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커 칼슨이 진행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단독 인터뷰가 전 세계적으로 비상한 관심을 끌어모았다. 하지만 필자는 인터뷰 내용보다 모스크바를 처음 방문한 칼슨의 반응이 훨씬 흥미로웠다. 모스크바는 칼슨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러시아의 수도를 둘러본 후 그는 더욱 극단적이 되었고, 미국 정부에 대한 반감도 커졌다.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할까? 우선 명백한 사실 한 가지만 말해두자. 모스크바에 산다는 것은 정부를 비난할 경우 투옥되거나 목숨을 잃거나, 종종 둘 모두를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모스크바를 떠난 후 잠시 두바이에 들른 칼슨은 납득하기 힘든 주장을 두서없이 쏟아놓았다. 그는 모스크바의 건축과 음식, 서비스가 미국의 여러 도시에서 보고, 맛보고, 경험한 것보다 훌륭했다고 말한다. 정말인가? 좁다란 역사적 중심지를 제외한 모스크바의 주변 지역은 소비에트 시절에 세워진 칙칙한 콘크리트 건물로 가득 차있다. 모스크바의 음식이 꽤 좋긴 하지만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에서 맛볼 수 있는 음식보다 나을 게 없다. 칼슨은 국내외 나들이를 좀 더 자주 해야 할 것 같다.
그의 모스크바 여행담 가운데 상당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 칼슨에 따르면 모스크바는 “세상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가운데 하나다. 미국과 달리 러시아에서는 ‘고삐 풀린 인플레이션’으로 고통 받을 염려가 없다. 그러나 지난달에 발표된 러시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의 인플레율은 7.4%로 미국에 비해 2.5배가 높다. 러시아 금리가 미국 금리의 세 배에 가까운 16%에 달하는 이유다.
모스크바에서 찍은 짤막한 동영상은 식료품점에 들른 칼슨이 낮은 식품 가격에 감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는 평균적인 러시아 가족의 일주일분 식비가 미국인 가정이 식료품 구입에 사용하는 비용의 3분의 1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그는 미국의 인플레에 다시 한번 분노한다. 그러나 러시아의 1인당 국민총생산 (GDP)은 대략 1만 5,000달러로 미국의 7만 6,000달러와는 비교가 안 된다. 물가는 빈곤국가보다 부유한 국가일수록 높기 마련이다. 칼슨이 멕시코에서 식료품 쇼핑을 한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낮은 식품가격에 놀라 멕시코 정부에 전에 없던 존경심을 품지 않을까?
모스크바 지하철역의 웅장한 모습 역시 칼슨에게 경외감을 안겨주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에 비해 뉴욕 지하철이 초라해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러시아 수도의 지하철은 소비에트 공산주의의 우월성을 과시하기 위해 조셉 스탈린이 막대한 공공비용을 투입해 지은 ‘전시품’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뉴욕 지하철은 예산에 신경을 써가며 다양한 종류의 민관합작 투자를 통해 건설하고 운영하는 자본주의의 산물이다. 중앙집권적인 전제국가들은 사회 전체의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거대한 전시용 구조물을 짓는데 능하다. 터커는 이집트와 인도를 방문해 피땀 어린 노역으로 지어진 피라미드와 타지마할을 둘러볼 필요가 있다. 둘 모두 절로 감탄사가 튀어 나올 만큼 경이로운 건축물이다.
칼슨이 반복해 읊은 찬가는 러시아보다 미국에 어울린다. 그는 “모스크바, 아부다비, 두바이, 싱가포르, 도쿄에 비견할만한 도시를 지닌 나라에서 자랐다”고 말했다. 실제로 뉴욕은 그가 가장 좋아하는 도시다. 그러나 그가 보기에 지금의 미국 도시는 하나같이 망가졌다. 1969년생인 칼슨은 자신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1970년대의 뉴욕에 애정 어린 기억을 갖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의 뉴욕은 범죄와 폭동에 찌든 낙서투성이 도시였다. 지독한 관리 부실로 자금난에 빠진 뉴욕은 1975년 파산 직전의 상태로 몰렸다. 1977년 뉴욕 대정전 당시의 무지막지한 약탈과 범죄는 전설로 남았다. 1970년대의 10년 동안 80만 명 이상의 뉴요커들이 타지로 옮겨갔고, 부동산 가격은 추락했다.
