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호처장 先체포? 특공대 투입? 선무방송 심리전? 도주로 차단?
▶ 관저 앞 막아설 시위대·관저 내 여당의원 스크럼 등도 변수

(서울=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다시 발부받은 다음 날인 8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향하는 도로 앞 철조망 문이 쇠사슬로 보강돼 있다. 2025.1.8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유효기간이 연장되면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함께 영장 집행에 나설 경찰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윤 대통령이 머무는 것으로 알려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가 철조망과 버스 벽 등으로 무장하며 요새화하는 가운데, 공수처 등과 공조수사본부를 꾸린 경찰은 체포 작전의 시점과 강도 등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8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 일각에선 즉시 체포 작전에 돌입해 강력한 수사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오래 끌수록 대통령경호처 등 상대의 준비도 더욱 공고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반면 시간을 들여 정교한 작전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또다시 체포가 불발될 경우 수사 동력이 크게 꺾이는 만큼, 사실상 마지막 시도로 보고 신병을 어떻게든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대통령경호처의 수뇌부를 무력화한 뒤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는 카드도 거론된다.
경찰은 박종준 경호처장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해 오는 10일 3차 출석 요구를 했다. 박 처장이 이날도 불응한다면 체포영장 신청이 예상된다.
역시 불출석한 경호처 김성훈 차장과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 이광우 경호본부장도 마찬가지다. 이들의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윤 대통령 체포영장과 함께 집행할 경우 저항하는 경호처의 힘을 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차 체포영장 집행에 투입될 인력도 고민 대상이다. 지난 1차 집행에는 공수처 30명, 경찰 120명 등 총 150명이 동원됐지만 경호처와 군인 200여명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다. 경호처 가용 인력은 약 400∼500명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지난번보다 인원을 보강해 영장 집행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시도가 사실상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의 주축인 경찰청 안보수사대 120명에 더해 서울청 형사기동대 200여명 등 광역수사단 400여명과 서울 일선서 강력계 형사들을 총동원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경호처는 물론 관저를 지키는 군이 개인 화기로 무장한 만큼 경찰특공대를 투입해 일거에 제압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경찰특공대는 테러 예방 및 진압 등을 임무로 하는 조직으로, 소총 등 개인화기로 무장할 뿐 아니라 장갑차, 헬기 등도 운용한다. 하지만 국가기관 간 무력 충돌이라는 부담감과 자칫 유혈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부담도 크다.
경찰 관계자는 "특공대 투입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이들의 동원을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일종의 '심리전'을 펼 필요가 있다는 제안도 있다. 경호처 수뇌부와 다른 생각을 가진 직원들이 영장 집행 저지에 적극 대응하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지난 6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경호처의 물리력을 극소화해야 한다"며 "내부를 동요시키고 선무방송도 하고, 가족들이 와서 '누구야 나와라' 하고. 이건 경찰이 잘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보수성향 시위대는 작전 수행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체포영장 연장 후 한남 관저 앞으로 몰려들어 밤샘 농성 중이다.
경찰의 체포영장 집행을 막아설 경우 민간인인 이들을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지만, 그 대상이 수천 명에 달할 수 있다는 게 걸림돌이다. 이런 까닭에 영장 집행은 집회 참가자가 적은 평일이 유력하다는 분석도 있다.
여당 국회의원들이 관저 내외부의 '인간 벽'에 동참할 가능성도 있다. 헌법기관인 이들에게 물리력을 행사하는 것 역시 경찰로선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갖은 난관을 뚫고 관저에 진입했지만, 막상 윤 대통령이 없는 경우도 가정해볼 수 있다.
전날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조국혁신당 박은정 의원은 대통령 관저 인근에 합동참모의장 공관이 있다며, 이곳 지하에 있는 벙커로 윤 대통령이 도주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의 변호인은 대통령의 소재는 관저라고 반박했다. 경찰은 윤 대통령의 위치를 지속해 파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유혈사태는 최대한 지양하겠지만, 반드시 체포영장을 집행하기 위해 최대한 모든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헌법기관이 제대로 작동하게 마지막 한명 더 빨리 헌법재판관 임명해야하는게 의무쟎냐.국회는 책임과 의무를 열심히 하고있는데 방해까지하며 윤돌아이를 돕는건 내란동조범이 된단다.윤건희는 전광훈과 이재명 아니면 살아날 길이없다 믿는 모양인데 제발 이번주엔 잡아처넣고 국민들 잠좀 편히자게 하자.
이넘덜이 어설프게 다시 불법영장들고 분탕치면 미사일이 날아올지도...꽁수처와 견찰 초상날...
고기잡는 그물로 살살 유인해 확 덮치라고! 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