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 재외동포 현황
▶ 과학적 아닌 주먹구구 통계, 체계적인 조사법 도입 필요
지난 19일 한국의 재외동포청이 공개한 ‘2023 재외동포 현황’에 따르면 영주권자 등 한국 국적자를 포함해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 숫자는 2022년 말 기준으로 261만5,419명에 달했다.
반면 연방 센서스국이 9월21일 발표한 2020년 센서스(총 인구조사)의 인종 및 민족별 인구 통계에서 미 전체 한인 인구는 혼혈을 포함, 198만9,519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앞서 9월14일 센서스국이 밝힌 ‘2022년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에선 한인 인구는 205만1,572명(혼혈 포함)으로 나타나 처음으로 미국 내 한인 인구가 200만명을 돌파했다.
이처럼 재외동포청 현황과 연방 센서스국 통계 사이에 격차는 2022년 기준으로 56만3,447명(27.5%)에 달한다. 미국에서 한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캘리포니아주를 비교하면 재외동포청 현황에서는 80만5,810명이었고, 2020년 센서스 통계는 56만4,015명, 2022년 ACS 조사는 57만4,460명이다. 캘리포니아만 놓고 봐도 재외동포청과 연방 센서스 차이는 23만1,350명에 이른다. 비율로는 재외동포청 추산 캘리포니아 한인 인구가 40.3% 더 많다.
이같은 차이는 왜 발생하는 것이며 어떤 통계를 더 신뢰할 수 있을까? 미국에서는 연방 헌법 규정에 따라 매 10년마다 연방 센서스 인구조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한다.
인구조사의 결과는 각주를 대표하는 연방하원 의석 수를 결정하고, 선거구 경계를 설정하며, 수천억 달러가 넘는 연방 자금을 지역 사회에 어떻게 배분할 지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센서스 인구조사는 온라인(my2020census.gov) 혹은 전화(한국어 및 영어)로 참여가 가능하다.
연방 센서스국은 인구조사 무응답 후속조치(NRFU)로 센서스에 참여하지 않은 가구들을 상대로 직원들이 직접 거주지를 방문해 조사를 실시하기도 한다. 이와는 별도로 연방 센서스국이 해마다 실시하는 미국 지역사회 조사(ACS)는 매년 인구, 사회, 경제, 주택에 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전국적 설문조사다.
연방 통계청이 주관하는 이 설문조사는 매달 약 25만가구에 무작위로 보내지는데, 센서스국은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종별 인구를 비롯한 연간 추정치를 발표한다. 2020년 연방 센서스 인구조사에 비해 2년 후인 2022년 ACS 조사에서 한인 숫자가 소폭 늘어난 이유는 여기서 비롯된다.
이에 반해 재외동포청은 매 홀수년도에 LA총영사관을 비롯한 전세계 181개 재외공관을 통해 재외동포 현황을 파악한다. 재외동포청에 따르면 이 현황은 ▲인구 센서스, 이민국 자료 등 공식 통계 ▲공관 직접 조사 ▲재외국민등록부 등 민원처리 자료 ▲동포단체 자료 등을 활용해 산출한 추정치다.
예전에는 한국 외교부가 재외동포 현황을 집계해 왔는데 지난 6월 재외동포 정책을 총괄하는 재외동포청이 출범함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동포청이 현황을 발표했다. 재외동포청은 책자로 발간되는 ‘2023 재외동포현황’을 주요 정부기관, 대학 및 연구기관, 공공도서관, 언론기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한국 정부가 재외동포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거나 한국인들의 해외여행,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시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재외공관이 과학적 조사기법 없이 작성한 자료를 모아 집계한 재외동포 현황이 실제 한인 인구를 얼마나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예전에는 연방 센서스 통계와 한국 외교부 현황 사이의 격차가 더 컸었다.
2010년 연방 센서스 조사에서는 미국 내 한인 숫자가 142만3,784명이었던데 반해 2010년 기준 한국 외교부 통계에서는 217만6,990명으로 75만3,206명(52.9%)의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물론 연방 센서스라고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매 10년마다 실시되는 센서스 조사 참여율은 70% 중반대다. 한인을 비롯한 다양한 이민자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참여율은 60%를 밑돈다. 이민자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장벽과 체류신분 및 신원노출에 대한 우려가 참여율이 저조한 주요 이유로 꼽히고 있다. 그럼에도 과학적 통계 기법을 인정받고 있는 센서스 인구조사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주먹구구식’ 재외동포 현황의 격차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차종환 한미교육원 원장은 “최근 한국 통일부가 미국 등 해외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첫 실태조사를 벌이면서 전문 기관인 한국 갤럽조사연구소에 대면 인터뷰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의뢰했다는 점을 본받을 필요가 있다”며 “주먹구구식 재외동포 현황이 아닌 보다 체계적인 조사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노세희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신분이 없으면 기본적으로 연방인구센서스에 등록을 못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