과는 달리 요것도 예쁘고 조것도 예뻤다. 뉴욕의 겨울에 걸맞는 목이 긴 브라운 부츠를 사는 걸로 쇼핑이 일단락 지어졌다.
돌아오는 길에 엄마의 할머니는 고무신도 아까와 남이 보지 않는 들길 같은 데서는 신을 벗어들고 다녔다는 이야기를 해주었더니 “오, 하나님, 가엾은 왕할머니! ” 아이는 마치 전설을 듣는 듯한 표정을 지었다. 그 왕할머니가 고무신도 아껴 신고 들길에 떨어진 나락 한 개, 멍석에서 튀어나간 콩알 하나도 아까와 하며 살뜰히 공부시키고 키워낸 자식들, 그 줄기 따라 태어난 아이가 철따라 옷따라 신발을 갈아신으며 폭신한 걸음걸이로 살 수 있는 게 그 왕할머니같은 분들의 덕이라는 걸 아이가 알 리 있겠는가. 자운영처럼 사시다 가신 할머니… 새순으로 자랄 때는 배고픈 이들에게 나물거리가 되어 배를 채워주고, 꽃으로 피어서는 벌과 나비들의 터전이 되고, 꽃이 진 다음에는 갈아엎어 논의 거름이 되어주는, 그래서 일명 거름꽃이라 불리우는 자운영꽃을 닮았던 할머니는 지금도 어디선가 우릴 지켜보시고 계실 것이다.
풋고추를 넣어 장조림을 만들고 잔멸치볶음을 하고, 오이지를 무치고, 갈비를 재서 지퍼백에 따로따로 얼리고, 생깻잎 양념을 하고… 게으른 엄마는 마지막 밤이 되어서야 바빠졌다. 키친 캐비닛 제일 높은 칸에 아껴 두었던 꽃무늬 머그잔 두개를 까치발 딛고 내려서 아이의 짐 속에 넣어주는 걸로 늦은 주방일을 마치고 아랫층의 불을 껐다. 이층으로 올라가보니 아이는 짐정리를 하다 말고 불을 켠 채 잠이 들어 있었다.
토막잠을 자고 일어나 거실 한켠에 산처럼 쌓여 있는 짐더미를 바라보니 여러 생각이 들었다. 삼십 몇년 전의 세월 너머, 내게도 열일곱 나이에 짐을 꾸려 객지로 공부하러 떠나던 날이 있었다. 떠나기 전날 친구들을 만나고 돌아오는 딸에게 대문 빗장을 열어주며 “엄마 팔아 친구 사는 나이가 네 나이란다” 말씀하시던 어머니가 생각났다. 떠나는 날 아침, 그날의 윤기 없이 푸석하던 어머니의 얼굴도 나처럼 밤잠을 설쳤던 때문이었으리라.
주방책상에 앉아 메모지에 쪽지편지 몇장을 썼다. 갑자기 추워진 겨울 아침, 무심코 손을 넣은 호주머니에서 엄마의 쪽지편지를 발견할 딸을 상상하면서 주머니마다 편지를 넣었다.
긴시간 왕복해야 하는 길이라서 새벽 길을 나서는 아빠와 딸, 손키스를 날리며 떠나는 아이의 얼굴이 여지없이 또 눈물에 흔들렸다. 허적한 마음으로 침실로 올라와 누우려다 보니 램프테이블 위에 머리핀 하나와 편지 한 장이 곱게 접혀 있다. “딸에게는 100불이 훨씬 넘는 부츠를 지갑 털어 사주면서 사소한 머리핀 하나 망설이며 못사는 바보같은 우리 엄마. 사랑해. 잘할께. 건강해야 해. 엄마를 사랑하는 딸 쥴리가” 아이와 쇼핑 중 작은 비즈가 별처럼 박혀 있는 핀이 눈에 들어와 머리에 살짝 꼽아보았던 적이 있던 바로 그 머리핀이었다. 뽀얗게 밝아오는 새벽, 주홍빛 램프불 밑에 반짝이는 머리핀 하나가 전해준 당혹스러움과 감동은 아이가 떠난 길 쪽을 한참이나 다시 쳐다보게 했다.
아픔이라는 감정, 나는 이 보따리 저 보따리 싸주시며 아무 것도 남아 있지 않던 어머니의 앞섶을 확인하며 쳇기처럼 가슴에 매달리던 아픔으로 많이 성장했던 것 같다. 그에 비하면 모든 것이 풍족하고 소란스럽기만 한 요즈음의 아이들이 과연 아픔같은 걸 느낄 수 있는 구석이 있을까 의아하던 차에 아이의 짧은 편지에서 발견한 아픔이란 단어가 터무니없을 만큼 반가웠다.
새가 둥지를 틀 동안은 흔들려 줘야 하고 또 그 새가 떠나면 빈 둥지를 머리에 이고 추억처럼 상처처럼 지난 날을 반추하며 사는 나무들처럼 사람 사는 것도 비슷한 것 같다. 바람만이 고여 있는 빈둥지를 느끼며 가끔 새의 온기를 그리워하는 게 어디 나만의 사연이랴. 날개죽지 밑에 잠들던 새는 언젠가 새끼를 품는 어미가 되고 또 둥지가 되고 언젠가는 빈둥지를 이고 있는 나무가 되는 법, 내 사랑하는 딸도 언젠가는 그 수순을 밟을 것이다.
삭정이같은 나뭇가지에 빈 둥지들만 잔뜩 이고, 쓸쓸한 풍경으로 기우뚱하게 서계신 친정어머니께 전화를 했다. 수요일 밤, 아버님은 밤예배에 가시고 혼자 남으신 어머니는 기도 중에 전화를 받으셨다.
그 어머니가 처음으로 품었던 새가 바로 나였지 않았던가. 아직 덜 자란 날개로 둥지를 떠나 밤마다 떠나온 둥지의 온기를 그리워하며 눈물 찍어내던 작은 새였던 나는 미성숙한 채로 어미새가 되었고 둥지가 되었으며 이제 나무가 되어 빈 둥지 하나를 이었을 뿐인데 엄살처럼 가슴이 아프다. 외손녀를 위한 긴 기도를 약속하며 전화를 끊으시는 어머니, 그 어머니는 나를 떠나보낸 섭섭함을 달래기 위해 손등이 아프도록 손빨래를 문지르셨다는데 나는 베개에 머리를 깊이 묻은 채 낮선 아침잠을 청해 보았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