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지오 교육학 박사·교육 컨설턴트
미국내 외국어 교육 교육자들의 모임인 ACTFL(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에서는 World-Readiness Standards of Learning Languages(세계어 배우는 학습기준) 또는 목표(goal areas)로 5C’s를 강조합니다. 제가 옛날에 5C’s에 대해 소개한 적이 있는 데 너무 오래 전 일이라 다시 설명합니다.
미국 주류학교에서 스페니시, 중국어, 한국어 등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육자들을 위한 교육전문저널인 “The Language Educator” (언어교육자)에서는 외국어 교육의 학습기준 (standards)으로, 5C’s 중 가장 중요한 Communication(의사소통)은 Interpersonal Communication(상호 소통하기), Interpretive Communication(배운 인포메이션을 이해, 분석하는 힘), Presentational Communication(배우고 있는 언어로 설명하고 발표하는 스킬)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한국어 교육에도 미 주류교육계의 외국어 학습기준및 목표인 5C’s를 참고로 하여 외국어교육의 가장 최근의 연구를 배워 현장학습에 적용하도록 노력했으면 합니다.
가르친다는 것은 계속 배우는 것이니까요. (To teach is to learn).
① Communication(의사소통): 여러가지 상황(situations)에서 다목적(multiple purposes)으로 효과있게 소통하는 능력
② Cultures(문화): 문화를 이해하고 문화능숙도(cultural competence)를 기르기
③ Communities(커뮤니티):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국내및 세계의 모든 지역과 상호 협동
④ Connections(연결): 애커데믹 분야와 직업(academic and career-related situations)에서 사용하는 언어 이해
⑤ Comparisons(비교) 언어를 다른 언어, 다른 문화와 비교, 대조제가 10여년전 California Foreign Language Framework(캘리포니아 외국어교육 지침서)를 만들 때 Curriculum Framework Criteria Committee(교과과정 지침서, 평가기준 위원회)에서 California의 다양한 지역에서 온 교육자들과 한달에 한번씩 캘리포니아 주도인 Sacramento 에 있는 주 교육부에서 미팅을 하면서 외국어교육에 대해 많이 배웠습니다.
한국어, 한국문화를 잘 가르치거나 배우려면, 미국문화, 미국역사, 영어도 잘 알아야 지성적인 비교, 대조, 설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나다. 제 의견으로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 계속 공부를 하도록 노력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내의 한국어교육의 전문성, 즉 최근의 연구와 데이타에 의해 교실현장으로 접목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듯 합니다.
① 제2언어로서 한국어 가르치고 배우는 법(Korean as a Second Language),
② 언어습득원리(Language Acquisition Theory)
③ technology를 tool로 사용하는 한국어학습(Using Technology)
④ 잘 가르치는 수업을 공유하기( Sharing Best Practices)
⑤ 교실 운영, 학생 행동및 태도 컨트롤(Classroom Management)
⑥ 한국 문화와 언어의 통합(Incorporating Culture into Curriculum)
⑦ 주제식 수업(Thematic Approach)
⑧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Project-Based Curriculum)
➒지속적인 학부모 교육(Parent Education)
➓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은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생각하나 (How Children and Youth Think and Learn)
교육상담: drsuzieoh@gmail.com
<
수지오 교육학 박사·교육 컨설턴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