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출발은 ‘나비효과’로 부르는 현상의 발견에서 비롯됐다. 나비 한 마리가 북경에서 날개를 펄럭인다. 그 결과로 다음 달 뉴욕에서는 폭풍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혼돈 속에 숨어 있다. 그 안에 그러나 질서정연한 자연 현상을 밝혀낼 수 있다. 그 가능성을 열어준 것이 카오스 이론이다.
2010년 러시아가 곡물수출을 금지했다. 심한 가뭄으로 작황이 말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이 곡물수출 금수조치는 반 년 후 지구 반 바퀴 저 편 지역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그 시발점은 튀니지였다. 그 변화의 쓰나미가 북상하면서 이집트 무바라크정권이 무너지고 리비아의 카다피가 살해됐다. 세계사적인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아랍의 봄’이다.
무엇이 아랍의 봄을 불러왔나. 오랜 독재체제에 짓눌려 살아왔다. 분노가 쌓이고 쌓인다. 한 인간으로서 존엄성이 짓밟히는 사태를 더 이상 참을 수 없다. 그들의 분노가 SNS를 타고 전파되면서 하나가 됐다. 그러면서 폭발했다.
인간에 내재된 스스로의 존엄성, 민주화의 열망이 아랍의 봄을 촉발시켰다. 틀린 해석은 아니다. 이 아랍의 봄을 촉발한 보다 근원적 요인은 그러나 다른 데 있다. 식품 가격 앙등이다.
이집트 사람들은 ‘발라디’라고 불리는 둥근 빵을 주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 빵 한 덩이의 가격은 1센트였다. 나세르시절부터 정부가 빵 값 보조를 해왔기 때문이다.
2000년대 들어 무바라크정권은 그 보조에 어려움을 격 게 된다. 곡물가가 올랐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집트의 인구는 80년대 4,000만에서 2000년대에는 8,000여 만으로 늘었다. 그 정황에서 잇단 가뭄으로 곡물 가는 계속 치솟았다. 그러면서 1센트짜리 빵 공급은 어렵게 된 것.
2011년 2월 국제시장의 밀 가격은 6개월 만에 70%이상 치솟았다. 그러자 배고픈 이집트의 대중은 ‘빵을 달라’며 외치며 타흐리르 광장에 몰려들었다. 결국 철옹성 같았던 그 무바라크 체제가 무너져 내린 것이다.
이 2011년의 ‘아랍의 봄’은 1848년 유럽혁명의 해와 비교된다. 동시다발적이고 연쇄폭발을 일으키듯이 혁명의 물결이 몰아닥쳤다는 점에서다. 그 혁명의 바람을 일으킨 요인도 비슷하다. 1840년대 유럽은 극심한 흉작을 경험한 시기였다.
1848년뿐이 아니다. 수 십 세기에 걸친 중국의 숱한 왕조교체기, 프랑스 대혁명,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사에서 혁명의 방아쇠 역할을 해온 것은 식품가격 앙등이다. 굶주림에 대한 공포, 식품 값 상승에 대한 불만이 혁명의 직접적인 역할을 했었던 것이다.
그 식품가격이 심상치 않은 상승곡선을 보이고 있다. 국제곡물시장에서 옥수수가격은 지난 7월 현재 25%가 뛰었다. 대두 값도 17%나 오르면서 전 세계적으로 식품가격 앙등사태를 불러오고 있다.
전 미 대륙이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다. 러시아도 전례 없는 가뭄을 겪었다. 남반구의 호주도 마찬가지다.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올해의 곡물작황은 말이 아니게 되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국제곡물가격은 계속 치솟고 있다. 8월 현재 옥수수 선물가격은 톤당 32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대두 역시 사상 최고가격 선을 맴돌고 있다. 밀 가격도 전년에 비해 22%이상 올랐다.
게다가 국제시장의 원유 값은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미 달러화는 약세를 보이면서 곡물 가는 지속적인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3년은 전 지구적으로 위기의 해가 될 것이고 그 위기는 이미 시작됐다.” 이상기후로 인한 대흉작, 그에 따른 식품가격 앙등과 함께 벌써부터 나오고 있는 우려의 소리다.
식품가격 상승은 선진국 소비자에게는 그다지 큰 부담이 아니다. 미국의 경우를 보자. 전체 소득에서 식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외식비를 포함해 10%가 채 안 된다.
그러나 후진국의 경우 이야기는 달라진다. 생계비 지출 중 가장 큰 몫이 식품비다. 가난한 저개발국민들은 전체 소득의 절반 정도를 ‘식품’에 쏟아 붇는다. 가난한 나라에서 ‘식품’은 말 그대로 빵(bread)을 의미 한다. 그러니까, 소득의 절반 이상을 빵을 사는데 들이는 게 그들의 생활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품 가격이 또 한 차례 앙등할 때 어떤 사태가 뒤따를까. ‘중국이 위험하다’-.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혹심한 부정부패, 양극화로 치닫는 사회, 날로 악화되고 있는 환경오염-. 중국이 처한 현실이다. 중국의 인민대중은 그 가운데 분노를 삭이고 있다.
게다가 경제는 이미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반면 생계비 지수는 무섭게 오르고 있다. 그리고 식품 값마저 급등한다. 그 2013년이야말로 북경당국에게 있어서는 중차대한 기로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거기에 한 가지 그림이 겹쳐진다. 또 한 차례 엄습한 기아에 허덕이는 북한의 모습이다. 2013년은 북한체제에 어떤 해가 될까.
<옥세철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