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임(논설위원)
역사상 첫 해외주권행사인 재외선거가 12월 5일부터 시작되어 뉴욕한인들도 한국대선 분위기에 휩싸이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세상을 바꾸는 약속’을 했고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특권과 기득권을 모두 내려놓겠다’며 서로 ‘우리가 더 낫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의 현대사를 보면 새정권이 탄생할 때마다 변화를 추구한다. 하지만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권력을 잡으면 제일 처음 하는 일이 자신을 위해 힘써준 집단에게 상을 주고 힘을 실어주는 일이었다. 얼마 후 권력의 맛에 물든 그들은 부정부패를 일삼았고 한번 실세에 있다가 나오면 자자손손 잘 먹고 잘사는 기득권자가 되었다. 그런 점에서는 특권과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을 진실로 보고싶다.
한국 TV 사극을 보면 붕당정치의 거두가 “정치란 그런 것이지요” 하는 대사가 있다. ‘내일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된다’ 식의 지조도 절개도 없는, 온갖 권모술수가 난무한 뒤끝에 하는 그 말이 들을 때마다 참으로 거슬렸다. 신념을 위해 목숨을 바친 대쪽같은 성정의 정치가를 보고 싶다. 정암 조광조(1482~1519)가 바로 그런 인물이다. 공자의 유가 사상을 2000년 후인 1515년 조선에서 실현하기위해 혁신적인 정치를 펼쳤지만 끈질기고 조직적인 훈구세력의 반격으로 역적이 되어 사약을 받고 말았다. 사후 그에 대한 평가는 이상주의자와 개혁정치가로 나눠지지만 분명한 것은 그는 37세 짧은 삶동안 일편단심 나라를 사랑하고 국민을 위해 살았다는 것이다.
연산군 폐위 반정에 의해 왕위에 오른 중종은 이상적인 정치를 펴고자 친히 성균관에 거동하여 알성시의 시험문제를 출제했다. 이 알성시에서 급제한 조광조의 문장을 예로 든다.“하늘과 사람은 그 근본됨이 하나이다. 임금과 백성은 그 근본됨이 하나이다. 옛날에 성인들은 하늘과 땅의 큰 것과 수많은 백성들의 무리를 하나로 여기셨으며, 그런 이치에 따라 도를 행하였다”‘하늘의 도로써 정치하라’ 했다.
“대개 사람들은 밝게 드러난 곳에서는 삼가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마음가짐이 소홀하게 마련이다. 때문에 마음가짐이 소홀하게 되어 하늘을 속이고 사람을 속일 수 있다 생각되어 혼자 있을 때는 삼가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안다. 그런 생각이 나라를 다스릴 때도 드러나 마침내 정치와 교화를 그르친다” ‘혼자 있을 때도 늘 근신하며 군자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지금 한국 대선은 조만간 승자가 나타나겠지만 그 순간부터 바늘방석에 앉아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요즘 읽은 책인 최인호가 쓴 ‘소설 공자’에서 ‘정치란 바로 잡는 것이다’라고 했다. 이 책에서 가장 공감한 것이 ‘섭공호룡’(葉公好龍)이란 고사성어다.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노나라를 떠나 유랑하던 시절 ‘섭’이라는 작은 나라에 간 적이 있다. 새로운 권력자인 섭공은 야심가로 은근히 패권을 꿈꾸고 있었다. 섭공은 집안 곳곳에 용의 그림을 붙여두고 침구나 이불, 속옷까지 용을 수놓았다. 천자의 상징인 용을 가까이 하면 더 큰 권력이 자신에게 찾아올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이다.
섭공이 용을 좋아하고 있다는 사실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자 마침내 하늘에 있던 진짜 용이 이 소식을 들었다. 진짜 용은 섭공이 얼마나 자신을 좋아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 그의 집을 방문한다. 섭공은 용무늬로 장식된 방에 앉아있다가 진짜 용 한 마리가 창문으로 머리를 들이밀며 들이닥치자 혼비백산 도망치고 말았다. 이는 ‘겉으로는 좋아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결코 좋아하지 않는’ 허세를 말한다.
이 용은 백성이다. 겉으로는 자신도 백성인 척, 백성을 위하고 좋아한다면서 실제로는 백성이 뭘 원하는지,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럽게 사는지 몰라라 하고, 아니, 처음부터 백성은 자신이 정권을 잡기위한 볼모였을 뿐이다.
