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부친은 만세사건 전력을 지워버리고 딴 사람으로 살아가려니 해방이 될 때까지 마음이 편치 않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외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함경남도 외가에서는 사위 이름이 바뀐 것을 몰랐으므로 전보를 치고 기다려도 소식이 없었는데 여러 날이 지난 후 할아버지 앞으로 소상한 편지를 보내와서 그제야 부고가 배달되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다. 어머니는 무척 슬퍼하시며 17년만에 친정 나들이를 하시던 기억이 난다.
내가 글을 알게 된 후 메이지대학 강의록이라는 책이 뒷방에 쌓여 있는 것을 보았는데 아버지는 독학으로 토목건축 기사도가 되어 꽤 정도 높은 실력을 갖추었던 것으로 듣고 있다.
초등학교 2학년 때 할아버지께서 시내에 집을 사시고 기숙사라시며 우리를 맡아주셨는데 여름방학이 되어 5학년인 언니와 나는 부모님을 만나기 위해 공사현장에서 보낸 청년을 따라 기차를 탔다. 우리는 ‘무산’이라는 작은 역에서 내려 꽤 먼 거리를 걸었다. 동네를 벗어나 내 키보다 더 자란 풀밭을 가르며 앞만 보고 열심히 걷는데 그 길이 다한 곳에 희뿌연 강물이 넘실거리고 있었다. 청년이 “큰비가 온 후라 물이 더러워졌다”며 ‘두만강’이라고 했다.
두만강은 생각보다 넓지 않았다. 건너편 만주 쪽은 시커먼 바위산이 깎은 듯이 절벽을 이루고 그 꼭대기에 박힌 소나무들이 무성하게 그늘을 드리워 강폭을 반이나 점령하였으니 8월초인데도 오싹할 정도로 추위를 느꼈다.
우리는 기다란 나무배에 올랐다. 청년과 뱃사공은 앞뒤에 서고 언니와 나는 담요를 두르고 가운데 꼭 붙어 앉았다. 작은 목선들이 쉴새없이 끼여들면서 손을 흔들며 지나간다. 큰 나무들을 엮은 뗏목도 유유히 지나가고… 그 날의 두만강은 바쁜 편이라고 했다. 담요를 쓰고 잠이 들었던 우리는 배가 출렁하는 바람에 눈을 뜨니 저녁 노을이 타는 선착장이었다.
근래에 와서 “밤에 두만강을 건너왔다”는 탈북자들의 말을 들을 때마다 그 날 일을 떠올리게 되는데 70년이나 지났으니 산세도 지형도 많이 변했지 싶다. 그 몇 해 후에 나온 김정구의 ‘두만강 뱃사공’이란 노래를 나는 즐겨 부르는데 사실인즉 내 머리 속의 두만강은 푸른 물도 아니고 옛 사람을 그리는 사람도 없지만 한 가지 그날 밤 두만강 가의 초가집에서 있었던 일들을 아직껏 잊지 못하며 살고 있다. 초등학교 2학년인 나에게는 너무나 큰 충격이었다.
창 밖에서 냄비를 두드리는 소리가 났다. “마적단이 왔다- 마적단이 왔다-” 외치며 누군가가 동네 한복판을 달려갔다. 어머니는 재빨리 방 한구석에 있는 큰 옷장을 밀어내고(속은 비어 있었다) 벽에 붙은 쪽문을 열고 언니와 나를 밀어 넣은 다음 얼른 자신도 들어왔다. 뒤에서 누군가가 옷장을 다시 밀어붙이는 소리가 들렸다.
조그만 호롱불이 타고 있을 뿐 ‘바삭’ 소리도 날세라 숨을 죽이고 있으려니 가슴이 답답한데 언니의 창백한 얼굴을 건너다보니 더욱 무서워져서 나는 어머니의 허리를 꼭 안았다.
“엄마, 마적단은 도둑놈들이야?” “말을 타고 떼지어 나타나니까 마적단이 왔다고 소리지르지만 이곳 사람들이 말해 주는데 두 가지라 하더라. 중국 산적과 조선 독립군…” “독립군이 뭔데?”
그날 밤 나는 생전 처음으로 김일성 장군이라는 이름을 들었다. “우리 나라가 약하니까 일본이 깔보고 먹어버렸어. 억울하지만 보통 사람들은 할 수 없지 하고 그런 대로 살고 있는데 단념하지 않고 나라를 찾기 위해 싸우고 있는 사람들이 저 두만강 건너에 있대. 저쪽은 땅이 아주 넓고 산에 나무도 많아. 몸을 숨기기 위해 그 쪽에 있지만 가끔 이쪽으로 말을 타고 몰려온대. 대장은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나온 김일성 장군인데 만주로 도망 와서 독립군을 만들고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대단한 분이라더라”
나는 육군사관학교가 뭔지 궁금했다. 5학년인 언니의 설명인 즉 “일본에서 제일로 씩씩하고 똑똑하고 건강한 학생들이 공부하고 장교가 되는 학교”란다. 나는 훌륭한 학교를 나와 장교까지 된 사람이 나라를 찾겠다고 모든 것을 버리고 나섰다는, 언제나 백마를 타고 나타난다는 김일성 장군을 한번 보고 싶다고 생각했다.
해방 후 일설에 의하면 2차대전 말기에 일본 특무에게 잡혀 처형되었다고도 하고, 소련이 만만치 않을 것 같으니 김성주 쪽을 택하고 없애버렸다고도 했는데 그 진상을 안다고 나서는 사람은 없었다. 해방이 되자 소련군함을 타고 원산 부두에 내린 30을 갓 넘긴 애숭이 김일성은 “인민에게 고깃국과 이팝을 먹이는 것이 소원”이라며 50년이나 버틴 보람도 없이 아들 땜에 죽었다는 소문만 남기고 갔다.
아직도 두만강은 흐르고 있겠지…
김순련 <화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