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원’(Big-One)은 과연 올 것인가. 곳곳에서 지진의 소리가 들려온다. 남미에서, 중앙아시아에서, 태평양 건너 일본에서. 그 때마다 엄습하는 것이 대지진의 공포다.
지진은 두 개 이상의 지각판(地殼板)이 서로 밀고 밀리는 지역에서 집중 발생한다. 캘리포니아 주는 지각판과 지각판의 경계, 그 한 가운데 놓여있다. 미국의 서부 해안을 따라 길게 뻗은 산안드레아스 단층이 그것으로, 그 남단에서 특히 지진발생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서다.
세계의 전쟁, 분쟁도 어딘가 지진활동을 방불케 한다. 거대한 세력권이라고 할까, 지각판이라고 할까. 그 둘이 충돌하는 경계선을 따라 주로 발생하는 것이 분쟁이고 전쟁이기 때문이다.
피워는 진공상태를 혐오한다. 때문에 파워의 공백상태가 발생하면 다른 한 쪽에 응축돼 있던 에너지가 몰려와 그 자리를 메운다. 이 파워의 전이는 평화롭게 이루어진 경우란 거의 없다. 물리적 충돌이 반드시 뒤따른다.
동아시아의 정치 지각판이 요동친다. 새로운 세력이 부상하면서 기존 지각판을 뒤흔든다. 이 경우 한반도는 예외 없이 전란의 소용돌이에 내몰렸다.
임진왜란이 그 한 케이스다. 동북아의 정치지형은 한 동안 중국을 중심으로 짜여 있었다. 그 지형을 뒤흔든 사태가 발생했다. 일본의 통일이다. 전국시대를 마감한 일본이 동아시아의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면서 한반도는 전란의 상항을 맞았다.
병자호란도 같은 맥락에서 발발했다. 새로운 파워가 부상했다. 만주의 여진족이다. 그 응집된 에너지가 폭발하면서 그 파장은 한반도를 휩쓸었다. 그리고 끝내 중국이란 기존 세력의 중심부를 무너뜨렸다. 청(淸)왕조가 들어선 것이다.
두 세기 후 동북아의 정치 지형에 또 한 차례 대지진이 발생한다. 만주족 지배 중국 중심의 대륙세력이 일본이란 신흥 해양세력에 밀려난 것이다. 그 전환기에도 한반도는 예외 없이 전쟁터가 됐다. 청일(淸日)전쟁이다.
이야기가 길어진 것은 다름 아니다. 올해로 62년이 됐다. 그 6.25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질문에 답을 찾아보기 위해서다.
김일성이 획책한 전쟁으로 스탈린과 모택동의 동의와 지원 하에 저지른 민족상잔의 남침이다. 맞는 정의다. 6.25는 그렇지만 또 다른 별개의 측면을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이 아닐까.
중국, 소련이란 대륙세력의 팽창과 함께 동아시아의 정치지형은 또 다시 급변했다. 그 대륙세력은 급기야 미국이란 새로운 해양세력과 맞닥뜨리게 됐다. 그 경계선이 한반도다. 그 경계지역에서 또 다시 전쟁이 발발한 것이다.
“6.25는 아마 훗날 ‘한반도의 100년 전쟁’으로 역사에 기술될지도 모른다. 1894년의 청일전쟁, 10년 후의 노일전쟁, 그리고 한 세대 후의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그 연장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미국의 역사학자의 지적이다.
그는 이후 60년대의 월남전쟁도 같은 흐름으로 보았다. 말하자면 중국이란 거대한 지각판이 계속 요동치면서 그 지각판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에서 전쟁이 그치지 않았다는 진단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그 100년 전쟁은 그러면 이제 끝난 것인가.
“동아시아지역은 그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시대를 맞고 있다. 두 강대 세력의 공존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많은 관측통들의 일치된 시각이다. 한 세력이 강할 때 다른 세력은 그 존재가 미미했었다. 왕조시대, 중국 중심의 시대에 일본은 변방의 미약한 세력이었다. 최근 두 세기동안 일본이 파워로 부상하면서 반대로 중국은 퇴조기를 맞았었다.
그 중국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이제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의 경제대국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 두 세력이 그러면 과연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까. 많은 관측통들은 불안한 시선을 던지고 있다. 파워의 전이는 평화롭게 이루어진 적이 결코 없었기 때문이다.
그 중국이라는 지각판은 이제 근 한 세기 동안 세계를 지탱해온 미국이라는 지각판의 한 모퉁이마저 파고들고 있다. 남중국해, 서태평양 패권을 둘러싸고 첨예한 대립상황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위험한 화약고가 될 수 있는 곳이 서해다.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서해를 사실상 자신의 내해(內海)로 여기며 미항모의 진입에 격한 반응을 보인 것은 그 예고로 보여서다.
100년 전쟁은 그러면 이제 끝난 것인가. 답은 ‘아닐 것이다’로 기우는 느낌이다.
이 100년 전쟁은 한 가지 변치 않는 밑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패권의식이다. 망해가는 주제에 청 왕조는 조선에 대한 야욕을 버리지 않고 출병을 했다. 공산정권 수립과 함께 한국전쟁에 개입해 통일을 방해한 것이 모택동의 중국이다. 그 중국은 아직도 ‘항미원조’(抗美援朝)를 내세우며 6.25가 마치 미국의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인 양 호도하고 있다.
그 정황에서 한국은 종북의 늪에 빠진 채 집단 전쟁불감증세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하는 말이다.
“자강(自彊)과 균세(均勢)를 이루지 못해 나라가 망했다.” 100년 전의 교훈은 오늘날에도 유효한 게 아닐까.
<옥세철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