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정신과 의사를 찾았다면 자살을 피할 수 있었을까?”라는 질문을 받고 내가 즉각 물론 그랬을 것이라고 한 대답이 얼른 들으면 대단히 오만한 장담이라고 할 것이다. 종합 병원에서 약 28년 정신과를 맡아온 경험에서 나온 대답이다. 이런 위치에 있으면 자살미수 환자를 수없이 보게 된다. 자살 직전의 심정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많다. 환자들이 자살을 할 때의 심정을 종합해서 한말로 표현하면 절망(絶望)이라고 한다. 이와 동시에 이 세상에 아무 것도 누구도 자기가 처한 처지에서 헤어나게 할 수 없다고 믿는다. 이 감정을 파헤치면 그것은 백계무책, 진퇴유곡, 막다른 골목, 절벽의 끝, 속수무책, 사면초가, 무력 등등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로는 ‘Hopeless and Helpless’, ‘End of the rope’, ‘Dead end street’, ‘Pit’ 등으로 표현한다. 즉 철저히 궁지에 빠진 상태라는 말이다. 그런 심정을 가져온 상황이야 어찌하였든지 간에 자살 직전의 상태는 매한가지다. 그 순간에는 그 길, 즉 자살밖에는 해결책이 없다는 망상에 사로잡힌다. 오랜 우울증으로 온 경우, 갑자기 재화를 당한 겨우, 전쟁이나 정치에서나 사업에서 실패하여서 오는 경우 등등 이유야 많겠지만 마지막 순간에 자살을 하기로 결단했을 때는 마찬가지다. 이런 상태는 말로 표현하기 힘들게 외로움을 동반한다. 자살하게끔 극심히 우울한 상태에서는 시야가 좁아지고 심한 아집이 오게 마련이다. 위에 열거한 감정들을 볼 때 얼른 보기에는 환자에게는 정말 해결책이 없는 것 같이 보이지마는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면 그것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흔한 속담이지만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나올 구멍은 있다”는 이럴 때 얘기해주는 참으로 금언이다. 어려움에 닥치고 거기에다가 우울증까지 겹치면 시야가 좁아져 문제의 해결책이 점점 더 멀어진다.
노 대통령의 경우를 생각하면 이순신 장군을 생각하게 한다. 장군의 시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적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무척 외롭고 무엇이건 그저 슬프게만 들린다는 간단한 해석을 할 수 있겠다. 그분에 대한 상감의 믿음이 확실치 않았고 누구를 믿을 수 없는 경지에 처해 있었고 그래서 그분이 자살하셨다는 설도 있다. 적군보다 더 무서운 것이 고독이다. “It’s lonely up here”는 지도자들이 얼마나 고독과 살아야하는지를 표하는 솔직한 고백이다. 지도자에게는 늘 사람들이 벌떼처럼 모여들지만 그중에서 진실한 친구를 하나라도 고를 수 있을까. 나는 노 대통령께서 무척 외로우셨다고 믿는다. 그분이 믿을 수 있고 마음에 있는 것 부끄러움이 없이 다 털어놓고 기댈 수 있는 막역한 친구가 있었을까 한다. 노사모라는 모임은 그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들었다. 하지만 그 모임이 정치적 이득에 눈을 돌렸고, 절친한 친구의 호의가 부주의로 자기를 궁지에 몰아갔고, 친 가족에 의한 행동으로 자기가 궁지에 몰렸을 때, 그분이 찾아갈 수 있는 믿을만한 사람이 있었을까. 조문객 중에 많은 스님들을 보았다. 그분들이 노 대통령의 영적생활에 도움이 되었을까.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 부인은 궁지에 몰렸다고 느끼면 곧 친구들을 백악관에 불러들였고 때로는 점술사까지 불러들였다고 한다. 어려울 때 가까우며 믿을 수 있는 사람은 생명과 같다. 과감하게 대통령에게 정신과의사를 찾아보라고 권할 수 있는 정도의 친구 말이다. 클린턴 대통령도 궁지에 빠져 잠이 오지 않은 밤에는 친구를 불러 때로는 밤을 새면서 얘기를 했다고 한다. 포드 대통령도 우울증에 쓰는 약을 오래 복용했다. 우리나라 속담에 또 이런 말이 있다. “돈 자랑 자식 자랑은 삼가고 병 자랑은 맘껏 하라.” 아직도 우리에게는 수치와 체면이라는 것이 심적 생활에서 이런 것을 막는 것 같다.
사면초가의 경지에 처했을 때 응원군을 청할 수 있는 믿을만한 이웃이 있으면 이런 난을 피할 수도 있고 설령 확실치 않더라도 겨자씨만큼이라도 해결책을 찾고 싶은 희망이 있다면 길을 충분히 찾을 수 있다. 만성정신질환이 없는 한 자살미수로 치료를 받은 사람들이 다시 자살하려는 경우는 드물다. 노 대통령이 그분의 타계로 우리에게 남긴 가르침이 헛되지 않았으면 한다.
‘그 분의 서거의 책임’에 대한 여론 조사가 한국일보에 발표되었다. 어디까지나 이것은 느낌에서 오는 의견에서 오는 책임 추궁이다. 거기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궁금하다.
다만 미디어 다음으로 당사자와 가족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은 무슨 이유에서 나온 것인지는 몰라도 필자가 말한 것 같은 이유, 즉 그분을 고독하게 한 책임을 말한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분을 이해하는데 더 노력을 하면 안 될까?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