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티브 양 프로융자 대표
몇주전 미국에서 16번째로 크다는 북가주의 Silicon Valley Bank (SVB)가 파산하면서 금융시장을 화들짝 놀라게 만들었다. 이틀 뒤엔 뉴욕의 시그니쳐은행이 문을 닫았고 연이어 스위스 제 2의 은행인 Credit Suisse(CS)조차도 유동성 문제가 들어나면서 전 세계금융시장을 동요하게 만들었다.
다행히 CS는 스위스 최대 은행인 UBS에 의해 인수 되어 월스트릿은 다소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SVB파산 이후로 미국의 다른 중소형 은행들의 불안과 이에 따른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는 아직도 말끔히 가시지 않은 상태이다.
SV은행은 왜 파산에 이르렀는가?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SV 은행은 스타트업과 밴쳐캐피털을 주 고객으로 하여 팬데믹이후 풍부한 자금이 예금으로 들어오면서 갑자기 규모가 수 십배로 커진 은행이다. 여타 은행과 달리 예금의 60-70%이상이 FDIC보증 상한(250,000달러)을 넘어서는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
SV는 이렇게 몰려든 자금으로 조금의 이자수입이라도 올릴 목적으로 안전하다는 미국채를 매입하였다. 얼핏 말이 되는 것 같지만, 언제 찾아갈지 모르는 예금을 만기가 긴 장기국채에 투자한 실수를 저질렀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문제는 물가상승과 사투를 벌이고 있는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서 재앙이 닥치기 시작했다. 연준의 기준금리인상은 모든 채권들의 금리를 올렸고 이는 곧 채권가격의 하락을 의미한다. 채권가격이 하락할 경우 그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고 있는 한 투자금 손실은 없지만, 만기전에 환매를 하면 가격손실을 입게된다. 이것이 채권투자의 위험이다.
또한 고금리는 주식시장의 약화를 가져왔고 스타트업의 IPO(주식상장)도 씨가 말랐다. 이에 따라 자금줄이 막힌 스타트업들과 벤쳐캐피털들은 SVB의 구좌에 있는 돈을 찾기 시작했다. 이들의 예금을 장기국채에 투자하고 있던 SVB는 갑작스런 예금인출에 응하기 위하여 이미 수십억 달러 손해를 보고 있던 국채를 팔 수는 없는 일이었다.
대신 유상증자와 채권발행을 통해서 해결할려고 했으나 이미 약해진 대차대조표를 깨달은 시장의 냉냉한 반응에 증권발행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상황이 급속히 악화되기 시작했다.
이를 눈치 챈 일부 헷지펀드, 벤쳐캐피탈, 스타트업 예금주들이 예금을 뭉탱이로 빼내가면서 뱅크런이 발생 40년 역사의 은행이 불과 40시간 만에 문을 닫는 황당한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연준의 금리인상의 위력을 새삼 깨달게 하는 사건이다.지난 50여년 간 8번의 불황이 있었는데 펜데믹을 제외한 7번이 연준발 금리인상에 기인했다고 한다. 이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은 향후 6-12개월안에 불황을 예상하는 것이다.
그런데 불황은 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기도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를 절호의 기회로 삼기도 한다. 바로 현금 즉 유동성을 확보 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투자의 귀재로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런 버펫은 썰물이 왔을때 누가 알몸으로 수영하고 있는 알게된다고 말했다.
자산건전성 더나아가 유동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다. 기업과 은행의 파산도, 불황이 고통이 될지 기회가 될지를 가르는 기준도 결국 유동성이다. 유동성이란 현금과 더불어 현금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이다. 주식과 부동산은 불황의 시기에 유동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불황이 오면 주식은 이미 빠져있고 사야할 시기에 팔수는 없게 되고, 부동산 역시 빠져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가 줄어들어 팔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개인이 불황을 대비하는 가장 좋은 방책의 하나는 가능할 때 미리 Line of Credit을 설정해 놓는 것이다. 집을 담보로 하는 Heloc이 될 수도 있고, Business를 대상으로 하는 Line of credit이 될 수도 있다. 불황이 오지 않고 연착륙으로 지나가는 최선을 바라지만, 한편 스스로 최악을 대비할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문의: (213)393-6334
이메일: syang2310@gmail.com
<
스티브 양 프로융자 대표>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