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Croatia)가 2018년 러 시아월드컵 축구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기 전까지 지구촌에 그런 나 라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이들이 적 지 않았을 것이다. 크로아티아는 지 중해 연안 발칸반도 서쪽에 자리한 조그만 나라다. 인구라야 서울의 절 반도 안되는 420만명 남짓, 면적은 한국의 절반 조금 넘는 5만6천여평 방km에 불과하지만 이 나라는, 특히 두브로브니크라는 해안도시는 거리 마다 집집마다 문화유산이라 할 만 큼 독특한 풍광과 유서깊은 건축양 식을 자랑한다. 이 나라가 유고연방 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날이 공교 롭게도 1991년 6월25일이다.
오늘은 6월25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첫‘ 세계급 열전’이라는 한국전 쟁 발발 70주년이 되는 날이다. 70 년 전 오늘부터 3년1개월간 남북한 전역이 쑥대밭이 됐듯이 크로아티나 는 29년 전 오늘 독립선언 그날부터 몇 년 간 독립을 저지하려는 막강한 연방군(실제로는 주로 세르비아군) 의 포화에 시달려야 했다. 쌍방간 전 쟁이라기보다 힘센 놈의 일방적 약 자 손보기(연방측 논리를 존중하자 면 가장의 가출자녀 혼내기) 같은 꼴 로 흐르던 충돌양상은 문화유산의 보고 두브로브니크에 대한 무차별 공격이 시작되면서 확 바뀌었다. 세 계의 지성인들 문화인들이 들고일어 났다. 세계여론이 움직였다. 미국 등 서방세계가 개입했다. 연방군은 물러 날 수밖에 없었다. 두브로브니크는 포격의 상흔까지‘ 대체로 그대로’ 보 존한 채 지금껏 세계적 관광지로 사 랑받고 있다.
미국 영국 등 자유진영과 소련 중 국 등 공산진영이 자존심을 건 승부 를 벌인 한국전에서, 군인과 민간인 합쳐 수백만명이 죽거나 다치거나 실종되거나 납치되거나 한 한국전에 서, 문화재가 문화재 대접을 받는다 는 건 아무래도 무리였다. 유럽이냐 아시아냐 하는 건 별개로 치더라도, 미소 양극체제에서 일어난 1950년대 한국전과 사실상 미국 독주체제였던 1990년대 크로아티아전 상황은 사 뭇 달랐다. 게다가 한반도를 비롯한 한민족 강역에서 신라대 황룡사니 뭐니 기념비적 문화재들 중 상당수 가 고려시대 몽골군 침입 때나 조선 시대 왜군 침입 때 이미 불타거나 부 서지거나 관리소홀로 그냥 흐지부지 되거나 했다, 외적의 표적을 면한 깊 은 산 속 사찰정도가 살아남았을 뿐.
공중전이 본격화된 한국전에서는 그런 사찰들도 더 이상 안전지대일 수 없었다. 오대산 월정사 등 많은 사 찰들이 사라졌다. 대개는 적군에 의 해서가 아니었다. 승리를 자신한 그 들은 전쟁이 끝나면 자기들 몫이 될 자산을 굳이 작살낼 이유가 별로 없 었다. 적군이나 빨치산의 근거지가 될 것을 우려한 국군의 결정으로 미 리 정리된 산중사찰들이 많았다. 이 른바 청야(淸野)작전의 일환이다. 그 런 가운데,‘ 목숨을 건 전쟁’ 와중에 ‘목숨을 걸고 부처님 도량을 지킨’ 불 보살들이 있었다. 한암 스님, 김영환 장군, 차일혁 경무관이 대표적이다.
경허 스님, 만공 스님, 수월 스님 과 함께 근세 한국불교에 선풍을 중 흥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한암 스님 (1876년~1951년)은 1951년 초 1.4후 퇴 당시 오대산 상원사에 머물던 중 월정사를 소각한 국군이 상원사마 저 태우기 위해 들이닥치자 법당에 좌정한 뒤“ 내 몸을 함께 태워 부처 님께 공양하겠다”고 버텨 상원사를 지켜냈다. 소각작전을 지휘하러 갔던 국군장교 역시 불자였는지 모르지만 결연한 스님의 태도에 더는 어쩌지 못한 채 부하들에게 상원사 곳곳 문 짝만 떼어내 태우게 한 뒤 물러났다 고 한다.
김영환 장군(1921년~1954년)은 대 한민국 공군의 창설주역 중 한 명으 로 한국전 당시 공비토벌을 위해 가 야산 해인사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거 부해 세계문화유산 해인사와 팔만대 장경을 살린 주인공이다. 작전 당시 편대장이었던 김 장군은 편대원들에 게 “폭탄과 로케트탄을 사용하지 말 라...기관총만으로 사찰주변의 능선을 소사 공격하라”면서 해인사 뒤쪽 능 선에만 폭탄과 로케트탄 몇 개를 투 하했다가 작전을 총지휘한 미공군 고 문단으로부터 “사찰이 국가보다 더 중요하냐”는 등 힐책을 받자“ 사찰이 국가보다 중요하지 않지만 공비보다 는 사찰이 중요하다...그 사찰에는 7백 년을 내려온 우리민족정신이 어린 문 화재가 있다”고 응수했다 한다.
독립군 출신 차일혁 경무관(1920 년~1958년)은 지리산 공비 토벌대장 으로 유명하다. 1951년 5월, 전북 주 둔 8사단과 군경합동 회의에서 녹음 기인 여름에 빨치산 소굴이 될 만한 사찰들을 소각하라는 명령이 내려졌 다. 당시 토벌대 18대대장이었던 그 는 이를 “공비들의 은신처를 없애고 관측과 사격을 용이하게 하자는 것” 으로 ‘일부러 축소해석’하고 화엄사 의 경우 문짝만 뜯어내어 소각했다. 천은사 쌍계사 선운사 등 다른 유서 깊은 사찰들도 큰 화마를 피할 수 있었다. 때문에 그는 반복적인 명령 불이행으로 징계까지 받았지만 사후 53년만인 2011월 총경에서 경무관 으로 추서됐다. 그 이전 2008년에 문 화체육관광부는 그에게 보관문화훈 장을 서훈했다
<
정태수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