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방위 자금확보 안간힘
▶ 은행들 줄줄이 기업대출 줄여
▶ 평판훼손 우려 불구 증자 러시
▶ 상장사 96개사 6조 이상 조달
▶ “체감경기, 이미 경제위기 수준”
올 들어 주식시장에서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려는 기업들이 급증하면서 유상증자로 조달했거나 조달하려는 자금 규모가 약 4개월 만에 지난해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는 사채 발행, 은행 대출 등을 늘리며 버텨왔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 주주들에게 손을 벌리거나 지분을 넘기며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나아가 1년 내 갚아야 할 단기차입금까지 올해 400조 원을 훌쩍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올 정도로 가파른 증가 추세에 있어 기업이 체감하는 경영 환경은 이미 경제위기 수준에 도달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18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 들어 전날까지 유상증자를 완료했거나 추진 중인 상장사는 96개 사로 이들의 조달 금액은 총 6조12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기업이 유상증자로 조달한 총 금액이 4조7,034억 원이었다는 점과 비교하면 유상증자 증가세가 매우 가파르다.
유상증자 조달액은 2021년 14조6,000억 원에서 2022년 8조6,000억 원, 2023년 7조3,000억 원으로 감소 추세였는데 포스코퓨처엠을 비롯해 에코프로그룹 등 2차전지 기업들이 대규모 유상증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올 유상증자 규모가 2021년 이후 최대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유상증자는 상장사가 주식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나 국내 증시에서는 최후의 수단으로 통한다. 일단 유상증자를 결정하면 주식 가치 희석을 우려한 주주들의 반발이 거세고 최근 금융 당국의 증권신고서 심사 강도가 높아져 자칫 기업 평판만 훼손될 수 있는 우려가 높은 탓이다.
일례로 지난해 말 최초 신고서를 제출했던 차바이오텍은 최초 2,500억 원을 유상증자로 조달하려다 금융감독원의 제동, 소액 주주들과의 소송전 등 지난한 과정을 거쳐 이달 8일에서야 1,516억 원(1차 발행가액 기준) 규모의 증자를 확정했다.
결국 유상증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자금 조달 및 기업 경영 환경이 혹독해졌다는 의미다. 신용등급 ‘AA급’ 이상으로 우량한 일부 대기업의 경우 회사채 발행을 통해 손쉽게 실탄을 마련할 수 있지만 신용등급이 낮거나 업황 전망이 부정적인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이 그림의 떡에 가깝다.
대규모 유상증자 배경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만 해도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연결 부채비율(397.4%)이 기발행한 1조2,220억 원 규모의 공모 회사채의 기한이익상실(EOD) 선언 사유인 부채비율 400%에 근접해 유상증자가 불가피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업의 주요 자금 조달 창구인 은행들도 대출을 줄이고 있다. 원·달러 환율 급등세에 은행권의 자본비율 관리가 어려워진 탓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은행권 기업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2조1,000억 원 감소한 1,324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3월 기준 기업대출 잔액이 줄어든 것은 20년 만이다.
이에 기업들은 만기가 1년 이내로 짧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기차입금 의존도를 높이는 실정에 이르렀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상장사의 단기차입금은 369조4,315억 원으로 2023년(317조4,381억 원) 대비 약 52조 원 늘었다. 이러한 흐름은 올해 들어서도 더 강해지면서 기업들의 부채 관리에도 비상등이 들어왔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소비·수출 등이 급감하면서 1%대 성장마저 위태로워지며 한국이 위기에 빠졌다”면서 “그동안에는 가계부채가 문제됐지만 장기 성장 동력이 꺼져가고 있는 가운데 기업부채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뇌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올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기업들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고태봉 iM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금보다 주식시장이 더 안 좋아지면 유상증자조차 추진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금은 유상증자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며 “기업들이 캐시플로가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버티기 국면에 들어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각 기업들은 전사 차원에서 허리띠를 졸라매는 비상 경영에 돌입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김남균·김병준·김우보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