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판매가 3분의 2, 올해 7.4%로 역대 최고, 수소전기차 2025년께 연 100만대 판매 목표
▶ 수소전기트럭 스위스에 곧 50대 공급 예정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현대·기아차 제공]
현대·기아자동차가 친환경차 국내외 누적 150만대 판매 기록을 세웠다. 한국에서만 50만대가 팔렸다. 현대·기아차는 15일 친환경차 판매(공장 출고실적)가 지난달 기준 누적 153만9,752대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 중 한국 판매가 50만4,396대로 3분의 1이다. 이는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판매 실적을 합한 것이다.
현대·기아차 친환경차 판매는 2009년 아반떼(미국명 엘란트라) 하이브리드차 등 6,000여대에서 시작해서 2015년에 누적 30만대를 넘었고 수소전기차 넥쏘가 나온 2018년에 100만대를 돌파했다.
연간으론 2012년에 6만대, 2016년대 12만대, 2017년에 25만대 등으로 뛰다가 작년에 36만8,870대를 기록했다. 올해 5월까지는 약 16만대다.
차종별로 하이브리드가 113만8,020대로 가장 많고 전기차(27만619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12만1,517대), 수소전기차(9,596대) 순이다.
모델별로 니로 하이브리드가 35만9,460대로 1위다. 이어 쏘나타 하이브리드(24만6,217대), 아이오닉 하이브리드(19만2,926대) 순이다.
전기차 중 1위인 코나 일렉트릭은 9만6,053대로 이달 10만대 돌파가 유력하다. 다음은 쏘울 EV(5만2,824대), 니로 EV(4만5,466대)다. 아이오닉 전기차는 미국에서 테슬라 모델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효율성을 인정받았다.
수소전기차 중엔 2세대 모델인 넥쏘가 출시 2년 반만에 8,680대 판매됐다. 1세대인 투싼 수소전기차(916대)를 합하면 1만대에 육박한다.
올해는 현대·기아차 판매 차량 중 친환경차 비중은 7.4%까지 올랐다. 작년 연간(5.1%) 기록을 훌쩍 넘어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들어 전체 판매는 작년 동기대비 25.6%나 줄었는데 친환경차는 오히려 12.0% 늘었다.
친환경차 중에선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 비중이 2018년에 20%를 넘은 데 이어 올해는 30%대로 올라섰다.
전기차는 2011년부터 판매해서 작년에 처음 10만대를 넘었다. 올해도 포터Ⅱ 일렉트릭, 봉고Ⅲ EV 등 소형 상용 전기차 출시 효과로 2년 연속 10만대 달성이 가능해 보인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비중도 올해 12.6%로 역대 최고다.
세계 친환경차 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존재감도 커졌다.
자동차 시장 조사기관인 마크라인스(MarkLines)는 올해 1∼4월 현대ㆍ기아차의 세계 친환경차 시장점유율은 9.1%로 작년 동기보다 2.2%포인트 높아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간(7.2%)을 넘어 최고 수준이다.
올해들어 친환경차 시장에서 현대·기아차는 하이브리드차를 집중 판매하는 도요타에 이어 2위다.
현대ㆍ기아차는 전동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내년 초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을 적용한 현대차 NE(이하 코드명), 기아차 CV, 제네시스 JW가 나온다.
2024년에는 전기차 전용 아키텍처를 적용한 양산차를 선보인다.
현대·기아차는 약 5년 후엔 전기차만 연 100만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현대차 2025년 56만대, 기아차 2026년 50만대).
수소전기차는 2025년 연 판매량 11만대가 목표다. 수소연료전지시스템 판매에도 뛰어들어서 2030년엔 연간 약 20만기를 국내외에 공급할 계획이다.
수소전기상용차 판매도 준비 중이다. 3분기 안에 스위스 ‘H2에너지’에 대형 트럭 엑시언트를 기반으로 한 수소전기 트럭 50대를 공급한다. 코로나 19 여파로 일정이 다소 지연됐다. 5년간 1,600대를 계획하고 있다.
2023년에는 지난해 10월 ‘2019 북미 상용 전시화’에서 선보인 수소전기 대형트럭 콘셉트카 ‘넵튠’을 기반으로 한 양산차가 나온다.
현대ㆍ기아차 관계자는 “2025년께는 친환경차가 현대ㆍ기아차 전체 판매의 약 25%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