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클랜드에서 산호세 방향으로 880번 프리웨이 타고 가다보면, 하이스트릿을 넘어가는 다리가 시작되는데 도로 중간 협소한 자리에 나무 두 그루가 손잡고 서 있다. 틈직한 나무 옆에 수줍음을 타는, 부부나무다. 양편의 4차선 차량들에 스칠 가봐 밑 둥은 다듬어진 날씬한 다리, 머리는 푸성한 것이 차를 멈추어 확인 할 수는 없었어도 오클랜드의 상징인 떡갈나무(Oak tree) 임에 틀림없다. 집에와 백과사전을 들추어보니 그런 것 같다. 교외를 달리다 보면 수목으로 오고가는 길의 경계선을 볼 수 있지만, 이처럼 도시의 중심부 협소한 시멘트 차량경계선 사이로 솟아 있는 나무는 본 일이 없다.
프리웨이란 게 시간단축에만 온 신경을 쓰고 거기에 목숨건 듯 질주하는 곳이고 보면 필자는 거의 25년을 지나치면서도 나무를 의식한 것은 손가락을 꼽을 정도다. 더구나 그 지역은
커브가 시작되기 때문에 앞만 주시하게 된다.
오래 전 그 나무를 신문 칼럼에 올린 적이 있었다. 그때 한 동포 분과 수인사를 나누었는데, 필자의 글을 통하여 자기도 그 나무를 의식하게 되었는데 도시적 각박함에서 나무는 자기에게 생기를 주었다고 했다. 한 인간이 같은 자리에 몇 십 년을 서 있다면 그것은 감금 상태 아니면 죽음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나무는 불행하기는커녕 구름과 바람과 새들을 불러 생명의 아름다움을 구사한다. 이처럼 사물을 바라보면서 느낌을 같이하는 이를 만나면 금방 친숙해지고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필자는 그 나무를 볼 때면, 당시 프리웨이 공사를 맡았던 설계사의 다감한 감성을 읽어내고 싶어진다. 블로도져로 밀어 벼려야 공사비도 절감되었을 터인데, 건축가는 도시 공간에 작품을 만들어 논 셈이다. 질펀한 떡갈나무를 쓸어 틀이면서 차마 사랑을 담고 서 있는 나무를 건드릴 수가 없었으리라. 밤새 도면을 다시 그려 나무를 살려냈을 터이고. 비록 자신이 자연 훼손의 첨병 짓을 하고 있지만, 인간의 현대화 그늘에는 무참히 죽어 가고 있는 나무들에 대한 양심 선언을 하고 싶었을 것이다. 사실 도시 미관상 남겨진 것이었을 터인데도 그 나무를 볼 때마다 속살이 훤히 들어 난 여인이 헬리콥터에 매달려 구조 될 때처럼 의도적으로 살려진 게 확실해진다.
또는 프리웨이가 생기면 그 위를 시간에 쫓겨 달아나는 사람들에게 흐르는 세월을 의연히 붙잡고 있는 나무의 모습을 보여 주고 싶었는지도 몰라. 동양화 난초의 여백 그 여유처럼, 정지된 나무에서, 생명은 움직임(動)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멈춤(停)에도 있다는 것, 참선과 기도, 사색, 이런 것들과 동질인 정지(靜止) 의미를 우리에게 알려주는 게 아닐까.
직선의 프리웨이로 알려진 880번, 나무가 선 근방에 이르면 폭포 앞에 급 물살을 타듯 커브를 만나기 때문에 운전자들은 나무를 의식 할 겨를이 없다. 마치 하품 나는 생활 중간에 주는 충격요법처럼,
아니면 우리가 사랑하는 것은 모두 떠나버리는, 가령 사랑하는 사람을 붙잡아 영원히 멈추어 서게 하는 그런 조바심에서 나온 아이디어는 아니었을까.
아무튼 진리(眞理)마저도 시대와 환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세상인데, 모든 게 뒤틀린다해도 콘크리트 속에서 생명을 지키고 서있는 나무, 그 신뢰감은 그 설계사 의도 보다 훨씬 큰 대견스러움을 담고있다.
그러나 공해에 찌들어 시커먼 떡갈나무가 꿈을 꾼다면, 숲 속 나무들과 어울려 바람 타고 노래 함 일게 다. 우리 욕심 만 차릴게 아니라 그 나무를 친구들 있는 산으로 옮겼어야 하는 게 아니었을까. 종달새를 조롱(鳥籠)새로 만들지 않기 위해 새 장문을 열어 주는 것처럼,
식당을 생일날에만 가는 시대는 지났다. 대부분 가정의 김치도 한국 식품점에서 책임지게 된 세상이다. 식당과 식품점은 고객을 식구로 대해야할, 이윤에 앞서 고객들의 건강 관리에도 일말의 책임이 주어진다.
"맛이 없다고 우리 식당 손님이 줄어도 우리는 조미료( MSG)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유아가 소모하는 량의 MSG를 쥐에게 먹였더니 뇌와 눈에금방 이상이 오더랍니다." 그 식당 주인을 보고 있자니 언뜻 프리웨이 중간에 서 있는 미더운 나무 생각이 났다. 물론 그 나무를 살려낸 고속도로 설계사에 대한 감사함도 함께,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