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진 임업’ 일본 미야자키 가보니…
▶ “벼 수확하고 이듬해 또 심듯…일본 수요 42% 담당 비결” 조림 기술 발전…목재량 늘고 한국과 달리 벌채 반감 적어
ha당 64m 달하는 임도 밀도…이동 쉽고 관광산업도 도움
6일 일본 규슈 남동쪽 미야자키시에서 남서쪽으로 15km가량 떨어진 한 국유림을 찾았다. 대로를 벗어나 4륜 자동차를 타고 숲 사이로 난 임도()와 임시 작업로를 5분 남짓 오르자, 너른 터가 나타났다. 규슈에서 유명한 삼(스기)나무 벌채 현장이다. 한쪽엔 수확한 목재를 산 아래로 실어낼 특수차량(포워더)들이 대기하고, 그 옆에선 티라노사우루스 주둥이를 닮은 장치를 단 굴착기(프로세서) 서너 대가 부지런히 움직이고 있었다. 프로세서는 나무젓가락 다발을 풀어놓은 듯, 와르르 넘어져 있는 길쭉길쭉한 삼나무들을 하나씩 물어 올려 착착 처리하는 중이었다. 앞서 나무 베는 장비가 훑고 지나간 터다.
‘드르르르륵.’ 나무를 가로로 집어 물 은 프로세서가 목재를 왼쪽으로 밀어 내면서 가지치기를 하더니, 이내 숨겨놓 았던 기계톱을 아래로 끄집어내려 싹둑 잘랐다. ‘위이이잉.’ 길이는 일정했다. 50년 동안 자랐다는, 길이 20m가 족히 넘는 삼나무 한 그루는 1분도 안 돼 A·B 등급의 목재, 가지가 많은 상층부는 등급 외목재 등으로 해체돼 옆에 쌓였다.
■일본의 산은 목재생산 ‘들판’
주식회사 마츠오카임산의 마스다스구루 총무팀장은 “정부로부터 작년에 5,500만엔(약 5억 원)에 수확권을 낙찰받았다”며 “임야 2필지 12.87㏊면적의 1만6,200그루가 수확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를 부피로 환산하면 1만275㎥에 이른다. ㎥당 산지 가격(1만6,100엔, 약 14만5,000원)을 감안하면 약 15억 원어치에 해당하는 목재다.
수 확은 11월까지 이어지며, 베어낸 자리에는 내년 봄 어린 삼나무가 식재된다. 미야자키의 산림면적 비율은 76%로 일본 전체 평균(68%)보다 높고, 인공림 비율 (57%)도 일본 평균(41%)보다 높은 대표적인 임업지역이다.
목재 수확 현장을 함께 찾은 미야자키대 산림환경학과의 사쿠라이 린 교수는 “들판에 벼를 심고 수확한 뒤 이듬해 또 심고 수확하는 것처럼, 산에 나무를 심고, 벌기령에 베어내는 일본의 산은 목재를 생산하는 일종의 들판”이라며 “일본 내 목재 수요 2,300만㎥ 중 절반 가까운 42% 의 목재를 자급하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목재 자급률은 독일(53%)과 미국(71%) 등과 비교하면 낮다. 그러나 일본과 비슷한 산림면적 비율(63%)을 가진 한국 자급율(15%)의 세 배에 가깝다. 산림청 관계자는 “올해 50주년을 맞은 국토녹화 사업으로 산이 푸르게 바뀌는 등 한국도 이제는 베어내 쓸 수 있는 목재가 제법 된다”며 “그러나 현실적인 여러 요인으로 일본처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한국의 목재 수입액은 7조 원이다.
■녹화된 한국 산 ‘열일 않는 산’
국내 임업단체와 산림청에 따르면 가 장 큰 문제는 목재를 수확하는 일(벌목)에 대한 국민인식이다.‘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로 대표되는 대대적인 조림사업 결과, 녹화에는 큰 성공을 거뒀 지만, 성장한 그 목재의 활용과 그 필요 성까지 공감하는 국민이 많지 않아 벌목에 거부감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비닐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제품이나 용기가 나무나 종이로 바뀌면 사람들은 ‘친환경적’이라고 하면서도 정작 그 나무를 수확하는 장면엔 ‘불법’ 딱지를 갖다 붙이는 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60, 70년대 달 표면 같던 한국 산은 나무 양이 크게 늘었다. 국립산림과학 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1㏊당 임목 축적량은 165㎥에 이른다. 1972년(11㎥/㏊)과 비교하면 무려 15배 많아졌다. 산림청 관계자는 “이렇게 나무 양이 많아졌지만,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쓸만한 나무가 많지 않고, 쓸만한 나무도 수확·운반 장비의 접근이 어렵다”고 말했다.
■사람 위해 일하는 산, ‘혈관’ 필요
일본 규슈 지역의 남부 미야자키에서 북부 후쿠오카에 이르는 방대한 산림은 한국의 그것과 분명 달랐다. 미야자키시에서 북쪽으로 직선거리 80㎞가량 떨어진 산골 마을 모로츠카 마을의 전 망대에 올라서자 눈 앞에 펼쳐진 산은 거대한 바둑판 같았다. 한국의 산이 단일색의 수묵화라면 이곳은 형상은 산이되, 1만7,821㏊ 면적의 산림은 다양한 색깔과 무늬로 채워졌다.
모로츠카읍의 마쓰무라 키미오 건설과장은 “삼나무 특성상 50년가량 키운 뒤 수확하는데, 일정 면적을 매년 수확하고, 그 자리를 순차적으로 재조림 하면서 나타난 시차 작업의 흔적”이라고 말했다. 처음엔 흉측하게 보여도 그렇게 수확한 나무로 마을 주민들이 생 활을 영위하고, 최근엔 도시 청년들까지 이 산골 마을을 찾아 자리를 잡는 등 소멸 위기 극복에도 기여한다는 이야기에 ‘바둑판 산’은 달리보였다. 사쿠라이 교수는 “주민 1,400여 명이 2만㏊에 이르는 산에서 임업에 종사할 수 있는 건 차량과 각종 기계 장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임도가 사람의 혈관처 럼 뻗어, 일본에서도 가장 높은 임도 밀도(㏊당 64m) 덕분”이고 말했다.
<
글=정민승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