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한 ‘넵튠 스피어 작전’이 이번 주말을 기해 10주년을 맞는다. 이슬람 테러와 급진 이슬람주의의 현주소를 폭넓게 살펴보기에 더할 수 없이 좋은 기회다. 이들에 대한 초기 진단 결과는 이슬람주의의 확실한 쇠퇴이다.
테러로 숨진 지구촌 전체 사망자 수는 이슬람주의가 정점에 도달했던 2014년 이래 59%나 감소했다. 현재 서방세계가 직면한 최대 위협은 이슬람 폭력이 아닌 극우테러이다. 2014년 이후 무려 250%의 폭증세를 보인 극우테러는 같은 기간 발생한 지구촌 전체 테러의 46%와 이로 인한 사망건수의 82%를 차지한다.
오늘날 대다수의 이슬람 테러는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나이지리아의 보코하람, 아프리카 북동부지역의 알-샤바브처럼 지역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알-카에다의 기세가 등등하던 시절, 이 집단의 지도자들이 ‘가까운 적’(현지 정권)이 아닌 ‘먼 곳의 적’(미국과 서방국가들)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에 비하면 놀랄만한 반전이다.
이후 알-카에다는 중앙 지휘부와 이념조차 없이 산지사방으로 흩어진 몇 무리의 민병조직으로 전락했다. 이슬람국가는 그보다는 형편이 조금 나은 편이다. 자금사정도 알-카에다보다 양호하지만 이들의 활동반경 역시 모잠비크나 소말리아 등 정정이 불안한 지역으로 좁혀진 상태다.
1970년대에 융성하기 시작한 호전적 이슬람의 뿌리는 사회발전을 게을리 한 독재자들과 왕정체제의 실패에 닿아있다. 이슬람주의자들은 무슬림들을 향해 빈곤과 독재로 연결되는 서구식 현대화를 포기하고, 대신 진정한 이슬람 국가로 가는 길인 ‘정치적 이슬람’이라는 아이디어를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빈 라덴과 그의 동지인 아이만 알-자와히리는 정치적 이슬람을 호전적 이슬람으로 바꾸었다. 그것만이 아랍세계와 다른 지역의 독재를 타도할 유일한 길이라는 판단에서였다. 그들은 특히 아랍지역은 물론 전 세계의 독재정권을 지원하는 초강대국, 즉 미국에 테러 역량을 집중하라고 촉구했다.
‘릴리전스’(Religions) 저널에 기고한 에세이에서 덴버대학 중동연구센터의 나데르 하셰미 소장은 정치적 이슬람의 매력은 무슬림 세계의 열약한 현실에 대한 신비적 대안인 검증되지 않은 저항운동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과거 20-30년에 걸쳐 이슬람 정당들은 이라크, 수단, 튀니지, 이집트, 가자, 요르단과 기타 지역에서 정치화 과정을 밟았다. 이에 대해 하셰미는 “정치적 이슬람의 대중적 명망은 국가권력을 경험하면서 얼룩이 졌다”고 주장한다.
수백만 무슬림들은 정치적 이슬람의 활동을 지켜보았고, 그들이 목격한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그들은 무리를 지어 이슬람 국가의 칼리프 통치지역을 벗어났다. 그들은 또 이집트의 무슬림 브라더후드(Muslim Brotherhood)에 거세게 저항했고, 이라크의 시아파 정당들이 ‘우리끼리 나눠먹기’ 식의 ‘후원정치’에 매몰되는 광경을 지켜보았다. 그런가하면 이란의 무슬림들은 신권주의 정부에 의해 참정권을 잃어갔다. 정치적 이슬람에 공급되는 산소인 현 정권에 대한 환멸과 종교 지도자들에 대한 맹신은 급격히 감소했다.
지금 남아있는 것은 거대한 범세계적 운동의 부분이 아닌 지역적 문제와 지역적 불만뿐이다. 서구에서도 마찬가지다. 프랑스에서 이슬람주의자들의 테러공격이 빈발했지만 이들은 모두 경찰에 알려지지 않은 개인들, 혹은 지하드 그룹과는 상관없는 단체들에 의해 자행됐다. 그들이 지닌 개인적 불만이 극단적 이념으로 연결되면서 자체적인 급진화가 이루어졌다.
이런 면에서 유럽에서 발생한 이슬람주의자들의 공격과 미국에서 자행된 극우주의자들의 테러는 어떤 공통점을 지닌다. 소외된 개인들, 급진화한 온라인은 그들의 두려움과 분노를 무기로 전환하는 이념을 찾아낸다. 요즘 미국에는 무슬림보다 훨씬 많은 소외된 백인들이 존재하고, 바로 이것이 이 땅에서 발생하는 테러의 구성요소에 변화를 준다.
이슬람과 이슬람 테러 및 이슬람 국가의 민주화 전망과 관련해 도출할 수 있는 교훈은 복잡하고 다양하다. 2021년은 수백만 명의 아랍인들이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평화적인 시위를 벌였던 ‘아랍의 봄’ 1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아랍인들의 펑화시위는 지난 수년에 걸쳐 알제리, 수단, 레바논과 이라크에서 재연됐다. 그들의 노력은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는데 그쳤지만, 아랍인들과 무슬림이 칼리프 통치보다 자유와 민주주의를 원한다는 사실을 평화적으로, 그러나 강력하게 보여주었다.
여기서 미국이 배워야할 한 가지 중요한 교훈이 있다. 바로 평온을 유지하는 것이다. 9/11 사태 이후 몇 달 동안, 우리는 새로운 적에게 패배할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공황상태에 빠졌고, 국가안보라는 이름 아래 안으로는 자유를 희생 제물로 바쳤으며 나라 밖에서는 전쟁을 치렀다. 이는 소련연방에서 사담 후세인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직면한 위협을 턱없이 과장하는 미국적 전통의 일부였다. 새로운 적을 찾아 세계 곳곳을 정탐중인 지금, 우리가 배워야할 교훈은 ‘적’을 과장 없이 제대로 평가하고, 신속히 대응하되 지레 겁을 집어먹은 채 허둥대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
파리드 자카리아>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어느 가정 어느 나라 군주 독재 정권도 집안싸움 콩가루집안이 망하게 하는것 지금 미쿡도 트 라는 정신이상자가 뿌려놓은 증오 차별 자기중심 이기주위가 나라를 구성하는 아직은 소수이긴하지만 청개ㅔ구리 미꾸라지가 국민의영혼까지 혼탁하게 만들어놓고 부채질까지 해대니 선량한 시민 열심히 하루하루를살아가는 서민들 외국인들 다른종교인들 요즘엔 아시안이 여기저기서 증오의대상으로 불안한 매일을지내고 잇는데도 공화당에선 아직도 트 를 지지 두둔하는이들이 있다는게 그저 놀라며 미쿡의 앞날이 우리 이세들이 걱정 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