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치한다는 것은 곧 결단을 내리는 일이다.” 언젠가 프랑스의 한 총리가 했던 말이다. 그리고 이번 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어려운 전략적 결단을 내렸다. 그는 지난 14일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철군 시간표를 발표했다.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에 진입한지 만 20년만의 일이다. 지난 수년간 미국은 확실한 출구전략을 제시하지 못한 채 현상유지에 급급했다. 따라서 더 이상 미루지 않고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는 사실만으로도 바이든은 후한 점수를 받아 마땅하다.
철군은 과연 올바른 선택일까? 필자는 그렇다고 믿는다. 이제까지 미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가능한 모든 접근법을 시도했다. 9/11 사태 이후 처음으로 아프가니스탄에 진입했을 때에는 대규모 병력 대신 소수정예군을 투입해 현지세력과 연합하는 이른바 ‘라이트 풋프린트’(Light Footprints) 접근법을 택했다. 그러나 이 전략은 탈레반에게 흩어진 전열을 재정비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허점 때문에 불과 2-3년만에 폐기됐다.
이어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다국적군의 규모를 최고 13만명 선까지 끌어올렸다. 미군이 주축이 된 다국적군은 안전과 현지인들의 전폭적인 지지 확보라는 두 가지 전략적 목표를 제시하며 포괄적인 반군억제로 방향을 틀었다.
그러나 병력증파 효과는 오래가지 못했다. 이후 미군의 부분적 철수가 이루어질 때마다 탈레반은 공세를 강화했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의 역할을 국가재건사업 지원이 아닌 적과의 전투로 제한한다는 조건을 달아 소규모 병력증파를 선언했다. 하지만 그의 결정이 성과를 내지 못하자 트럼프 역시 부분적인 철군으로 돌아섰고, 이에 따라 현지 주둔 미군병력은 3,500명 선으로 축소됐다.
미국이 아프간에서 승리하지 못한 이유를 이해하자면 헨리 키신저가 1969년 베트남전에 관해 남긴 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의 해석에 따르면 “게릴라들은 지지만 않으면 이기지만, 정규군은 이기지 않으면 진다.” 1975년 사이공 함락직전, 한 베트남북부지역 사령관과 그의 상대역인 해리 서머스 미군 중령 사이에도 비슷한 취지의 대화가 오갔다. 서머스 중령이 “당신들은 전장에서 단 한 번도 우리를 이기지 못했다”고 말하자 월맹군 사령관은 “아마 그럴지도 모르지만, 그건 상관없는 일이다”고 받아쳤다. 키신저의 지적대로 게릴라들은 지지만 않으면 승리한다.
하지만 우리가 충분히 묻지 않은 질문은 왜 미국이 실패했느냐가 아니라 탈레반이 성공한 이유가 무엇인가이다. 오합지졸에 가까운 탈레반은 최첨단 무기로 무장한 세계 최강국의 군대를 상대로 지난 20년간 끈질기게 버틴 끝에 결국 승리를 거머쥐었다. 그 사이에 우리는 탈레반의 광적인 이데올로기와 여성에 대한 부당한 처우를 비난하면서 시간을 허비했다. 우리는 탈레반의 조직원들을 테러리스트라 불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이 그토록 잘 버텨내는 이유를 묻지 않았다.
마오쩌뚱은 일찍이 이렇게 말했다. “게릴라들은 바다 속을 헤엄치는 물고기처럼 인민 가운데서 움직일 수 있어야만 성공한다.” 탈레반은 바로 이 일을 해냈다. 학자들은 종족 정체성과 연대가 탈레반의 성공을 이해하는 관건이라고 지적한다. 이들이 막강한 전투력이나 경제지원, 심지어 좋은 정부보다 훨씬 중요한 성공요인인 셈이다. 많은 현지인들, 특히 아프간의 최대 인종그룹인 파쉬툰 족은 탈레반과 한 몸처럼 움직인다. 이에 비해 카불 정부는 종종 아웃사이더, 혹은 외국인들과 손을 잡는다.
대테러전문가인 데이비드 킬쿨렌은 그의 명저 “우발적 게릴라”(Accidental Guerrilla)에서 현지주민들이 이념적 동질성을 전혀 느끼지 못하면서도 탈레반과 함께 전투에 나서는 광경을 직접 목격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아프간 인들은 외세에 맞서 싸워야한다는 단 한 가지 생각에 탈레반과 손을 맞잡았다. 제 아무리 많은 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도 아프간 인들에게 미국은 그저 아웃사이더일 뿐이다.
탈레반의 성공에는 또 다른 이유들이 있다. 탈레반의 배후에는 은신처와 도움을 제공하는 파키스탄 군부가 도사리고 있었다. 역사상 국경 너머에 은신처를 지닌 반군들이 전쟁에서 패배한 적은 거의 없었다. 미국이 뿌린 수백억 달러의 지원금과 군비는 아프간 경제를 완전히 왜곡시켰고, 여기서 비롯된 부패 역시 탈레반에게 득이 됐다. 이외에도 미국은 아편생산을 차단해 카불 정부를 크게 약화시키는 실수를 범했다. 좋건 싫건, 아편은 지난 수 세기 동안 헬만드 지역의 주된 작물이었다.
궁극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이다. 제대로 기능하는 민주주의를 확립하고, 아편 교역을 끝내며, 여성의 평등을 보장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지닌 외세는 강력하고 유능하며 합법적인 현지 파트너 없이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이번 철군에 대해 사람들은 미국이 제 코스를 유지할 역량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한국과 독일에서처럼 미군이 계속 아프간에 주둔해야한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과 독일에 배치된 미군의 주된 역할은 주둔국을 외부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지 분열된 국가를 하나로 묶어주는 것이 아니다.
미군은 베트남보다 아프가니스탄에 더 오래 머물렀다. 소련에 비하면 두 배나 긴 시간이다. 이제 그만 집으로 돌아와야 할 시간이다.
<
파리드 자카리아>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첫 단추를 잘못 낀 크나큰 실수를 했지요 서툰 잘난줄만아는 미 국인들 이젠 미국이 다릉들 다른 민족 문화 기술 종교를 배우고 이해할려하고 같이 어우르지 아니하고 나만 우리만 내가 우리가 를외칠땐 월남전 아프칸전 한국도 어찌보면 마찬가지 처럼 여기저기서 서서히 미국이 별볼일없는처지가 될공산이 점점더 넓고 커 질걸로 생각합니다 사람은 언제나 겸손히 배우고 남과같이 도우며 어우를때 너도나도 같이 자유롭고 행복하게 잘 살수있다 는걸 알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