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바벨탑을 쌓은 것인가. 매일 같이 전해지는 소식은 불길한 뉴스뿐이다. 현장은 방사능에 심하게 오염돼 있다. 지옥이나 다름없는 그곳에서 원전을 구하기 위한 사투가 계속되고 있다. 그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해 문득 스치는 생각이다.
처음에는 할 말 조차 없었다. 천지불인(天地不人)이라고 했던가. 자연은 인간에게 너그럽지 않다. 자연 앞에서 인간은 짚으로 만든 개에 지나지 않는다.
그 말 그대로였다. 대지를 가르는 대지진에다가 모든 것을 삼켜버리는 검은 파도의 흉흉한 기세에 그저 망연할 따름이었다.
그 바로 뒤에 전해진 것은 하나의 문화적 쇼크다. 그 엄청난 재앙 앞에서도 동요하지 않는다. 흑암과 절망의 한 가운데 있다. 그런데도 울부짖음은 들리지 않는다. 슬픔을 안으로만 삭이면서 결코 질서를 깨뜨리지 않는다. 그 일본인들의 모습을 세계는 하나의 충격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화(禍)가 어떤 면에서 복(福)이 됐다고 할까. 일본의 이미지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었다. 특히 군국주의 일본의 침략을 경험한 아시아지역에서는. 대지진이 그 일본의 이미지를 바꾸었다. ‘엄청난 대재앙 속에서도 의연한 일본 사회’- 사람들은 일본을 달리 보게 된 것이다.
그 일본이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원전위기는 리더십의 위기라는 지적이 나오면서다. “처음에 미국지원 받아 들였다면…오판이 원전사고 키웠다” 이 글을 쓸 무렵 전해진 한국 내 신문의 헤드라인이다.
이것이 말하는 것은 다른 게 아니다. 사태를 너무 안이 하게 보았다는 것이다. 또 이런 지적도 나온다. “회사 이익만 생각한 도쿄전력의 교묘한 말장난에 일본 정부가 놀아났다. 스스로 교만한 생각에 미국, 프랑스 등 외국의 기술지원 제의를 거절했다. 관리와 기업의 유착관계가 투명성 부재로 이어져 화를 키웠다 등등.
무엇을 말하나. 대재난 앞에서 인간의 무력함을 절실히 깨닫게 한다. 동시에 인간의 위대함도 일깨우고 있다. 그동안 일본 대지진이 준 메시지라면 메시지다. 거기에 또 한 가지 교훈을 주고 있는 게 아닐까. 인간의 한계라는 걸 새삼 깨닫게 했다는 사실 말이다.
원전에 관한 한 세계 최고의 기술수준을 자랑한다. 재난 대비 인프라는 세계 정상급이다. 훈련도 잘 돼 있다. 그런대도 막상 사고가 발생하면 우왕좌왕한다.
일본이 현재 보이고 있는 모습이다. 아니, 그것은 바로 인간의 모습으로 거기에서 인간의 한계성이란 게 찾아지는 게 아닐까 하는 것이다.
관련해 주목을 끄는 게 워싱턴타임스의 분석이다. 최악의 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나라로 일본이 아닌 중국을 지적한 것이다.
에너지를 확보하라. 중국이 맞은 지상과제다. 경제발전은 체제유지와 직결돼 있다. 경제성장의 원동력은 에너지다. 그 지상명령에 따라 세계 최대 원전 보유국인 중국은 새로 또 28개의 원전을 세울 계획이다.
문제는 원전 건립 장소다. 지난 2008년 사천 성 대지진 진앙지에서 멀리 안 떨어진 곳에 최대 원전을 세우기로 한 것이 바로 그 한 예로 지진대 한 가운데 세워진 원전이 하나 둘이 아니다.
중국 식 공법도 문제다. 최소한 수 십 년 동안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때문에 이중, 삼중 안전망이 쳐져야 하는 것이 원전공사다. 적당히 해치우는 게 중국식이다. 수 십 년은 고사하고 수년이 보장될지도 의문인 경우가 허다하다는 이야기다. 한 마디로 ‘메이드 인 차이나’ 브랜드를 믿을 수 있는가 하는 지적이다.
원전과 관련돼 특히 강조되는 것은 그 사회가 보이고 있는 것이 투명성이다. 세계 최고의 원전 기술 보유국이다. 게다가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다. 그 일본의 원전도 결국 문제를 일으켰다. 그리고 화를 키웠다. 투명성 결여가 가장 큰 원인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시작은 지진이었다. 그러나 사태대처 과정에 크고 작은 실수가 따랐다.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그래서 허둥댔다. 보다 큰 실수는 정보를 은폐하거나 말을 바꾼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일본은 신뢰를 상실했다. 그리고 화를 키운 것이다. 일본정부에 대한 경고와 함께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은 자국민 대피 결정을 내린 것이다.
바로 여기서 강조되는 게 ‘하물며’란 단어다. 세계 정상급 재난 대비 인프라를 자랑하는 일본, 민주주의 사회 일본도 사고가 발생하자 문제가 노정됐는데 ‘하물며’ 중국이야 하는 게 워싱턴타임스가 지적하고자 하는 포인트다.
그 ‘하물며’란 단어는 중국에만 해당되는 것일까. “우리의 비상 라이프 라인은 믿을 만한가” “정부의 원전사고대책 너무 안이한 건 아니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관련해 한국 내에서도 있을 수 있는 원전사고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여기저기에서 나와서 하는 말이다.
재난대처과정은 국가 실력의 바로미터다. 투명성에 바탕을 둔, 선진 한국에 걸 맞는 대비책이 세워져 있는지 그 점이 궁금하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