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병렬(교육가)
모임이 조용해졌다. ‘우리는 지금 고향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요’ ‘그렇지요’ ‘그래서 내 고향이 한국말이라고 하였어요’ ‘고향은 어떤 지역이 아닌가요’ 한 사람의 고향에 대한 색다른 표현이 모두에게 ‘고향’이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케 히였다.
‘고향’이란 누구에게나 정다운 어휘이다. ‘①태어나서 자란 곳 ②조상 때부터 대대로 살아온 곳 ③향리.’ 이것이 사전적 해석이다. 여기에 나타난 것으로 보면 어떤 경우로 보든지 분명히 그 사람의 성장에 영향을 준 지역인 것이다. 그렇다면, 지역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한국말’이 어떻게 고향이 될 수 있나.‘고향’을 다른 뜻으로 해석해 보기로 한다. 내 마음이 때때로 되돌아 가는 곳, 거기서 편안함과 정다움을 느끼는 곳, 과거이면서 현재와 불가분의 위치에 있는 곳, 언제든지 대화가 가능한
곳, 내 자신이 발상의 바탕으로 삼는 곳, 항상 그리운 곳. 이런 곳들은 아마도 마음의 고향이라고 구별될 것 같다. 즉 마음으로 보는 고향이다.
그렇다면 마음의 고향은 한없이 펼쳐질 것 같다. 역사나 고전에서도 찾을 수 있고, 선배나 친구, 소설 속의 등장 인물, 다양한 언어나 음악, 세계의 방방곡곡, 색색의 사물… 등 다채로울 것 같다. 그 중에 ‘한국말’이 섞였다고 해서 하등 이상할 것이 없다.현재 세계에 퍼져있는 한민족의 수는 700만이라고 한다. 작은 한 나라의 인구보다 많은 수효이다. 한국 내가 아닌 외지의 많은 거주자들 속에서 ‘한국말’을 고향으로 생각하는 일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외국말 속에서 생활하다가 한국말을 사용하는 순간 마음의 귀착점에 도달한다면 얼마나 큰 기쁨인가.
한국말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가. 그 순간에 느끼는 한국문화의 자랑스러움은 한국 내에서는 도저히 상상도 못할 것이다. 이래서 ‘한국말’은 훌륭한 고향이 될 수 있다. 마음을 굳건히 하고, 때로는 향수병을 치유하는 고향이 된다.그런데 이런 현상이 외지에 이주한 1세대만의 영역이라면 언젠가는 소멸한다는 자연 현상이 있다. 잠깐 생각할 일은 한국어가 1세·2세에게 공통된 느낌일까 하는 점이다. 필자의 관찰로는 2세들은 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2세들의 한국어관은 그 각도가 다르며, 흔히 그들은 한국어를 1세들의 언어로 아는 것 같다. 조부모와 부모가 가지고 이주한 언어로 구별하며, 현지어와는 다르다는 인식이다.
현황이 현지어를 잘 모르거나 부족한 부분 때문에 생활에 불이익을 받고 있음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들이 현지어로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또 현지에서는 한국어의 실용성이 적고...등등 그들도 생각이 많다.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2세들의 한국어를 배우려는 열의가 뜨거울 리 없다. 할 수 없이 부모의 성화에 못이겨 등교하는 그들은 효자녀 흉내를 내고 있는 지도 모른다. 그래서 학습효과를 올리는 데 지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모든 학습효과는 학습의욕의 강약에 정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세들에게 한국말이 고향이 되게 하기는 힘든 일에 속한다.
하지만 세상에는 병을 고치는 약이 있고, 병을 예방하는 치료방법이 있다. 이들이 훗날 증세를 보일 ‘고향 결핍증’을 염려한다. 미국 내 어느 지역에서 자랐다고 그 곳이 마음의 고향까지 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2세들에게 필요한 것은 마음의 고향 형성이다. 한국학교의 한 졸업생이 약혼식날 아침에 약혼녀를 데리고 나타나서 놀랐다. ‘난 여기를 곡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가 한 말이다. 그의 마음의 고향은 바로 한국학교임을 감사한다. 겨우 2살 반이 된 딸과 아내를 학교에 데리고 온 옛 학생도 있다. 그에게도 마음의 고향이 있음이 다행이다.
‘내 고향은 한국말’이란 말에 눈을 번쩍 떴다. 보배로운 말이다. 한국말이 우리에게 주는 귀중한 선물이다. 이 말은 해외에 거주하는 한민족들이 대대로 전수해야 하는 유산 제 1호이다. 이러한 노력은 한민족문화를 이어가는 데 책임을 져야 하는 1세들의 과제일 뿐 아니라, 결코 이것이 1세만의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된다. 외지에서 생활하면서 마음의 고향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는 2세들이 수없이 되새겨볼 말이다. 그리고 부모의 가정교육 방향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