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미국은 가을에 새 학년이 시작되는 것일까? 여러 설명 중에서 어린이들이 가진 노동력 때문이라는 것이 설득력 있다. 예전에는 아이들도 부모를 도와 농장에서 일을 해야만 했다. 농장일 할 나이가 아니면 집안일을 하거나 그들의 더 어린 동생을 돌봐야 했다. 집안 모든 노동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농번기인 봄과 여름에는 학교가 뒷전일 수밖에 없고 일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가을이 되어야 아이들이 학교에 갈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지금 살고 있는 페어팩스 카운티의 공립학교도 8월 하순에 새 학년을 시작한다. 6월 중순부터 여름방학에 들어가는데 여름방학이 2개월이 넘는다. 여름방학이 이렇게 긴 이유도 여름에는 농장일을 도와야 하는 그 옛날의 생활방식 때문이라고 한다. 겨울 방학은 12월 25일 조금 전에 시작해서 1월 1일을 포함한 2주일 남짓이다.
20여 년 전 미국에 도착해서 아이들을 고등학교에 보내면서 무상교육을 실감할 수 있었다. 등교와 하교는 카운티 교육청이 운영하는 스쿨버스로 해결되었다. 고교생이 사용하는 공학용 전자계산기도 무료로 대여해줬다. 꽤 비용이 나가는 교과서도 도서관에서 책 빌리는 것처럼 학교에서 무료로 대여해 줘서 학년이 끝나면 반납했다.
교과서를 몇 해에 걸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줄을 친다거나 뭔가를 적어 넣어서는 안 된다. 여러 해 사용해야 하는 교과서는 좋은 질의 종이를 사용하기에 무척 무겁다.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교과서가 든 무거운 가방을 어깨에 메는 것이 힘들어서 바퀴 달린 가방을 끌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학교 교육이 무상교육이기는 하지만 특별활동이나 방과 후 활동에 따른 비용은 본인 부담이다. 그래서 테니스반에서 활동한다면 테니스채는 본인이 구입해야 한다. 악기는 지역 악기점에서 매월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는 장기 대여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지역 악기점은 그런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대여할 악기를 많이 구비하고 있다.
미국에 살면서 교문이 있는 학교를 본 적이 없다. 한국의 경우에는 모든 학교가 담장 안에 있기 때문에 학교 안으로 들어가려면 교문을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미국의 학교는 담장이 없기에 교문도 없다. 학교 건물 하나하나가 각각 독립된 성채의 느낌으로 존재한다.
도심 속 건물에서 행정실과 강의실만 있는 대학교(university, college)를 보았을 때 좀 놀랐다. 나중에 알게 된 것으로 미국에는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하는 대학교가 있다. 마치 회사를 운영해서 거기서 나온 이익을 투자가가 갖는 것처럼 대학 운영도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학교법인은 학교 운영에서 발생한 이익을 학교 안에서만 써야 하고 학교에서 밖으로 내갈 수는 없는 것으로 안다. 한국의 학교는 육영기관으로서 학교를 운영해서 영리를 취할 수 없는 일이지만 미국은 과연 자본주의 최첨단을 걷는 나라답게 대학을 운영해서 영리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모든 대학이 다 영리를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 아니고 영리를 목적으로 대학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한국의 경우 일 년에 한 번 있는 수능시험일에는 전국이 초비상 상태가 된다. 수험생의 시험장 정시 도착을 위해 경찰차 동원 등 모든 교통이 수능에 맞춰진다. 소리를 들으면서 시험 보는 과목이 있어서 그 시간 시험장 부근의 모든 교통기관은 소리를 내서는 안된다. 이 하루 이렇게 난리 치는 이유는 이 시험이 단판 승부이기 때문이다. 이 하루의 시험 결과가 그 해 대학 입학은 물론이고 남은 인생을 판가름한다.
미국도 대학입시를 위한 SAT(Scholastic Assessment Test) 시험이 있다. 이 시험은 학교, 시험에 응시하는 학생 그리고 그 학생의 학부모 말고는 그날 SAT가 있는지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 이 시험의 출제와 관리는 국가기관이 아닌 칼리지보드(College Board)라는 비영리 사설기관이 한다.
SAT는 따라잡기(catch up)가 가능하다. 비용만 지불하면 몇 번이고 SAT를 치를 수 있어서 대학 지원할 때 그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제출한다. 즉 첫 번째 SAT에서 낮은 점수가 나왔더라도 실력을 향상시킨 후 다시 시험을 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SAT는 단판 승부가 아니다. 일 년 중 어느 하루 단 한 번의 수능시험 성적으로 남은 인생 대부분이 결정되는 것과는 다르다. 그리고 SAT 점수를 요구하지 않거나 비중이 낮추는 대학교도 있다.
다른 분야도 그렇듯이 교육도 한국과 미국 중 어느 편이 더 좋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따라잡기가 가능하다는 점은 한국에서도 긍정적으로 수용되기를 바란다.
(알림: 이 연재는 다음 주에 종료됩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