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욱 <객원논설위원>
4일전 잘 아는 목사의 장례예배 중 발인예배와 하관예배에 참석했었다. 고인의 관 앞에서 고개를 숙이고 기도를 드린 후 잠자듯 누워있는 고인의 얼굴을 보았다. 장의사에서 곱게 화장을 해주어서인지 눈만 감았지 살아있는 사람처럼 얼굴이 평온해 보였다. 금방이라도 이름을 부르며 일어날 것 같았다. 그러나 그는 일어나지 않았고 잠자듯 누워만 있었다.
발인예배가 끝나고 장지에서 드려지는 하관예배에도 갔다. 장지는 롱아일랜드의 한 묘소였다. 검은 리무진에 모셔진 고인의 관은 가족들과 함께 장지에 도착해 고인이 묻힐 장소로 이동됐다. 이미 그곳엔 고인이 묻힐 곳의 땅이 파져 있었고 하관예배를 위해 천막이 드려져 있었다.
평소 고인과 잘 알고 지내던 목사의 하관예배 집전에 따라 찬송과 말씀이 있었고 축도가 끝난 후 준비 된 꽃송이들을 관 앞의 영정사진 아래 놓아두면서 고인에게 마지막 인사를 드렸다. 이제 조금만 있으면 고인의 관은 땅 속 깊이 묻히게 된다. 가족들 중 딸이 그렇게 눈물을 흘리는 것을 보고 평소에 아버지를 많이 사랑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관예배를 마치고 돌아오던 그날은 죽음에 관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죽음이란 과연 무엇인가. 중국의 공자는 한 제자가 죽음에 대해 질문하자 이런 말을 남겼다. “왈미지생 언지사(曰未知生 焉知死)” 논어의 ‘선진편’에 나오는 말로 뜻은 “아직 삶도 제대로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이다. 유교적 답변으로 짤막하지만 많은 뜻이 담겨있다.
살아가는 생(生)도 모르고 우왕좌왕 살아가는 판에 생이 다하여 죽은 다음의 일은 알아서 무엇 하랴는 식의 참으로 공자다운 답이 아닐 수 없다. 좀 더 깊이 그 뜻을 생각해 보면 살아있는 동안 주어진 현실에 충실하고 열심히 살아, 사람으로서의 본분과 직분을 다하라. 그리고 죽음은 죽음 다음에 맡기라 란 뜻일 것 같다. 현명한 대답이다.
<장자> ‘대종사’편에 보면 삶과 죽음에 대한 간단한 이해가 나온다. “옛날의 진인은 삶을 새삼 기뻐할 줄 모르고, 죽음을 새삼 미워할 줄도 모른다. 태어남을 기뻐하지 않고, 죽음을 거역하지도 않는다. 무심(無心)히 자연을 따라가고, 무심히 자연을 따라올 뿐이다. 그 태어난 시초를 모르고, 그 죽은 뒤의 끝을 알려 하지 않는다. 삶을 받으면 그것을 기뻐하고, 죽으면 그것을 제자리로 돌려보낸다.”
<장자> ‘지북유’편에 보면 이런 말도 있다.
“삶이란 반드시 죽음을 뒤따르게 하며 죽음은 삶의 시작이 되오. 이렇게 삶과 죽음은 되풀이되므로 누가 그것을 관장하는지를 어찌 알겠소? 기(氣)가 모이면 삶이 되고 기가 흩어지면 죽음이 되오.”
자연주의 철학이 흠씬 배어있는 장자철학에선 죽음은 모아졌던 기(氣)가 다시 흐트러지는 것으로 자연에서부터 온 우리네 몸은 죽어 다시 자연으로 돌아감을 지적하고 있다. 결코 인간을 우주만물의 영장으로 보질 않는 것이 장자철학의 근간을 이룬다. 기가 모아진 우리네 몸도 천지의 한 부분일 뿐 내가 내 몸의 주인이 아니다.
기독교와 불교의 죽음관(觀)은 장자의 동양사상과는 다르다. 사람이 죽으면 자연의 일부가 되는 것이 아니고 육신은 죽어 땅 속에 묻혀 자연으로 돌아가나 영혼은 살아 다른 세계로 들어간다. 기독교에선 천국과 지옥, 불교에선 극락과 지옥이다. 천국과 극락엔 영원한 즐거움이, 지옥엔 영원한 형벌이 따른다. 티베트의 <죽음의 서:The Book of Death>에 보면 삶을 착하게 살면 극락에 가고 삶을 악하게 살면 지옥의 아귀로 떨어진다.
18년 전 아버지의 관을 따라 장지로 향할 때 원형의 무지개가 하늘을 수놓고 있어 장지로 향하던 형제들의 마음을 즐겁게 해준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믿는 자들의 죽음은 영원한 새로운 세계의 시작이다. 아버지 장례식 때 “천국에 가셨는데 기뻐해야 한다”며 눈물을 보이지 않았던 자신의 모습이 지금도 내 안에 있다.
65년의 생을 살다 며칠 전 떠난 목사의 장례식에서 본 평온했던 그의 얼굴. 아버지의 하관예배에서 구슬피 울던 그 딸의 모습. 삶도 모르면서 죽음을 어찌 알랴 든 공자. 아내가 죽자 꽹과리를 치며 아내의 자연으로 돌아감을 축하했던 장주. 아버지의 장지, 하늘에 드려진 원형의 무지개. 티베트의 죽음의 서(書). 천국과 지옥. 어쩌면 우린 모두 죽음을 위해 사는 존재일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결코 삶과 죽음은 떨어질 수 없는 것. 우주 안에서 살고 우주 안에서 죽기 때문이요 삶과 죽음은 우주 안에 모두 들어 있기에 그렇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