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타운을 걷다보면 유난히 고약한 냄새가 나는 곳이 있는데 여기가 정말 미국 제2의 도시인가 싶어 두리번거리게 된다. 카트를 몇 개 붙여놓고 도매상에서 나온 큰 박스를 덮어씌워 지붕을 만들고 그 속에서 남녀가 엉키어 잠을 자고 있는 홈리스들의 집을 보며 옛날 생각을 떠올렸다. 나는 한 때 내 집을 가져보려고, 내 아이들이 친구를 떳떳하게 데려올 수 있는 내 집을 마련하려고 힘드는 줄 모르고 무던히도 애를 썼었다.
1949년 미술교사로 있을 때 수업이 끝나고 직원실에 돌아오니 건너편 자리의 이태현 선생님 앞에 3학년 박영자가 머리를 푹 숙이고 서 있었다. 영자는 나의 형부의 친척으로, 평소 공부도 잘 하고 명랑하고 착한 학생으로 보아왔는데 야단을 맞고 있었다.
알고 보니 담임선생이 학생들을 데리고 가정방문을 다니는데 영자가 슬그머니 없어지고 학적부의 집 주소도 엉터리였단다. 38선을 넘어온 영자네는 번화가 뒷골목에 ‘하꼬방’을 짓고 손바닥만한 공간에서 여러 식구가 살고 있다고 듣고 있었다. 그런 비참한 모습을 담임이나 친구들에게 보이느니 도망을 칠 수밖에 없었겠지, 영자가 아니라 누구라도…
1956년 피난으로 시작했던 떠돌이 생활을 청산하고 원효로 2가에 방 두개짜리 전셋집에 둥지를 틀었는데 얼마 있다 비가 오니 천장에서 물이 떨어져 밤새 대야를 갈아대며 빗물을 받아야 했다. 집주인이 달려와서 고쳐주고 가나 며칠 후 비가 오면 도루묵이 되고, 또 고치고, 또 새고 하니 안 되겠다 싶어 이사하기로 했다. 전화위복이란 말대로 그때 비가 새지 않았으면 아마 나는 평생 아이들을 전세방에서 키웠을 것이다.
그 집 전세 돈이 50만환(화폐개혁 되기 전 당시 쓰던 화폐 단위)이었는데, 상도동 종점에서 좀 나가면 50만환에 나온 집이 있다는 말을 듣고 다음날 아침 상도동 가는 버스에 올랐다. 건물은 작고 허름하였으나 반듯한 뜰에 과일나무도 서 있고, 꽃과 채소밭하며 오밀조밀 알뜰하게 손본 흔적이 집주인의 마음씨를 읽을 수 있게 했다. 이게 다 내 집이 되겠구나 생각하니 너무나 행복했다. 그런데 안에서 몇 사람이 나와 신을 신고 있었다. 금방 계약이 끝났다고 하지 않는가?
그 집은 아깝게 놓치고 말았으나 나는 이제 내 집 마련의 꿈을 접을 수가 없게 되었다. 매일 몽유병자와도 같이 복덕방을 헤매고 다녔다. 그러나 그 돈으로는 턱도 없다는 것을 통감할 뿐이었다. 체념키로 마음을 먹고 머리를 식힐 겸 김연순(남편의 6촌)을 찾아갔다. 마침 집수리를 하고 있던 그녀는 나에게 큰 용기를 주었다.
자기 남편에게 말해 30만환 정도는 몇 달 빌려줄 수 있으니 결혼반지, 시계 등 팔 수 있는 것은 모조리 팔아 가지고 100만환 정도의 집을 사라고 했다. 수리비 정도는 더 빌려줄 수 있으니 수리를 해서 팔면 돈은 금방 빠질 거라고 힘주어 말하던 그녀가 얼마나 우러러 보이던지…
결국 용산 한강로에 103만환에 허름한 집을 살 수가 있었다. 내 집 제1호에 퇴근을 한 남편은 한다는 소리가 “이거 3등 여관이군!”하고 나의 기를 꺾어 놓았으나 그래도 나는 좋아라 같이 웃고 있었다.
다음날부터 벽지와 천장 지를 사다 손수 도배를 했다. 미술공부를 한 덕에 공간 처리는 비싼 재료를 쓰지 않아도 그럴 듯하게 마무리가 잘 된다. 천장 도배는 사과상자를 여러 개 포개 놓고 올라서서 곡예를 했다. 젊었으니까 뭐든지 할 수가 있었다. 큰 길 쪽 판자를 떼고 차가 들어올 수 있게 대문을 낸 후 페인트칠을 하고 있는데 복덕방이 지나가다가 “아니, 뺑끼칠을 아주머니가 손수 하세요?”하며 집을 팔라고 한다.
내 집 제1호가 가볍게 처리가 되니 제2호, 제3호 계속 잘 나간 것은 나 나름대로 원칙이 있었다. 집을 보러 다닐 때 8조방은 필수조건이었다. 다다미를 들어내고 큰 온돌방을 만들고 뜰에 차가 들어가도록 큰 대문을 내놓으면 수리하기가 무섭게 팔렸다. 일꾼들과 노동을 함께 하는 내 고생도 어려웠지만 식구들은 이방 저방 쫓겨다니며 말이 아니었으나 다음에는 더 큰집으로 갈 수 있다는 희망에 부풀어 있었다.
그렇게 해서 8년이 지난 후 13번째 내 집은 의젓한 양옥이 되었고 관훈동에 화랑도 생겼다. 나는 서울을 떠날 때까지 돈을 받지 않고 화가들에게 전시장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집장사를 더 이상 하지 않았다. 내 아이들이 언제든지 친구를 불러 놀 수 있는 괜찮은 집을 마련했으니 더 늘리는 것은 과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 집엔 지금쯤 누가 살고 있을까? 나는 이 곳에 혼자 앉아 있는데…
김순련 <화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