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본격적인 무역전쟁으로 끝날 수도 있는 일을 벌였다. 사태의 추이를 따라가기에 앞서 한 가지 확실히 해두어야 할 것이 있다: 관세는 먹히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나는 여기서 자유시장 이론을 장황하게 늘어놓으려는 게 아니다; 그저 실용적인 관찰을 하고자 할뿐이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미국에서도 국내 사양산업을 도우려는 숱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필자는 관세가 사양산업의 진행방향을 영구히 바꾸어 놓은 케이스를 단 한 건도 본 적이 없다.
가장 최근의 예는 트럼프의 전임자인 오바마 대통령이 물린 타이어 관세다. 지난 2009년, 국내 경쟁업체들로부터 중국산 타이어가 지나치게 낮은 가격으로 수입된다는 불만을 접수한 오바마 행정부는 해당 수입품에 35%의 무거운 관세를 물렸다.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피터슨 인스티튜트에 따르면, 이로 인해 미국 타이어업계는 1,200개에 달하는 일자리를 보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관세에 따른 가격인상으로 소비자들은 11억 달러를 추가로 부담해야했고, 소매부문에서 3,7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타이어업계 일자리 한 개당 거의 100만 달러에 달하는 비용을 지불한 셈이다.
게다가 중국이 미국 양계 생산업체들에게 보복관세를 물리면서 10억 달러의 판매 손실이 발생했다.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었을까? 천만의 말씀이다. 2008년 6만 명이었던 타이어산업 근로자들의 수는 2017년에 이르러 5만 5,000명으로 감소했다.
트럼프의 최고위 통상협상가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는 일본의 값싼 수입품이 미국경제를 쑥밭으로 만들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했던 1980년대에 협상기술을 익힌 인물이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시절 무역대표부 부대표였던 그는 자동차와 철강과 같은 일본산 수입품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무역장벽을 총동원했다.
다트머스대 경제학교수인 더그 어윈은 외교전문지 포린 어페어즈(Foreign Affairs)에 기고한 글에서 국제무역위원회(ITC)와 의회예산국(CBO)이 내놓은 두 건의 포괄적인 보고서는 라이트하이저의 이런 조치들이 효과를 내지 못했다는 결론을 제시했다고 지적했다.
CBO의 결론은 간단하다: “무역규제는 국내 해당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인다는 1차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 실패했다.”
트럼프의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살펴보자. 관세를 지지하는 미국 제조업자연합은 트럼프의 조치로 1만 2,700개의 일자리를 지켜냈거나 추가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피터슨 인슈티튜트는 인상된 철강가격으로 미국기업들이 연간 115억 달러의 추가 경비를 부담한 것으로 추산한다. 이 분야의 일자리 한 개를 건지기 위해 100만 달러를 지불한 셈이다. 미국 알루미늄 생산은 관세조치로 다소 증가했으나 여전히 2015년 수준을 밑돌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에 위치한 미국은 많은 산업체들이 상품과 용역을 생산하는 허브로 활용된다. 하지만 미국이 고율관세의 요새로 변한다면 국제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심적인 지위를 상실하게 될 것이다.
초당파적 단체인 국립경제조사국(NBER)은 지난 3월 공개한 자료에서 트럼프가 대공황 초기인 1930년대의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1971년 단기 닉슨 쇼크 이래 가장 대대적인 보호주의로의 회귀를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NBER 소속 경제학자들은 지난해 트럼프의 관세로 미국인 소비자들과 기업들이 연 688억 달러의 엄청난 추가부담을 감수한 것으로 추산했다.
현재 미국의 관세는 선진 7개국 그룹인 G-7 가운데 가장 높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국가들 역시 보호주의로 돌아설 것이 분명하다. 역사적인 경험으로 볼 때 일단 부과된 관세는 폐지하기 힘들다. 이로 인해 이익을 보는 국내 산업체들이 관세유지를 위해 치열한 로비전을 펼치기 때문이다.
지난 1964년, 미국산 닭고기에 유럽이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도 경트럭에 25%의 관세를 물리는 것으로 맞섰다. 닭고기 관세는 이미 오래 전에 폐기됐지만, 트럭 관세는 그대로 남아 있다.
대개 자국의 이익에 맞춰 교묘하게 관련 룰을 활용하고, 약삭빠르게 조종하는 방식에 의존하긴 했지만, 중국이 불공정 무역국이었던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면 풍경이 달라진다. 세계 최대 투자은행 중 하나인 크레딧 스위스가 2015년도에 집계한 바에 따르면 1990년 이후 비관세 보호주의 조치를 가장 많이 취한 나라는 미국이었다. 해당 기간 미국이 취한 보호주의 조치는 중국이 채택한 동일한 조치의 세 배에 달했다. 게다가 그것은 트럼프가 등장하기 이전의 얘기다.
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정을 준수하길 원하면서도 정작 트럼프 자신은 WTO 규정을 위배하거나 남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그는 캐나다와 독일 등 ‘위협적인’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을 둔화시키기 위해 ‘국가안보 예외조항(national security exemption)’을 동원했다.
중국에 대해 트럼프가 요구하는 것들 가운데 상당수는 시장개방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그가 베이징에 건넨 것은 2020년 대선승리를 위해 반드시 손에 넣어야 할 국내 여러 주에서 생산되는 상품들의 쇼핑 목록이다.
이 목록에 포함된 중서부산 대두를 생각해 보라. 이건 무역 전략이라기보다 재선 전략에 가깝다.
이런 방식으로 미국은 국가주의의 방향으로 중국의 등을 떠밀었다. 베이징이 트럼프의 소원 목록(wish list)을 충족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정부 혹은 관영기업들이 앞장서 그가 지정한 상품들을 구매하는 것밖에 없기 때문이다.
트럼프의 무역 전략은 좋은 의도에서 시작됐을지 몰라도 지난 75년간 전 세계에 평화와 번영을 제공한 시스템을 파괴하는, 고도로 정치화되고 통제가 불가능한 레킹 볼(wrecking ball: 건물 철거용 쇳덩이)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
파리드 자카리아>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관새추가로 해결이 안되니 물량을 규제해야 한다. 철강쿼타제처럼 전 품목에 물량상한선을 설정하라.
그동안 중국이 한 많은 행위는 마땅히 몰매를 때려도 난 어는정도는 당연한걸로 여기고싶다, 하지만 지금 트럼프가 하는 식론 모두다 피해자가 될 거란 건 알사람은 다 아는사실...아무리 작은 나라라 해도 TV 에나와서 대놓고 욕하고 협박하고 욱박지른 다면 소위말해서 갑질 한다면 그 나라국민이 그걸보고 그리고 그 나라 대통령이 갑 에게 무릅을 꿀고 항복하겠는가, 더더구나 중국이,.. 결국 메가 미꾸라지 한마리 때문에 손해 보는건 지구촌 모두에게로 돌아갈 겁니다, 특히 더 많은 피해는 서민 서민 경제 결국 나라 경제 까지어렵게 되겠지요.