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전자·IT·모빌리티·푸드테크·NFT까지 혁신 총망라
▶ 2년만의 대형 이벤트에 관심, 한국기업 참여 기술 과시
세계 최대 산업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2’가 내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 라스베가스에서 2년 만에 열린다. 14일로 꼭 53일 앞으로 다가온 이번 CES 2022는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로 방역 체계를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로 속속 전환하는 가운데 열리는 첫 대형 산업 전시회여서 이전의 행사보다 더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미래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하는 장이 될 CES 2022에 참여하는 한국 기업들의 발걸음도 분주하다.
◇ 헬스케어, 푸드테크, NFT 등 신기술 향연
독일 베를린 ‘IFA’,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와 함께 세계 3대 전자·IT 전시회로 불리는 CES는 참가 기업과 방문자 숫자 면에서 단연 최대 규모의 행사다. 새로운 해가 시작되는 1월 초에 개최되는 만큼 글로벌 기업들의 한 해 기술과 제품 트렌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글로벌 산업계를 미리 조망해 볼 수 있는 ‘예고편’이자 기술력을 겨루는 ‘자존심의 대결장’으로 평가된다.
주최 측인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에 따르면 CES 2022에는 1,6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할 예정이다.
CTA는 이번 CES의 주요 키워드로 디지털 건강, 푸드테크(식품기술), 미래 모빌리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토큰), 스마트홈 등을 제시했다.
올해 CES에는 참가 업체 수가 2,000개 안팎, 관람객 수는 약 1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을 비롯해 아마존, 구글, 보쉬, 제네럴모터스(GM), BMW, AT&T, 퀄컴 등 세계 주요 기업들이 CES 2022 참가를 확정했다. 메리 바라 GM 회장, 한종희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 등 글로벌 기업 대표들이 1월 4일 열리는 사전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한다.
◇ CES 별칭은 ‘라스베가스 모터쇼’… 현대차·SK·두산 등 출격
몇 년 전부터 CES에서 모빌리티 산업의 영역이 커지는 추세가 이어졌는데 이번 CES 2022에서는 그 추세가 더욱 분명해질 전망이다. 자동차 업체들은 물론 가전·IT업체들도 미래 모빌리티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데다 글로벌 우주 산업도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기업 중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이 CES에 2년 만에 출격한다. 현대차그룹은 2009년부터 현대차와 기아[000270]가 격년으로 CES에 참가했지만, 지난해에는 온라인 행사 참가 효과가 크지 않다는 판단하에 불참했다.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서의 전환을 꾀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은 올해 CES에서 수소, 자율주행, 로보틱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그룹이 준비하고 있는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총망라해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자동차 업계에선 CES의 전초전이라고도 할 수 있는 ‘LA 오토쇼’에서 현대차의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전기 콘셉트카 ‘세븐’과 기아의 전용 전기차 ‘EV9’이 처음 공개되는 것을 고려하면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시장 선점에 역점을 두고 대대적인 홍보전을 펼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SK그룹 역시 전기차 배터리와 친환경 모빌리티 소재를 중심으로 CES에 참가한다. SK이노베이션[096770]의 배터리 사업 부문 SK온이 최초 개발한 ‘NCM9 배터리’는 2개의 CES 2022 혁신상을 수상했다.
NCM9 배터리는 니켈, 코발트, 망간 중 니켈 비중이 약 90%에 달하는 배터리로, 내년 출시되는 포드(FORD)의 픽업트럭 ‘F-150’의 첫 전기차 버전인 ‘F-150 라이트닝’에 탑재된다.
SK 계열사 중에서 SK E&S와 SK에코플랜트 등도 친환경 에너지를 주제로 CES 2022에 처음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수소 연료 전지 시스템 ‘트라이젠’ 등 7개 혁신상을 받은 두산그룹도 이번 CES에서 수소 기술을 뽐낼 예정이다. 이외에 아모레퍼시픽, 바디프랜드, 웅진씽크빅 등도 CES 2022에 참여한다.
한국 스타트업들의 참여도 확대될 전망이다. 유망 신사업을 하는 한국 스타트업 29개사가 CES 2022 혁신상을 받은 상태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