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소 펜실베니아 주립대 응용언어학 박사과정
지금 당신은 말라리아로 고통 받는 지역에서 국제개발활동의 일환으로 모기장을 나눠주고 있다. 그런데 지역주민이 “하얀색 모기장으로 부탁해요” 라고 말한다. 하얀색이 필요하다고 하니까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하얀색 모기장을 주문해서 주민들 손에 쥐어 준다. 왜 하얀색을 달라고 했을까 하는 의구심이 남지만, 숙소로 돌아온 후에 곧 잊어버린다.
집집마다 모기장이 걸려 있기를 기대하고 지역을 한 바퀴 돌아보지만, 모기장을 달아놓은 집이 없다. 그 많은 모기장은 다 어디로 갔을까.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이 모기장인데, 왜 나눠줘도 달지를 않는 걸까. 이래서는 말라리아 발병률이 올라가기만 할 텐데 어떡하나. 점점 의아해진다.
답은 의외로 엉뚱한 곳에 있었다. 지역시장을 한 바퀴 돌아보고 있는데, 결혼식 신부용 면사포가 곱게 걸려 있다. 낯이 익어서 유심히 뜯어봤더니, 얼마 전에 나눠줬던 하얀색 모기장이 면사포가 되어 시장에서 팔리고 있었던 거다.
국제개발협력을 하던 선배가 해준 이야기다. 일하고 있는 지역에 말라리아 문제가 심각해서 모기장을 배급했지만, 지역주민들에게는 언제 걸려서 죽을지 모르는 말라리아보다 내일 당장 식량을 살 돈이 더 급한 건지도 모른다. 전문가로서 모기장의 말라리아 예방효과는 아주 잘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지역주민이 처한 상황을 주민의 입장에서 읽어내지는 못한 결과다.
타인을 진심으로 도와주려면, 그 사람이 서 있는 자리에 서 봐야 한다. 내가 서 있는 자리에서 한 발짝도 움직이지 않은 채 타인에게 조언을 한다면, 허공에 맴도는 메아리에 지나지 않는다. 그 사람이 살아온 역사, 행동하는 방식, 이미 받고 있는 도움, 이전의 경험 등등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은 다음에, 그 사람이 지금 서 있는 곳에서 생각해 봐야 적절한 조언과 도움을 줄 수 있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이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다 안다. 모기장을 배급하면 말라리아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낮아질 수 있다는 걸 전문가들은 경험으로 안다. 그렇지만 모기장이 발병률을 낮추는 데 성공한 이유는 지역주민들이 말라리아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었을 수도 있고, 모기장을 웨딩드레스로 만들어 팔아야 할 만큼 푼돈이 급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모기장을 배급하는 사람들이 설치까지 전부 해주어서일 수도 있지만, 단지 모기장이 초록색이어서 그랬을 지도 모른다.
모기장을 나눠주는 해법 자체가 틀린 건 아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이라도, 상대방이 처한 맥락과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조언이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내가 해봐서 아는데’ 역시 마찬가지다. 내 경험과 상대의 경험은 본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내가 해봤다고 해서 상대방이 하는 법을 아는 건 아니다. 내가 앉아있는 편한 자리에서 내 경험과 철학을 늘어놓는 건 조언이 아니라 한낱 자기 자랑에 지나지 않는다.
누군가를 진심으로 위한다면, 내 조언이 힘이 되기를 원한다면, 상대방의 자리에 서봐야 한다. 지금까지 이 사람이 내게 말해준 것과 말해주지 않은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이 사람에게는 이 상황이 어떻게 느껴질지 꿰뚫어 보고, 내 조언이 이 사람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 지 미리 예상해 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내 자리를 벗어나 상대방의 자리에 서는 건 이토록 어려운 일이다.
상대방의 자리에 서보지 않은 조언은 면사포용 모기장보다 못하다. 아무리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이라고 해도, ‘내가 해 봐서 안다’고 해도, 나와 타인은 본질적으로 다른 역사와 경험을 가진 다른 존재다. 꼰대는 꼬장꼬장한 아저씨가 아니라, 타인의 자리에 서볼 성실함이 없는 존재다.
<
김미소 펜실베니아 주립대 응용언어학 박사과정>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my life". Excellent thoughts!
This article reminds me the quote "Don't judge me till you walk a mile in my shoes or live a day in
I just signed up with Korea Times to praise this lady's opinion. Although everyone knows what she wrote is perfectly right, it isn't easy to be in someone else's shoes. That is why I try my best not to advise anyone anything. Thank you Ms. Kim for your remi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