대권 후보들은 너도 나도 소통과 변화, 정치쇄신, 특권층 없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한다. 서로 비방하고 싸우면서 차기정권 획득을 위해 불꽃튀는 유세전을 펼치는 그들의 마음에 제일 먼저 ‘국민’이 들어가 있기를 기대한다. 국민을 가장 먼저 생각하다가 명예롭게 은퇴하는 전직대통령과 성공한 정권 하나쯤은 우리도 가져야 하지 않겠는가.
---
“인격의 고수가 되라”
김창만
(목사)
링컨 자서전에 나오는 얘기다. 한번은 오웬 러브조이(Owen Lovejoy)라는 링컨 대통령의 참모가 대통령의 서명이 담긴 중요한 명령 문건을 가지고 에드윈 스탠턴(Edwin Stanton) 국방장관을 찾아갔다. 하지만 그는 명령서를 쳐다보지도 않고 무시해 버렸다.
러브조이가 엄숙하게 말했다. “이것은 대통령의 명령입니다. 잘 살펴보십시오.” “아니 정말 링컨이 이런 맹꽁이 같은 명령을 내렸단 말이요?”라고 스탠턴이 물었다. “예, 그렇습니다.”라고 참모가 대답했다. 스탠턴은 불같은 성격을 누르지 못하고 “그렇다면 그 사람은 분명 천치바보 맹꽁이지!”라며 소리쳤다.
백악관으로 돌아온 참모는 국방 장관실에서 있었던 일 그대로 링컨에게 보고했다. 링컨은 “정말 그 친구가 나더러 천치바보 맹꽁이라고 하던가?” “예, 그것도 여러 번 그랬습니다.” 참모가 기가 막힌 표정으로 대답했다. 링컨은 한참 무엇인가 곰곰이 생각하다가 얼굴을 쳐들면서 이렇게 말했다. “스탠턴이 정말 나더러 천치바보 맹꽁이라고 했다면 아마 정말 그게 사실일거야. 그 사람 말은 대개 맞으니까... 내가 직접 가서 만나보고 내게 무슨 탈이 생겼는지 자세히 알아봐야 겠어.”
얼마나 자신 만만하고 의연한가. 얼마나 인격적 고수(高手)인가. 얼마나 여유 있는 큰 리더의 모습인가. 링컨의 내면은 화강암처럼 단단하면서도 겉은 솜털처럼 부드럽고 온유했다. 문자 그대로 그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리더였다. 나중에 이 말을 전해들은 스탠턴은 큰 감화를 받았고, 결국 링컨의 측근 각료가 되었다.
훗날 링컨이 남부의 암살범이 쏜 총에 맞았을 때, 제일 먼저 달려온 사람이 스탠턴이었다. 그가 운명하는 순간 침상에 무릎을 꿇고 앉아 “이제 링컨은 모든 시대를 초월한 위대한 인물이 되었다”라고 크게 애도하였다.
어떤 라이벌까지도 끌어안고 동지로 만든 링컨은 과연 큰 리더였고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인간관계의 대가였다. 그리고 어느 누구도 따라 올수 없는 인격적 고수였다.
인격의 최고봉은 책임감이다. 책임감이란 남의 허물과 약점을 대신 끌어안는 것이다. 어린 소년 다윗이 이스라엘의 리더가 된 것은 사울 왕을 위시하여 이스라엘 백성 모두가 두려워하는 골리앗을 책임지려고 용기있게 앞장섰을 때부터다. 모세가 리더가 된 것도 마찬가지다. 모세가 하나님이 주신 십계명 돌판을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와 보니 아론과 이스라엘 백성이 합심하여 금송아지를 만들어 놓고 절하고 있었다. 이것을 내려다본 하나님이 진노하여 패역한 이스라엘 백성을 다 쓸어버리겠다고 했을 때, 모세는 하나님께 나와 이렇게 간청한다.
“슬프도소이다 이 백성이 자기들을 위하여 금신을 만들었사오니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그러나 합의 하시면 이제 그들의 죄를 사하시옵소서 그렇지 않사오면 원컨대 주의 기록하신 책에서 내 이름을 지워버려 주옵소서.”(출애굽기 32:31-32)라고 대신 책임을 지고 나섰다. 하나님은 백성의 허물을 대신 끌어안는 모세의 책임감을 보시고 감동하셨다. 당신은 모세와 링컨처럼 사람을 감동시키는 리더가 되고 싶은가. 무엇보다 포용과 책임감으로 가득한 인격의 고수(高手)가 되라.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