뉴욕뿐 아니다. 70년대의 샌프란시스코는 히피족, 마약과 포르노의 온상이자 극단적인 실험의 주 무대였다.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 샌프란시스코의 도시범죄를 그린 ‘더티 해리’(Dirty Harry)는 1970년대를 시대적 배경삼아 만든 영화다. 오늘날 뉴욕의 범죄율은 전국의 다른 주요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수준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칼슨은 도쿄, 싱가포르, 아부다비와 두바이를 부러운 듯 말한다. 필자는 그가 열거한 도시들을 수도 없이 방문했다. 바로 몇 달 전에도 이 중 일부 지역을 여행했다. 이들은 각기 독특한 특성을 지닌 멋진 도시다. 그러나 권위주의 정부나 순응주의 문화, 혹은 둘 모두의 탓인지 이들은 길들여지고 주눅이 든듯 한 분위기를 풍긴다.
반면 미국 도시는 분권화와 다양성 및 민주주의의 산물이다. 도시생활 전문 작가인 제인 제이콥스는 무정부주의적인 듯 보이지만 유기적인 상향식 시스템을 지닌 도시가 중앙집권적인 전체주의 국가의 설계사들이 그린 추상화 같은 도시보다 장기적인 면에서 훨씬 높은 경쟁력을 지닌 최고의 도시라고 강조한다.
미국의 도시는 민주주의의 발현체다. 시민들은 논의를 통해 서로의 차이를 받아들이고 함께 사는 방법을 찾아낸다. 이 과정이 때론 지저분하고 가끔은 혼란스러운 게 사실이다. 그러나 바로 그것이 도시를 활기차고 혁신적으로 만든다. 미국이 경제와 테크놀러지, 문화와 군사력 면에서 세계의 선두주자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 또한 같은 이유에서다.
옛날 옛적에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자유와 선택에 뿌리를 드리우고, 상향식 사회 시스템을 구축한 미국의 유기적 커뮤니티를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했다. 그러나 새로운 포퓰리스트 우파는 이를 경멸한다. 그들의 혐오감은 부문적으로 현대적이고 다원적인 민주주의 자체에 대한 거부감을 뜻한다. 포퓰리스트 우파는 독재, 포퓰리스트 전제주의와 절대 왕정의 깔끔하고 질서정연한 국가경영 방식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다른 건 몰라도 푸틴의 업적이 하나 있긴 하다. 모스크바의 지하철은 정시에 운행한다.
<
파리드 자카리아>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자유를억압해서 협박하고 거짖선동해서 꼼짝못하게할려하는 트 당 트 트추종자들 자유가 민주가 무언가를모르는 가방끈 짧은 저질들 어찌 바보들이라 아니할수없지요..
자카리아 말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독재국가 또는 전체국가에 가보면 길거리에 노숙자 하나 없고 벽에 낙서 하나 없고 길거리에도 쓰레기도 안굴러 다닐정도로 깨끗하다. 하지만 시민들을 보면 어딘가 순응적이고 활기가 없는 그저 양때같다. 하지만 미국 도시들은 더럽고 별의별 인종들이 어울리는 멜팅팟이지만 어딘가 활기차고 자기 주장을 펴는데 무서워 하지 않는다. 나도 기억한다. 70년데 샌프란 정말 대마초, 마약에 쪄든 히피족들이 장악하고 도시 전체가 통제 불능 상태라 오죽하면 더티 해리 영화가 나왔겠느가.
꼴랑 말꼬리 잡는 게 고작 모스크바? 늘 펜을 지어주면 지잘난 줄 알고 떠들어대는 자카리아. 그가 푸틴과 인터뷰한 내용에 대해선 일언반구 말이 없고. 미국, 특히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는 도시들을 보면 노숙자 천국이 됐고 범죄는 치솟는다. 민주당 선거운동원이 눈가리고 아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