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이웃해 있다. 그러니까 자연적 조건도, 전통도 비슷하다. 그런데 한 나라는 부유하고 다른 나라는 가난하다. 아니, 그 정도가 아니다. 실패국가(failed state)로 전락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 이유는.
‘국가는 왜 실패 하는가’(Why Nations Fail)- MIT의 대런 애시모글루와 하버드대학의 제임스 로빈슨 두 교수가 공동으로 펴낸 최근의 저서는 비교적 간명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 국가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짓는 요인은 지리나 역사, 인종 같은 환경적 조건이 아니라 사회제도에 있다는 거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정치적 선택이 국가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실패한 국가의 특징으로 ‘착취적’(extractive)제도를 지적한다. 시민의 잠재력을 보호, 개발하려는 ‘포용적’(Inclusive)제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 제도에서 모든 국가권력은 소수의 엘리트에 집중된다. 그 결과 창조성은 제한되고 생산성은 낮아진다. 그리고 반드시 뒤따르는 것이 부정부패와 범죄다.
‘이 실패한 국가들이 더 위험하다’-.21세기 들어 제기되는 새로운 안보개념이다. 한 마디로 인권사각지대다. 범죄, 폭력, 부패가 난무하면서 국가성은 약화된다. 비유하자면 마치 음습한 늪지대와 같다. 그곳에서 온갖 바이러스가 생성된다. 마약, 조직범죄, 테러 등등. 실패국가의 혼란은 주변국은 물론 지리적으로 먼 국가에도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시리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파키스탄도, 아프가니스탄도, 이라크도. 또 소말리아도 경계대상이다. 왜. 온갖 사회악(惡)배양의 온상지대다. 하나같은 ‘실패국가’들. 거기서 양성된 돌연변이성 바이러스가 번져 미국까지 침투할까 보아서다.
그 워싱턴에 대해 새삼 한 가지 경고가 던져지고 있다. 벌써 8만 여 명이 피살됐다. 그런데도 결코 그칠 기미가 없는 갱 전쟁으로 요즘도 하루에 수 백 명이 죽어나간다. 거기다가 지리적으로 극히 인접해있다. 어쩌면 미국의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미국의 바로 코밑에 있는 그 음습한 늪지대를 방치하고 있다는 경고다.
시카고 범죄위원회는 그를 ‘공적 1호’(Public Enemy No.1)로 명명했다. 근 한 세기 전 알 카포네가 지녔던 타이틀을 이어받은 것이다. 그는 다름 아닌 멕시코 마약조직인 시날로아 카르텔의 두목 호아킨 ‘엘 차포’ 구스만이다.
알 카포네의 주 비즈니스는 밀주(密酒)였다. 새로운 공적 1호 구스만의 주 업종은 마약으로, 위험성에 있어 알 카포네는 아예 상대조차 되지 않는다는 게 범죄위원회의 진단이다. 코카인에서 헤로인, 각성제 등 미국으로 유입되는 마약은 연간 650여억 달러로 추정된다. 그 중 절반이상이 멕시코를 경유해 들어오고 있고 그 수송루트를 장악하고 있는 것이 바로 시날로아 카르텔이다.
교통의 요충지대다. 방대한 히스패닉계 인구를 포용하고 있다. 그 자체가 거대한 마약시장이다. 그리고 갱 문화 전통이 깊은 지역이다. 거리의 갱 인구만 줄잡아 12만이 넘는다. 말하자면 10만 이상의 마약 세일즈맨이 포진하고 있는 곳이 시카고다. 그 시카고가 멕시코 마약 카르텔의 최대거점이 된 것이다.
멕시코 카르텔은 시카고를 최대 허브로 해 미국 내 1200개 시와 타운을 장악하고 있다. 수년전의 230개 지역에서 4배 이상 불어난 것. 이로 그치는 게 아니다. 시카고 외곽, 또 멀리 아이오와 주의 국립공원 등에 거대한 마리화나 농장 등을 경영하면서 마약공장의 현지화까지 손대고 있는 것이다. 이 시카고 스토리는 무엇을 말하나.
마약전쟁이 선포됐다. 2006년 12월의 일이다. 당시 펠리페 칼데론 멕시코 대통령이 군 병력까지 동원해 소탕에 나섰으나 사태는 악화만 되어갔다. 수천에서 수만으로 마약전쟁의 피해자가 늘어나면서 2009년 미국 국방부는 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멕시코는 머지않아 실패국가가 될 지도 모른다는 것.
부패한 정부가 마약 카르텔의 이용물이 되어가고 있다. 이런 진단과 함께 멕시코가 실패국가가 될 경우 미국에 미칠 심각한 영향을 분석하기도 했다. 미국이 카르텔간의 전쟁터가 되고 LA나 시카고가 멕시코 카르텔의 최대 거점이 될 수도 있다는 전망 등을 내놓았다. 그 전망이 나온 지 불과 몇 년 후 시카고는 말 그대로 멕시코마약의 최대 허브가 된 것이다.
마약전쟁을 선포한 국민행동당의 칼데론도 권좌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들어선 게 71년간 독재체제를 유지했던 제도혁명당의 니에토 정권이다. 그리고 1년이 되어가면서 그동안 8만여 명의 사망자를 낸 채 마약전쟁은 뒷걸음만 치고 있다. 사실상 패배상황을 맞은 것이다.
그 멕시코에서 살육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카르텔의 횡포에 저항한 여성 시장이 총격에 쓰러지는 등. 그 불똥은 미국의 접경지역은 물론이고 캐나다까지 날라들고 있다. 멕시코 마약카르텔의 검은 그림자가 전 북 미주를 뒤덮고 있는 것이다.
‘미국안보의 최대위협은 어디서 오고 있나’-. 미국 언론의 촉각은 여전히 시리아에, 이집트에 머물러 있다. 그 와중에 나온 질문이다. 마약은 마지막 시대 사단의 최후 무기다. 이 말이 불현 듯 떠올려진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