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인 사회 연결망 조사
▶ 무교·타종교 부부 크게 늘어, 53% “하나님 의심없이 믿는다”…54% “1년새 전도받은 적 없어”

최근 수십 년간 무교 인구 및 비 기독교 인구가 증가 추세로 조사됐다. 사진은 조지아주 한 교회의 주일 예배 모습. [로이터]
미국 종교에 최근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무교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불교, 힌두교, 무슬림, 유대교 등 비 기독교 인구가 증가 추세인 반면 백인 기독교인은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 발표된 ‘미국인 전국 사회 연결망 설문 조사(American National Social Network Survey)’ 보고서에는 미국 종교계에 발생하고 있는 변화가 잘 반영되었다.
◇미국인 절반 ‘하나님 의심 없이 믿는다’
그동안 여러 조사를 통해서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각 개인이 하나님에 대해 어떤 믿음을 가지고 있느냐는 별개의 문제다.
이번 조사에서는 의심 여부에 따른 미국인들의 믿음을 분류했다. 의심의 여지없이 하니님을 믿는다는 미국인은 약 53%인 반면 하나님을 전혀 믿지 않는다는 미국인은 약 6%로 소수에 불과했다. 약 41%는 하나님을 믿지만 약간의 의심을 갖고 있다고 고백했고 반대로 약 11%는 하나님을 믿지 않지만 확실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나님에 대한 믿음은 기독교 교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인 중 하나님을 의심 없이 믿는다는 비율이 약 87%로 가장 높았고 이어 흑인 개신교인의 비율이 약 83%로 두 번째였다. 히스패닉계 가톨릭 교인과 백인 가톨릭 교인, 백인 주류 개신교인 중에서도 의심 없이 하나님을 믿는다는 교인의 비율이 각각 약 62%, 약 58%, 약 50%로 모두 절반을 넘었다.
◇전도 받는 미국인 감소세
교회 출석을 권유받는 미국인도 최근 감소 추세로 나타났다. 최근 12개월 동안 교회 출석 권유를 받았다는 미국인은 약 47%였으며 최근 한 달 사이에는 약 23%로 더욱 적었다. 미국인 중 절반이 넘는 약 54%는 1년 동안 주변 교인으로부터 전도를 전혀 받지 못했다 조사 결과다.
한편 교회 출석 권유를 받은 미국인은 실제 높은 교회 출석률로 연결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서 최근 1주일 사이에 전도를 받은 미국인 중 약 67%는 일주일에 한차례 이상 교회에 출석했다고 답했다. 반면 전도를 받지 못한 미국인 중 매주 교회에 출석하는 비율은 약 14%로 낮았고 이중 약 47%는 교회에 전혀 나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독교인으로 살기 힘들어진다
미국에서 기독교인으로 사는 것이 힘들다는 답변도 많이 나왔다. 이 같은 답변 비율은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인(약 54%), 백인 주류 개신교인(약 57%), 가톨릭 교인(약 57%), 흑인 개신교인(약 61%), 히스패닉 가톨릭 교인(약 68%)로 교파 및 인종 구분 없이 비교적 높게 조사됐다.
◇무교 인구 급증, 타종교 부부 증가
보고서가 퓨 리서치 센터의 자료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최근 서로 다른 종교를 믿는 배우자 간의 결혼이 급증, 2010년과 2014년 결혼 부부 10쌍 중 4쌍은 서로 다른 종교 배경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최근 미국인의 종교 구성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무교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교 인구 급증 추세는 젊은 층에서 급격한 증가세로 18세에서 29세 인구 중 약 34%는 어떤 종교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교파간 ‘사회관계망’ 맺는 현상 뚜렷
종교인들의 ‘사회관계망’(Social Network)에 대한 조사도 실시됐는데 같은 종교, 그중에서도 같은 교파 교인들과의 관계를 맺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인과 흑인 개신교인들은 개신교들과 사회적 관계를 갖는 성향(각각 약 80%, 약 82%)이 짙었다.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인이 가톨릭 교인 및 무교인과 사회적 관계를 갖는 비율은 각각 약 9%로 낮았고 비 기독교인과는 거의 관계를 맺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 기독교인은 대부분 비 기독교인들과 사회관계를 형성했고(약 50%) 무교인들 역시 무교인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는 비율이 약 47%로 비교적 높았다.
<
준 최 객원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힘든게 아니라, 십일조 헌금 노동 따박따박 뻘짓하는걸 직시한거지 ㅋㅋ 똑똑해지니 성경을 보세요, 이딴 소리도 안통하고. (아님말고- 하늘에 부를 계속 쌓으세요 ㅋㅋㅋ) 목사, 장로? 등 돈 잘쓰는것 같던데ㅋㅋㅋㅋㅋ
개신교가 처음 생겼을때는 가난하고 불쌍한 서민들 편에 있었다. 예수도 그리했고. 헌데 개신교가 대중화되고 세력이 확장되니 이제는 기득권세력에 붙어서 그 세력을 지키려 안간힘을 쓴다. 불쌍한 자를 사랑하라는 말씀은 저리가고 오직 지네들 원하는 대통령, 지도자, 법을 만들어 세상을 지네들 입맛에 맞게 만들려하고있다. 난 이래서 더 이상 개신교를 안밎는다.
힘들면 때려치워야지. 뭐하러 힘들게 교회 나가나? 맘에 안 들면 나와야지. 뭐하러 갈구고 있나? 그냥 멋대로 생각하고 살다가 지옥 가면 돼. 안 그런가? 지옥 가는 것도 당신들 자유야. 목사고 신부라고 지옥을 안 가나? 안 믿는 것들은 더 확실히 가겠지만. 굿 럭. 코비드가 당신들 잡으러 온다. 워 허! 조심하렷다. ㅎㅎ... 다들 죽을 준비들 잘 하고 사시게나. 그리고 오늘이든 내일이든 죽거든 지옥은 절대로 가지 마시게나. 그곳은 절대로 갈 곳이 못 된다고 들었소.
복음주의는 성공을 축복으로 여기고, 기득권자의 지위에 올라서기를 가르쳤고, 그렇게 했다. 그러자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 살기는 더 어려워졌고, 기득권을 사수하고, 세습하는 길로 갔다. 보수화한 것이다. 사회에서 복음주의가 영향력을 잃어버린 근본적인 이유다. 대선에서 성경의 가르침과는 반대의 삶을 살고, 정책을 가진 트럼프를 지지한 복음주의가 그 실례다. 밀레니얼은 복음주의를 신뢰하지 않는다. 복음주의자로서 살기 힘든 것은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서 살아서가 아니다. 성경의 가르침을 떠난 후, 존경을 잃었기 때문이다. 복음주의도 끝났다.
기양왔다 기양가는게 인생인 것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