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인 벤 버냉키가 최근 ‘행복 경제학’(Economics of Happiness)에 관한 연설을 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메사추세츠 주에서 열린 경제학자들과 통계학자들 모임에서 동영상 연설을 통해 “우리는 경제행복(Economic Well-Being)에 관한 보다 좋고 좀 더 직접적인 측정방법을 추구해야 한다”며 철학자처럼 경제 행복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버냉키가 행복 경제학을 주장한 것은 이번만이 아니고 2010년 5월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 졸업연설에서도 행복 경제학을 역설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끈 적이 있다. “일단 물질적인 필요가 충족이 되면, 더 많은 부는 반드시 사람을 더 행복하게 만들지 못한다. 여러분의 부모가 누누이 말하는 바와 같이, 돈으로 행복을 구매하지 못한다. 물론, 한 경제학자는 적어도 그렇지 않다라고 대답할 것이다”라고 연설하면서 버냉키는 행복을 위해서는 물질만으로는 안 되고 물질 이상의 무엇이 있어야 함을 암시했다.
여기에서 벤 버냉키가 역설하고 있는 ‘행복 경제학’이라고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아니 ‘경제학’이라고 하는 학문이 무엇인지 잠시 그 참된 의미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오래전부터 경제학을 ‘음침한 학문’(Dismal Science)이라고 명명하기도 하고, 경제위기를 당할 때마다 특히 2008년 세계경제 금융위기를 당하였을 때에는 경제의 위기가 아니라 ‘경제학의 위기’라고 경제학을 경멸하는 풍조가 팽배하여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곰곰이, 그리고 분명히 생각해야 할 것은 인간은 누구나 하루 한시라도 이 땅위에 생존하고 있는 동안 경제의 삶을 살지 않을 수 없다는 엄연한 진실이다.
버냉키의 ‘행복 경제학’을 논하면서 몇 가지 의미를 점검해 본다. 첫째 경제학의 목적에 관한 의미이다. 물론 경제학이란 교과서적인 정의로는 “인간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부족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 분배하는 학문”이라고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간의 필요란 물질적인 필요를 우선적으로 꼽는 것이겠지만 그 것에 그치지 않는 인간의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명한 심리학자인 아브라함 매슬로우는 그의 고전적인 저서 ‘인간 동기론’(A Theory of Human Motivation, 1943)에서 인간은 물질적인 필요를 중심으로 하는 ‘생리’(Physiological)를 기반으로 하여, ‘안전’(Safety) ‘사랑과 소속’(Love and Belonging) ‘존중’(Esteem) ‘자기실현’ (Self-Actualization)등 계층적인 욕구들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물론 경제학은 일차적으로 물질적인 생리 필요를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겠지만 다른 상위적인 인간 필요를 전적으로 외면하는 학문은 아닌 것이다.
그래서 버냉키는 최근 연설에서 “경제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물론 인간행복(Well-Being)을 이해하고 증진하는 것이다”라고 역설한 것이다. 그가 지적하고 있는 인간행복이란 단순히 인간의 물질적인 생리필요를 충족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매슬로우가 제시하고 있는 상위의 인간 필요들을 충족한 것까지 포함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흥미로운 것은 부탄왕국은 1972년 이후 ‘총 국민생산’(Gross National Product)이라는 경제지표를 대치하여 ‘총 국민행복’(Gross National Happiness)이라는 지표를 사용하고 있고, OECD도 국가들 간의 생활품질을 나타내는 ‘생활품질지표’(Better Life Index)를 산출해 내고 있는 현상이 경제학의 궁극적 목적이 물질적인 생리필요의 충족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 준다.
둘째 경제학의 방법과 정책에 대한 의미이다. 경제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넓은 의미의 인간행복을 증진하는 것이라고 할 것 같으면 경제학은 물질적인 생리필요의 충족만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물질과 이익만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나 정책만을 추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즉 경제주체들이 경제행위를 실행하는 방법론, 방향론, 정책론에 관한 이야기이다. 시장의 공급자인 기업은 이익극대화뿐만 아니라 사회 참여화를, 시장의 수요자인 소비자는 소비활성화뿐만 아니라 소비적 정화를, 시장의 보호자인 정부나 공공기관은 시장의 안전과 신뢰와 준비를 추구, 실현해 나아가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란 정치, 사회, 문화, 가치 등 모든 인간의 삶을 뒷받침하고 있는 하부구조이기 때문에 그 하부구조를 다루는 경제학은 인간 삶의 모든 구조를 아우르고 인간행복의 목적과 총체적인 방법을 포괄하는 ‘행복 경제학’이어야 할 것이다.
<백순 연방노동부 선임경제학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