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CPI에 비둘기 목소리 높아질듯…내년 인플레 둔화에도 서비스물가 관건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로이터=사진제공]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일단 최악의 고비를 넘긴 것으로 확인되면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선택에 이목이 쏠린다.
당장 14일까지 열리는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는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금리인상)으로 보폭을 줄일 것이 유력시된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7.1%로 10월의 상승률(7.7%)은 물론 시장 전망치(7.3%)를 모두 하회했지만, 당장 0.25%포인트의 베이비스텝으로 물러설 가능성까지는 희박하다는 것이 미 전문가와 언론의 전망이다.
더 정확한 물가 지표로 여겨지는 근원 CPI 상승률이 11월에도 6.0%로 여전히 연준 목표치의 3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시장의 예상도 마찬가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현재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에 반영된 12월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확률은 79%로 집계됐다.
다만 미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두 달 연속 완연한 하강곡선을 그렸다는 점에서 내년 연준의 통화정책 행보에 대해서는 엇갈린 관측이 나온다.
연준이 내년에 얼마나 금리를 더 올릴지, 높은 수준의 금리를 얼마나 오래 유지할지를 놓고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와 매파(통화긴축 선호)의 의견 대립이 심해질 가능성이 높아서다.
40년 만의 최악 인플레이션이 한창 기승을 부릴 때는 4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이라는 파격적인 조치에도 연준 내에서 거의 이견이 분출되지 않았지만, 둔화 신호가 나타난 이상 경기침체와 실업률 증가를 우려해 긴축의 고삐를 늦춰야 한다는 완화론자들의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새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은행 제프리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아네타 마코스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오늘 CPI 발표에 따라 비둘기 진영에서 가능한 한 빨리 0.25%포인트로 인상 속도를 늦추자고 더 강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 등 외부 요인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이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이러한 비둘기적 견해에 힘을 싣는다.
11월 CPI에서 에너지 물가지수는 전월보다 1.6% 하락했고, 지난해 초기 인플레이션을 주도한 중고차 가격도 2.9%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에너지 물가는 13.1% 급등했지만, 내년 2월부터는 비교 시점이 전쟁 발발 이후로 바뀐다는 점에서 큰 폭의 둔화 내지 하락 전환이 유력하다.
식료품과 주거비용은 11월에도 급등세를 이어갔지만, 최근 몇 달과 비교하면 상승률이 다소 줄어들었다. 금리인상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를 고려할 때 내년에는 주거비용 상승폭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겨우 두 달간의 물가 지표만 보고 연준이 통화정책 방향을 전환할 것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변수가 연말 연초에 어떻게 전개될지 알 수 없는 데다 통제가 어려운 서비스 물가의 오름세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남아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서비스 물가는 11월 전체 CPI를 3.9%포인트 끌어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상당 부분은 주거비용이지만 쓰레기 수거, 치과 방문 치료, 스포츠 경기 입장료 등 기타 서비스 물가는 내년에 저절로 내려갈 것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지난달 연설에서 상품, 주거비용, 주택 이외의 기타 서비스 등 세 가지 부문의 물가 경로를 관찰하고 있다며 그중 기타 서비스 비용이 기저의 물가 압력을 잘 반영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임금 상승이 이러한 서비스 비용을 함께 끌어올린다는 점에서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지도부가 실업률을 가장 걱정하는 비둘기파의 견해보다는 경기 둔화를 감수하더라도 물가를 확실히 잡는 게 우선이라는 매파의 견해에 귀를 기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1970년대 인플레이션을 확실히 누르지 못한 탓에 1980년대 초 폴 볼커 당시 연준 의장의 초고금리 정책으로 많은 희생을 치러야 했던 과거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파월 의장의 거듭된 공개 발언도 이런 시나리오에 힘을 싣는다.
따라서 연준이 내년 초 5% 안팎의 수준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멈추더라도 내년 말까지 금리인하로 전환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