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별 마감일 체크, 수일전 여유있게 제출하라
▶ 수상경력 과외활동 등 포트폴리오 작업
늘 지켜봐 온 부모가 도와주면 큰 도움
대입지원서 작성이 대입지원에 가장 중요한 관문이니만큼 신중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대학지원서를 작성하기에 앞서 한 학생이 교사와 함께 수강한 커리큘럼을 점검하고 있다. [AP]
대학별로 마감일이 차이가 나므로 이를 명심하고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듀크 대학 캠퍼스.
■ 대입지원서 작성도 포장전략이 필요하다
대학에서 수천명의 지원자를 놓고 입학사정관들이 제일 처음 수험생들을 접하게 되는 것이 바로 지원서라고 할 수 있다. 지원서에서 1차적으로 그 수많은 학생들 가운데 선발될 가능성이 있는 학생을 고르기 때문이다. 기업에서 사원을 뽑을 때 이력서가 중요한 역할을 하듯이 이처럼 대학에서도 학생의 대입지원서 하나로 일목요연하게 그 학생의 모든 것을 볼 수 있기에 지원서를 정성을 들여서 작성해야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즉 대입지원서 작성은 현재까지 모아온 자신에 관한 모든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입학사정관에게 보여주는 작업이다. 대부분 대학의 조기지원은 마감이 11월1일이다. 그리고 11월1일부터 UC 지원서 접수가 시작된다. 그리고 12월에는 많은 대학들의 정시지원이 있다.
대입지원에 있어서 부모보다 영어에 능통한 자녀들이 자신이 혼자 할 수 있다며 도움의 손길을 벌리려 하지 않다가 낭패를 보기 쉽다.
■대입지원서도 전략이 필요하다
여름방학부터 준비를 시작한 시니어들도 있지만 11학년이 끝난 여름방학 동안 특별한 프로젝트를 계획한 학생들도 있다. 또는 인턴십 때문에 여름방학의 모든 시간을 투자한 학생들도 있다. 마지막 여름방학 동안 크고 작은 계획들로 바쁘게 보내느라 대입지원서에 대한 준비는 손도 대지 못한 시니어들도 많을 것이다. 단계별로 차근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1. 각 대학의 마감일을 체크한다.
만약 조기지원을 하는 경우 그 종류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조기지원과 정시로 나눠서 마감일을 첵업한다. 또한 아이비리그 등 사립과 공립 등의 마감일이 각기 다르므로 칼렌다에 마크하면서 미리미리 준비해야 한다.
마감일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지만 너무 빨리 제출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끝까지 서류 하나하나를 정확하고 세밀하게 첵업하면서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공부량도 많고 과외활동에도 분주하다보면 마감일까지 늦추는 것이 관례인데 그렇게까지 늦추게되면 심리적으로 쫓길 수가 있고 특히 마지막날에 수험생들의 지원서가 한꺼번에 제출되면서 간혹 서버가 다운되는 일도 발생하므로 마감 수일전에는 제출하는 하는 것이 심리적인 안정을 줄 수 있다.
2. 수상 경력, 과외활동, 인턴십도 포함해 도표를 만들어 정리한다.
평면적으로 정리하면 잘 표시가 안 날 수가 있지만 도표 등으로 정리하면 눈에 확 뜨일 수 있다. 도표는 학년 별로 정리하며 과외활동이나 아르바이트 했던 경험과 그 내용 및 포지션을 한 주에 몇 시간씩 1년에 몇 주를 참여했는지 그리고 상을 받은 적이 있다면 그 실적들을 포함해서 작성한다.
정리한 것을 바탕으로 공식적인 이력서 형식으로 작성한 후 컴퓨터에 저장해 둔다. 자녀의 이메일 주소나 instant messaging(IM)도 너무 조잡스러운 이름으로 만들지 않도록 한다.
공식적인 이력서를 만드는 기본 구성을 아카데믹한 활동과 포지션 수상실적, 과외활동, 아카데믹 레코드 그리고 여름방학 동안 일한 경험 등 5가지로 나누어 정리한다.
어떤 학생은 음악 및 미술 등의 실적이 있을 것이고 또 다른 학생은 뛰어난 스포츠 실적이 있을 것이니 이것도 따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특별한 오케스트라의 멤버이며 카네기 홀에서 연주한 경험이 있다면 이것도 일자를 기억하여 정리해 둘 것이며 만약 자신의 음악이나 포트폴리오를 CD를 만들어 첨부할 예정이라면 여름방학을 이용한다. 어떤 학생은 주 대회 이상의 국제 경시대회나 전국대회에서 수상을 했다면 이것도 도표를 만들어 보관한다.
한 학부모는 대입도 대입이지만 자녀의 성장과정을 옆에서 입체적으로 지켜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녀와 함께 한 대입 포트폴리오 작업에 대해 큰 만족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또한 이렇게 만든 이력서는 자녀가 재학 중인 고교의 카운슬러에게 제출하여 자녀의 우수성을 인식하고 있도록 해야 실제 입학 지원서를 쓸 때 자녀에 대해 세밀하게 표현해 줄 수 있다.
3. 자녀가 다니는 고교에서 전 학년 성적표를 떼어두어야 한다.
대입지원서에 어떤 과목을 들었는지 또 학점은 어떻게 나왔는지를 기록해야 하기 때문이다. 혹시 실패한 과목이 있으면 반드시 메이컵을 해 두었어야 한다. 대학입학에 필요한 필수과목은 모두 이수했는지 살펴본다. 대학입학 필수과목이 UC의 경우 3.0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아카데믹 레코드
지원자의 학교 평균성적 AP/HP/IB 등 수강 과목 수, 고교시절 수강한 대학코스 SAT 또는 ACT 등의 표준시험 점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든 표준고사 성적표를 준비해 둔다.
5. 추천서 써 주실 선생님을 찾아 확인해 두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면 코어 서브젝트를 가르쳤던 11학년 때 성적이 좋았던 과목의 선생님, 그리고 자신을 가장 잘 알고 계신 선생님께 부탁해 두자. 적어도 2주 정도의 여유를 드려야 하기 때문에 서두른다. 사실 추천서는 극심한 대입 경쟁에서 대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히든카드의 성격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6. 에세이 주제 선정을 해야 한다.
UC 계열은 에세이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기 때문에 각 대학의 요강에 맞춰서 미리 주제를 선정해야 지원서 제출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공통지원서의 토픽은 자신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토픽 주제에 따라 자신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에세이는 지원서에는 나타나지 않는 또 다른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자신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정당한 이유를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도 심사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7. 대학 선택을 위해 상담 선생님을 만난다.
가능하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하는 것도 좋다. 대학 지원은 합격할 가능성 10% 정도인 대학 3개, 30-40% 정도인 대학 3개, 60% 정도인 대학 3개, 80% 이상 합격률인 대학 3개 정도면 좋다. 총 12개 정도의 대학에 지원할 것을 추천한다
8. 입학사정관의 입장에서 한 번 서류를 살펴본다
자신이 단순히 수험생이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입학사정관이라고 가정을 해본다. 내가 입학사정관이라면 이 학생이 학교의 분위기에 맞는지 혹은 학교발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생인지 등을 주도면밀하게 살피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수험생도 드림스쿨에 입학하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경주하지만 학교 입장에서는 과연 이 학생을 받아들이는 것이 학생 자신은 물론 해당 대학에도 도움이 될 것인가를 수험생 이상으로 치밀하게 따질 것이기 때문이다.
<
박흥률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