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 조선’은 2010년대 초반, 아무리 노력해도 살기 어려운 한국사회를 풍자하며 만들어진 신조어다. 헬(Hell)과 조선(朝鮮)의 합성어로 ‘지옥과 같은 한국(조선)’이라는 뜻으로 2014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인 유행을 했다가 2017년부터 수그러졌었다.
2015년 출간된 장강명의 소설 ‘한국이 싫어서’가 시선을 끌었고 9년 후인 2024년 10월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영화 ‘한국이 싫어서’ 가 선정되었다. 주인공 계나(고아성 분)는 이민 가는 이유가 ‘한국이 싫어서, 여기서는 못살겠어서’ 였다.
계나를 떠나게 한 이 ‘헬 조선’이 2024년부터 부상하더니 2025년 들어 자주 사용되고 있다. 시대를 떠나서 취업, 폭등한 물가, 주택문제, 비정규직 문제는 늘 있었다. 여기에 저출산으로 대한민국이 망할 것이라는 불안한 미래, 탄핵 정국으로 깊어진 세대 갈등, 2030세대의 상대적 박탈감 등이 더해진 것이다.
한국에 나와보니 혼기 놓친 젊은이들이 수두룩했다. 30대 후반과 40대 초의 아들 둘이 아직 미혼, 40대 딸은 전문직이나 비혼주의자, 직장 다니며 착실히 결혼자금 모았으나 인연을 못만난 30대 후반 딸 등이 주위에 있었다.
아이때부터 영어유치원에 의대준비반까지, 중고등학생때는 과학고반, 서울명문대 준비반 등 학원비가 엄청나다. 아이 안 낳고 세계여행 다니거나 강아지와 고양이를 키우는 젊은이들도 많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삼포시대에서 인간관계, 집 사는 것을 포기한 5포 시대란 말이 옛말이 아니었다. 그렇다면 이 ‘헬 조선’이 과연 맞는 말인가?
우선 대한민국은 헬 조선이라 비하하던 그 사이에도 발전을 거듭하여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발전했다. 외국인들이 K한류를 찾아 서울 명소에서 한복 입고 거닐고 매운 한국음식에 열광하는 것은 왜일까? 역동적인 코리아의 모습이 자신들을 들뜨게 하기 때문이다.
보수, 진보, 중도를 떠나 자유롭게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거리에 나와 악을 쓰는 것도 이들에게는 부러운 일이 될 것이다. 오랜 역사에 침체된 문화의 나라에 사는 이들에게는 단체행동같은 경험은 상상못할 일인 것이다.
서울에 와서 가장 좋은 것은 지하철이었다. 만 65세이상 노인에게는 ‘어르신 교통카드’가 나오는데 하루종일 타도 공짜다.
서울 곳곳에 뻗어져나간 지하철은 파주, 춘천, 여주, 의정부, 서울의 동서남북 어디든지 간다. 물론 은퇴자인 입장에서 넓고 쾌적한 이곳이 출퇴근에는 지옥철이 된다는 것은 알고 있다.
두 번째는 화장실이었다. 지하철역마다, 고속도로 휴게실마다 화장실 수준은 일류급 호텔이다.
세 번째 주문배달이다. 식품이든 음식이든 전화 한 통이면 집앞까지 무조건 온다. 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배달특급 등 무료배달 경쟁이 상당하다. 밥 하기 싫으면 먹고싶은 음식이 바로 눈앞에 대령한다. 심지어 밥 주는 아파트도 있다.
그런데 헬 조선이라니? 뉴욕에서 오래 살아온 이민자들에게는 꿈같은 이야기다.
남의 집 지하실 방 한칸에서 전가족이 살면서 아들이 하버드대에 가고 취직 후 부모에게 큰 집을 사준 이야기도 있지만 새벽부터 잠못자고 일했지만 하는 일마다 실패한 이야기도 있다.
노동의 현장에서 자수성가 했나 하면 다 큰 자식을 아직 늙은 부모가 거두어야 한다, 일터에 가자니 중고차는 자꾸 고장이 나고...차고 넘치는 이민자 사연들은 헬 조선 이상이다.
그래도 한국 사람들은 우리 땅에서 신토불이 음식을 먹고 우리 말 쓰며 살고 있지 않는가. 헬 조선이 세태를 반영하던 당시 작가 이어령은 “헬 조선을 떠나 이주하고 싶은 나라도 천국은 아니다. 현재의 취업난과 양극화는 전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한국에서 산다면 같이 겪으라, 서서히 지옥불을 꺼나가라, 떠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 대신 잃는 것도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어딜 가나 삶은 마찬가지다. 모자란다, 부족하다는 말은 더이상 하지 말고 그 자리를 딛고 일어나라, ‘파라다이스 한국(Paradise Korea)’, 자신이 있는 곳이 행복의 나라이다.
<
민병임 뉴욕지사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다들 호강에 겨워서 요강에 뭐하는 중... 내가 70 80년대 한국에서 유년기 청소년기를 보내며 알던 대한민국 중에 그리운 점이 있다면 그건 바로 불만이 없었다는 점. 그레서 모지리들 중에 독제를 그리워 하는 경우가 나오기도 한다...모두가 불편했지만 콩나물 시루 같던 버스를 타도 좋았고, 한 밤중에 천장에서 달그락 거리는 쥐소리를 들어도 아무렇지 않았다.. 불량식품이라던 달고나가 지금와서 다시 인기를 끄는 이유도 같은 이ㅠ 아닐까? 물질적으로 다 가지려만 하지 말고 정신적으로 온전해 지려고 노력하자...
윤완용? 누구지?
어서 3월초 삼일절 끝나고 윤완용 깝빵가는날 독립운동 다시 시작이다!
자기가 자기를 지키지 못 안 하는이들은 요즘같은 자유롭고 민주적인 지구촌어딛가도 마찬가지 일 거라고 생각이 드는군요 미쿡같은데와서도 맨날 남탓 언제나 철들이 들려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